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론 프로젝트
보이기
트론(TRON, Real-time Operating System Nucleus의 약어)은 오픈 아키텍처 실시간 운영체제 커널 디자인이다. 이 프로젝트는 1984년 도쿄 대학의 사카무라 겐 교수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사회의 모든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이상적인 컴퓨터 아키텍처와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이다.[1]
인더스트리얼 트론(Industrial TRON, ITRON) 파생물은 2003년에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운영 체제 중 하나였으며[2] 휴대폰, 가전제품, 자동차 등 수십억 대의 전자 장치에 사용되었다.[3] 주로 일본 기업에서 사용했지만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끌었다.[3] 그러나 품질이 뛰어난 영어 문서가 부족하여 광범위한 채택을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트론 프로젝트는 2010년에 T-Engine 포럼에 통합되었다.[5] 현재는 WolfSSL과 같은 널리 사용되는 SSL(Secure Socket Layer) 및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라이브러리에서 지원된다.[6]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The TRON Project” (PDF). TRON Association. 2010년 7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8일에 확인함.
- ↑ Krikke, Jan (2003년 10월 15일). “The Most Popular Operating System in the World”. 《LinuxInsider》.
- ↑ 가 나 “Japan's Homegrown Operating System”. 《Science and Technology》. 2010년 6월 9일에 확인함.
- ↑ “TRON's No Failure”. 《TRON Web》.
- ↑ “The name of T-Engine Forum was changed to TRON Forum”. 《T-engine.org》.
- ↑ “wolfSSL + Micro-T Kernel, TRON, T-Engine”. 《wolfSSL》 (미국 영어). 2017년 4월 24일. 2019년 2월 1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트론 프로젝트
- 공식 웹사이트
- (영어) Tron-forum - 깃허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