본문으로 이동

파르나이바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파르나이바 강
(지리 유형: )
파르나이바 강 피아우이 쪽
2차 발원지 아구아 켄테
 - 위치 바헤이라스 두 피아우이, 피아우이
 - 고도 786 m (2,579 ft)
기타 발원지 히우 다스 론트라스
 - 위치 바헤이라스 두 피아우이, 피아우이
 - 고도 723 m (2,372 ft)
하구 대서양
 - 위치 파르나이바 (도시) 근처, 마라냥주 / 피아우이주 경계
 - 고도 0 m (0 ft)
길이 1400 km (870 mi)
파르나이바 강 유역분지 (쌍방향 지도)

파르나이바 강(포르투갈어: Rio Parnaíba)은 브라질으로, 마라냥주피아우이주의 경계를 이룬다. 본류의 길이는 1,400 km이며, 파르나이바 강 유역분지는 330,000 km²를 차지한다.[1] 파르나이바 강은 차파다 다스 망가베이라스(Chapada das Mangabeiras) 산맥에서 에서 발원하여 북동쪽으로 흐르다가 대서양으로 흘러들어가며, 브라질의 북동부에 완전히 위치한 가장 긴 강이다.[2] 이 강의 중하류 지역은 보아 에스페란사 수력 발전소 댐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그 외에는 항해가 가능하다.[3]

생태

[편집]

파르나이바 강 유역의 어류 종 풍부도는 전통적으로 빈약하다고 여겨졌으나, 최근 조사에서 약 140종의 토착종(몇 종은 아직 미기재 상태 포함)이 기록되었고 이들 중 약 40%가 고유종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이는 틀린 것으로 증명되었다.[1] 민물가오리속의 파르나이바 강 가오리(Potamotrygon signata)라는 유역 고유종이 있다.[4] 유역 어류종의 70% 이상이 카라신목 또는 메기목에 속한다.[1] 발원지의 동물군은 아직 철저히 조사되지 않았다. 토착종 외에 유역에는 7종의 외래종 어류가 있다.[1]

삼각주는 1996년에 지정된 313,800 ha의 파르나이바 삼각주 환경 보호 구역(Delta do Parnaíba Environmental Protection Area)으로 보호된다.[5] 강의 삼각주에는 맹그로브 숲이 넓게 분포하며,[6] 사구, 해변, 습지 등 다양한 서식지가 있다.[7] 삼각주는 중요조류지역으로 간주되며, 홍따오기rufous crab hawk(Buteogallus aequinoctialis)와 같은 종의 서식지이다.[7]

이 지역에 고유한 두 종의 수생 거북은 삼각주에서 발견되는 '마라냥민물거북'(Maranhão slider, Trachemys adiutrix)과 내륙에서 발견되는 옆목 거북 Mesoclemmys perplexa이지만, 둘 다 파르나이바 강 유역에만 전적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8][9]

각주

[편집]
  1. Ramos, T.P.A.; Ramos, R.T.C.; and Ramos, S.A.Q.A. (2014). Ichthyofauna of the Parnaíba river Basin, Northeastern Brazil. Biota Neotrop. 14(1).
  2. Knepper, Christian (October 2005). “Rumo ao delta” (포르투갈어). National Geographic. 2012년 4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3일에 확인함. 
  3. “Hidrovia do Parnaíba” (브라질 포르투갈어). 《gov.br - Departamento Nacional de Infraestrutura de Transportes》. 2018년 12월 27일. 2021년 9월 19일에 확인함. 
  4. Moro, G.I; Charvet, P.; and Rosa, R.S. (2012). Insectivory in Potamotrygon signata (Chondrichthyes: Potamotrygonidae), an endemic freshwater stingray from the Parnaíba River basin, northeastern Brazil. Braz. J. Biol. 72(4).
  5. 《APA Delta do Parnaíba (Federal)》 (포르투갈어), ISA: Instituto Socioambiental, 2017년 2월 9일에 확인함 
  6. Lacerda, L.D., eds. (2002). Mangrove Ecosystems: Function and Management. p. 53. ISBN 978-3-662-04713-2
  7. BirdLife International: Delta do Parnaíba. Retrieved 28 July 2014.
  8. Batistela, A.M. (2008). Biologia de Trachemys adiutrix (Vanzolini, 1995) (Testudines, Emydidae) no litoral do nordeste - Brasil. INPA/Biologia de Água Doce e Pesca Interior.
  9. Bour, R.; and Zaher, H. (2005). A new species of Mesoclemmys, from the open formations of northeastern Brazil (Chelonii, Chelidae). Pap. Avulsos Zool. (São Paulo) 4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