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펜하우스 프루티겐
![]() | |
![]() | |
창립 | 2003 ![]() |
---|---|
산업 분야 | 열대 과일, 캐비어, 관광 |
본사 소재지 | 프루티겐 |
사업 지역 | 베른주 |
웹사이트 | www![]() |
트로펜하우스 프루티겐(독일어: Tropenhaus Frutigen)는 스위스 알프스의 열대 온실에서 이국적인 과일, 철갑상어 고기, 캐비어 생산을 위해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에서 흘러나오는 뜨거운 물의 지열 에너지를 사용하는 상업 프로젝트이다.[1] 2007년 이 프로젝트는 스위스 석유 산업의 CHF 50,000 상인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한 Prix Evenir를 수상했다.[2]
개요
[편집]온실에 대한 아이디어는 2002년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에서 지속적으로 흐르는 물이 20°C의 온도로 인해 지역 강인 칸데르강으로 직접 우회될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해지면서 시작되었다.[3] 그곳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송어의 생물학적 리듬을 방해할 것이 뻔하기 때문이었다.[1] 터널 엔지니어들은 인공적으로 물을 냉각시켜 열에너지를 낭비하는 대신 따뜻한 물을 사용하여 온실을 데우는 스타트업 회사를 설립했다.[1] 부지 건설은 2008년 5월에 800만 CHF로 시작되어 2009년 말에 완료되었다. 같은 해에 방문객들을 받기 시작했다.[1]

유럽에서 몇 안 되는 철갑상어 농장은 트로펜하우스의 심장부이다. 40개의 야외 분지에서 약 6만 마리의 물고기를 키울 예정이다.[4] 철갑상어는 영구적인 시베리아 여름 조건에서 번성하며, 연간 20톤의 고기와 2톤의 캐비어를 생산하도록 되어 있다. 첫 번째 철갑상어 필레는 2008년 11월에 현지 상점에서 판매되었다.[5] 나머지 온실은 바나나, 파파야, 망고, 구아바와 같은 열대 과일 생산 전용이며, 이 중 약 10톤을 생산할 예정이다. 매년 2,000㎡의 면적에서 재배된다.[1]
트로펜하우스는 또한 관광 목적지이기도 하다. 방문자 센터, 설치물을 통과하는 방문자 산책로, 레스토랑 및 프로젝트의 재생 가능 에너지 및 지속 가능성 사용을 보여주는 전시실(베른 에너지 회사에서 비용 지불)이 있다. 프루티겐역에서 약 600m 또는 도보로 7분 거리에 있다.[1][6]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Ochsenbein, Gaby (2009년 1월 1일). “Alpine caviar and papayas come to Switzerland”. Swissinfo. 2009년 1월 3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Preis fürs Tropenhaus Frutigen” (독일어). Tages-Anzeiger. 2007년 5월 2일. 2011년 7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월 3일에 확인함.
- ↑ Soriano, César G. (2007년 3월 30일). “European rail lines taking a giant leap”. USA Today. 6D면. 2009년 1월 3일에 확인함.
- ↑ Regli, Susanna (2008년 5월 17일). “Papayas und Kaviar aus Frutigen” (PDF) (독일어). Der Bund. 2011년 7월 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월 3일에 확인함.
- ↑ Kühner, Andreas (2008년 11월 8일). “Bald reifen tropische Früchte” (PDF) (독일어). Berner Oberländer. 2009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월 3일에 확인함.
- ↑ “How to find us”. Tropenhaus Frutigen. 2013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2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