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미 로빈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토미 로빈슨
Tommy Robinson on the "Anything Goes With James English" Podcast in 2025
2025년의 로빈슨
출생명스티븐 크리스토퍼 약슬리
출생1982년 11월 27일(1982-11-27)(42세)
루턴, 잉글랜드
성별남성
별칭
  • 앤드루 맥마스터
  • 폴 해리스
  • 웨인 킹
  • 스티븐 레넌
경력
정당
배우자
젠나 바울스
(결혼: 2011년, 이혼 :2021년)
자녀3

스티븐 크리스토퍼 약슬리-레넌(Stephen Christopher Yaxley-Lennon)[1][2][3] ( 약슬리, 1982년 11월 27일 ~) 또는 토미 로빈슨(Tommy Robinson)은 영국의 반이슬람 운동가이자 영국에서 가장 저명한 극우 운동가 중 한 명이다. 로빈슨은 전과 기록이 있다.[4]

로빈슨은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영국 파시스트 정당인 브리튼 국민당 (BNP)의 당원이었다. 2012년 잠시 동안 BFP의 공동 부의장을 역임했다. 2009년에 잉글랜드 국방 연맹 (EDL)을 공동 창립했으며 2013년 10월까지 이끌었다. 2015년에는 독일 페기다의 현재는 없어진 영국 지부인 Pegida UK의 개발에 참여했다.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캐나다 웹사이트 리벨 뉴스에 비디오를 쓰고 출연했다. 2018년에는 당시 UKIP 대표였던 제라드 배튼정치 고문으로도 활동했다. 로빈슨은 자신을 독립 언론인으로 자주 소개한다.[5][6][7]

로빈슨은 2005년부터 2025년 사이에 다섯 번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2013년에는 친구의 여권을 사용하여 불법적으로 미국에 입국했다. 2018년에는 피고인들이 법정에 들어서는 모습을 페이스북 라이브 비디오로 게시하여 법원 명령을 위반했다. 선고 전, 미국의 극우 웹사이트 인포워즈에 출연하여 미국에서 정치적 망명을 호소했다. 2021년에는 언론인 리지 디어든과 그녀의 파트너를 괴롭힌 혐의로 5년간의 스토킹 방지 명령을 받았다.

2021년, 로빈슨은 허더즈필드의 한 학교에 다니는 15세 난민을 이전에 두 명의 여학생을 폭행했다고 허위로 고발하여 명예를 훼손한 것으로 밝혀졌다. 로빈슨은 10만 파운드와 법정 비용을 지불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명예훼손 반복 금지 명령을 위반한 후, 로빈슨은 2024년 10월 법정모욕죄로 18개월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나중에 그가 명령을 준수하겠다고 말한 후 형량은 줄어들었다. 2022년 6월, 로빈슨은 2021년 3월 파산을 선언하기 전 도박으로 10만 파운드를 잃었다고 말했다. 또한 HM Revenue and Customs (HMRC)에 약 16만 파운드의 빚을 지고 있다고 말했다. 2024년 8월, 타임스는 그가 채권자들에게 약 200만 파운드를 빚지고 있으며, 미납 세금에 대한 HMRC 조사의 대상이라고 보도했다.

어린 시절

[편집]

로빈슨은 1982년 11월 27일 루턴에서 태어났다.[8] 로빈슨에 따르면 2013년에 런던에서 스티븐 약슬리로 태어났고, 나중에 의붓아버지 토머스 레넌에게 입양되었다.[9][10] 푸터리지 고등학교에 다녔다.[11]

로빈슨은 아일랜드인 어머니와 잉글랜드인 아버지를 두었다. 그의 어머니는 루턴의 베이커리에서 일했으며 복스홀 자동차 공장에서 근무했다.[12] 학교를 졸업한 후 루턴 공항에서 항공기 공학을 공부하기 위해 지원했다. "600명이 지원한 견습 과정을 얻었고, 그들은 4명만 채용했어요." 5년간의 공부 끝에 2003년에 자격을 얻었지만, 술에 취한 말다툼 중 비번 경찰관을 폭행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아 직장을 잃었다.[12] 이로 인해 12개월의 징역형을 살았다.[13]

약슬리가 이름을 따온 토미 로빈슨은 루턴 타운을 따르는 축구 훌리건 집단인 루턴 타운 MIGs의 주요 멤버였다.[14] 이 가명은 2010년 7월 서치라이트 잡지에 의해 연결 고리가 밝혀질 때까지 그의 신원과 범죄 기록을 성공적으로 숨겼다.[15][16] 또한 앤드루 맥마스터, 폴 해리스,[17] 웨인 킹,[18][19] 그리고 스티븐 레넌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7]

개인 생활

[편집]

로빈슨은 제나 바울스와 10년 정도 사귄 후 2011년에 결혼하여[20][21] 세 자녀를 두었다.[22] 그들은 2021년 2월에 이혼했다.[23][24] 2010년에 루턴에서 태닝 살롱을 소유했다.[25][26]

잉글랜드 국방 연맹

[편집]
2010년 암스테르담에서 EDL 시위자들과 함께 있는 로빈슨 (밝은 회색 코트)

로빈슨은 2009년에 사촌 케빈 캐롤과 함께 잉글랜드 국방 연맹 (EDL)을 창립했으며,[15][27][28] 캐롤을 부총재로 하여 총재가 되었다.[29] 로빈슨은 루턴의 한 빵집 밖에서 지역 이슬람주의자들이 아프가니스탄에서 탈레반을 위해 싸울 남성들을 모집하려 한다는 신문 기사를 읽고 EDL을 창립하게 되었다고 밝혔다.[12] EDL의 초기 회원들 중 다수는 루턴, 런던, 브리스틀 및 기타 잉글랜드 도시의 축구 클럽 서포터들 중에서 모집되었다.[30] 로빈슨은 EDL이 창립된 직후 "급진 이슬람의 부상에 반대한다"고 묘사했다. BBC의 파라익 오 브라이언은 이 단체의 일반 회원들이 "축구 훌리건 단체와 느슨하게 연계되어 있다"고 말하며 자신들을 반이슬람주의자라고 묘사했다.[14][30] 로빈슨은 여러 유럽 국가에서 활동하는 EDL과 유사한 단체들의 협력체인 유럽 국방 연맹을 창립했다.[31]

2011년에 로빈슨은 전년도 루턴에서 루턴 타운뉴포트 카운티 서포터들 간의 싸움 중에 "위협적, 모욕적 또는 모욕적인 행동"을 사용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로빈슨은 루턴 팬들을 이끌고 100명이 참여한 난투극을 시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 과정에서 "죽을 때까지 EDL"을 외쳤다고 보도되었다. 12개월의 지역 사회 재활 명령과 150시간의 무급 노동, 그리고 3년간의 축구 경기 참석 금지 명령을 받았다.[32][33]

로빈슨은 2011년 9월 타워 햄릿츠에서 열린 EDL 시위 후 보석 조건을 위반한 혐의로 다시 체포되었다. 해당 시위에 참석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다. 로빈슨은 나중에 HM Prison Bedford에 구금된 동안 단식 투쟁을 시작했으며, 자신을 "국가의 정치범"이라고 말하며,[34] 자신이 할랄 고기라고 믿는 것을 먹기를 거부했다.[35] 소수의 EDL 지지자들이 로빈슨의 수감 기간 동안 그를 지지하며 교도소 밖에서 시위를 벌였고, 9월 10일에는 100명의 시위자가 최고조에 달했다.[36] 로빈슨은 9월 12일에 보석으로 풀려났다.[37]

2011년 9월 29일, 로빈슨은 그해 4월 블랙번에서 열린 집회에서 동료 EDL 회원을 박치기한 혐의로 일반 폭행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38][33] 12개월 집행유예로 12주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39] 2011년 11월 8일, 로빈슨은 FIFA 본부 옥상에서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이 유니폼에 리멤버런스 데이 양귀비 상징을 착용할 수 없다는 FIFA의 판결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33] 이로 인해 3,000파운드의 벌금과 3일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40] 로빈슨은 2011년 12월 22일에 폭행을 당했다고 말했다. 다른 차가 자신에게 헤드라이트를 깜빡여 차를 세운 후 발생했으며, 세 명의 남성 무리가 자신을 공격하고 구타했으며, "선한 사마리아인"이 도착하여 멈췄다고 말했다. 로빈슨은 공격자들이 아시아계 외모였다고 말했다.[41] 베드퍼드셔 경찰은 "공격 동기가 불분명하다"고 밝혔다.[41]

2012년 로빈슨은 BFP에 가입했다고 발표했다. EDL과 BFP가 2011년에 선거 협정을 맺은 후 캐롤과 함께 공동 부의장으로 임명되었다.[42] 그러나 2012년 10월 11일, 로빈슨은 EDL 활동에 집중하기 위해 BFP에서 사임했다.[43] 로빈슨은 반 지하드 운동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으로 묘사되었으며,[44][45][46][47][48][49] 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에는 "토미 로빈슨이 이 신생 운동 내에서 거의 전설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유럽 반 지하드 운동 [ECJM]의 "록스타"로 간주된다"고 언급되었다.[50] 로빈슨은 2012년 덴마크 오르후스,[51] 스웨덴 스톡홀름,[52] 그리고 벨기에 브뤼셀에서 공식적인 국제 반 지하드 행사에 참석했다.[44]

2012년 4월, 로빈슨은 극우 극단주의가 논의되는 BBC 시리즈 The Big Questions에 참여했다. 이 시리즈에서 영국 무슬림 평론가 모 안사르는 로빈슨을 그의 가족과 함께 저녁 식사에 초대했고, 이로 인해 다음 18개월 동안 이슬람, 이슬람주의 및 무슬림 공동체에 대해 논의하는 여러 차례의 만남이 이루어졌다. 이 만남은 BBC 다큐멘터리 '토미가 모를 만났을 때'에 담겼다.[53][54]

2013년 10월 8일, 싱크탱크 퀼리엄은 로빈슨과 EDL의 부총재 케빈 캐롤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어 로빈슨과 캐롤이 EDL을 떠났다고 발표했다. 로빈슨은 "극우 극단주의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 때문에 오랫동안 떠날 것을 고려해왔다고 말했다.[55][56] "극우 극단주의의 위험성을 인정하며, 이슬람주의 이념에 폭력이 아닌 더 나은 민주적인 아이디어로 맞서야 할 필요성을 계속 인식한다"고 말했다.[57] 10명의 다른 고위 인물들과 함께 EDL을 떠났고, 팀 애블리트가 EDL의 새로운 총재가 되었다.[55][27] 로빈슨은 가디언으로부터 2005년 런던 폭탄 테러에 대해 "모든 무슬림"이 "처벌받지 않고" 벗어났다고 비난하고, 이슬람을 "파시스트적이고 폭력적인" 종교라고 불렀던 것에 대해 질문을 받자 사과했다. 또한 EDL 내 인종주의자들에 대한 경찰 조사에 협조할 것이며, "자신의 미래 활동은 모든 전선에서 급진주의에 맞서는 것을 포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58][53] 자서전에서 퀼리엄이 자신이 EDL을 떠난 공로를 인정받기 위해 매월 2,000파운드를 지불했다고 주장했지만, 퀼리엄 대변인은 이를 부인했다.[59][60]

2014년 이후 활동

[편집]

로빈슨은 2014년 11월 26일 옥스포드 유니언에서 연설했다. 파시즘 반대 연합 (UAF)은 그의 출연에 반대 시위를 벌였고, UAF에 따르면 그가 EDL의 견해를 포기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유니언이 그에게 발언권을 주었다고 비판했다. 로빈슨은 청중에게 자신이 가석방 중이어서 특정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2015년 7월 22일에 나의 표현의 자유를 되찾는다"고 말했다. "정치인, 언론, 경찰이 이슬람 공포증으로 낙인찍힐까 봐 특정 범죄 활동에 대처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61] HM Prison Woodhill이 "ISIS 훈련 캠프"가 되었고, 급진주의자들이 "날개를 펴고 있다"고 말했다.[62]

형기 만료 후 가석방에서 풀려난 로빈슨은 2015 유럽 난민 위기 속에서 드레스덴에 설립된 독일의 반이민 단체 페기다의 영국 지부인 Pegida UK와 함께 반이슬람 시위에 다시 참여했다.[63][64][31] 2015년 10월 페기다 반이슬람 집회에서 로빈슨은 난민으로 위장한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리스트의 위협에 대해 발언했다.[65] 2015년 12월 페기다의 "영국 지부" 설립을 발표했다. "이제는 그럴 상황이 너무 심각하다"며 술과 싸움은 허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고, 데일리 텔레그래프에 2016년 2월 6일 유럽 전역에서 대규모 시위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31] 2016년 2월 14일, 로빈슨은 에식스주의 나이트클럽을 나선 후 공격을 받아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66] 로빈슨은 2015년에 자서전 '국가의 적'을 자비 출판했다.[67][68]

2018년 3월 18일 스피커스 코너의 로빈슨

로빈슨은 UEFA 유로 2016을 관람하기 위해 프랑스로 여행했고, 티셔츠와 잉글랜드 국기로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ISIL)를 조롱하는 시위를 벌였다. 베드퍼드셔 경찰은 그가 돌아오자마자 축구 경기 금지 명령을 내렸다. 그의 변호사 앨리슨 거든은 경찰이 금지된 테러 단체를 모든 무슬림과 동일시한다고 비난했다. 9월, 루턴 치안법원의 판사는 검찰의 증거가 "모호하고" "조심스럽다"고 말하며 사건을 기각했다.[69]

2016년 8월 27일, 로빈슨과 그의 가족을 포함한 18명의 루턴 타운 축구 서포터들은 케임브리지의 한 술집에서 경찰에 의해 퇴거당했다. 이날은 케임브리지 유나이티드와 루턴의 축구 경기가 있는 날이었다. 로빈슨은 자신이 희생되었다고 주장했고, 케임브리지 경찰에 불만이 제기되었다.[70] 2019년 3월, 피터버러 카운티 법원에서 로빈슨은 케임브리지셔 경찰을 괴롭힘, 직접적인 차별, 굴욕, 스트레스와 불안 유발, 그리고 인권, 특히 가족 생활권, 양심 또는 종교의 자유,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 혐의로 고소했다. 이 주장은 2016년 경기 후 술집에서 로빈슨에게 섹션 35 해산 명령이 내려졌을 가능성과 관련한 경찰의 행동에 관한 것이었다. 법원은 로빈슨의 주장을 기각하고 그에게 2만 파운드의 비용을 지불하도록 명령했다. 로빈슨은 이 판결에 항소할 것이라고 말했다.[71]

로빈슨은 캐나다의 극우 웹사이트 리벨 뉴스의 특파원이었다.[77][78] 2017년 5월, 캔터베리 왕실법원 밖에서 진행 중인 강간 재판의 피고인들을 촬영하려 시도한 후 법정모욕죄로 체포되었다.[79][80] 로빈슨의 두 번째 자비 출판 서적인 "무함마드의 꾸란: 왜 무슬림은 이슬람을 위해 살인하는가"는 피터 맥러플린과 공동 저술하여 2017년에 출간되었다.[81] 아마존은 이 책의 판매를 거부했다.[82] 로빈슨은 2017년 6월 말 로열 애스콧에서 주먹다짐에 연루되었고, 이로 인해 피어스 모건은 트위터에서 그를 비판했다.[83]

2018년 3월, 로빈슨은 온라인에 개가 "유대인을 가스실로 보내라"와 "지크 하일"이라는 구호에 반응하여 나치 경례를 하는 영상을 올린 후 혐오 범죄로 기소된 스코틀랜드의 유튜버 마크 미천을 지지하기 위해 법원에 출석했다. 미천은 영상이 "반유대적이고 인종차별적이며" 종교적 편견에 의해 악화되었다는 이유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84] 미천은 영상이 맥락에서 벗어났으며 여자친구를 짜증나게 하려는 농담이었다고 말했다.[85] 2018년 10월, 로빈슨이 자신이 묘사한 두 명의 젊은 영국 육군 "신병"과 함께 찍은 사진을 게시한 후 추가적인 논란이 불거졌다. 또한 자신의 페이스북 페이지에 군인들이 자신의 이름을 외치며 환호하는 영상도 게시했다. 영국 육군은 "극우 이념은 국군의 가치와 정신에 완전히 반한다. 국군은 극단주의적 견해를 보이는 자들이 용인되거나 복무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 위한 강력한 조치를 마련하고 있다"고 말하며 조사를 시작했다.[86] 정부의 수석 반극단주의 위원장은 육군의 대응을 칭찬하며 "이것은 극우파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그들은 종종 군을 표적으로 삼고 그들의 상징을 차용하여 주류로 편입하려는 시도를 조작하고 이용한다. 토미 로빈슨의 관심 끌기 행동은 개인, 공동체, 그리고 사회 전반에 실제적인 해를 끼치는 분열적인 반무슬림 증오를 감추기 위한 것이다"라고 말했다.[87]

2018년 11월, 제라드 배튼 휘하의 UKIP에 "그루밍 갱 고문"으로 임명되었다. 2020년에는 엘레노어 윌리엄스를 지지하는 시위 이후 쿰브리아의 배로인퍼니스를 방문했다. 윌리엄스는 그루밍 갱에게 강간당했다고 거짓말하여 사법 방해 혐의로 기소되어 나중에 유죄 판결을 받았다. 로빈슨은 그녀의 가족이 그에게 멀리 떨어져 달라고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마을을 방문했다.[88] 2019년에는 북아일랜드 피의 일요일 (1972년)에서 아일랜드 민간인 살해 혐의로 기소된 전 영국 군인을 지지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로빈슨은 "병사 F"가 민간인 살해 혐의로 기소될 예정이었던 후 "나는 병사 A-Z를 지지한다"는 배지를 착용했다.[89] 2019년 1월, 로빈슨은 당시 글래스고 사우스의원이었던 스튜어트 맥도널드가 '의원 면담'을 진행하고 있던 도서관을 둘러싸고 봉쇄를 야기하며 자신을 실시간 스트리밍했다. 이 그룹에는 유죄 판결을 받은 무장 납치범 다니엘 토머스가 포함되어 있었다. 도서관은 전화 폭탄 세례를 받았다고 보도되었다. 맥도널드는 결국 경찰의 호위를 받으며 떠났고, 로빈슨 일행이 비상구를 막았다고 말했다.[90]

2019년 2월, 로빈슨은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강간 위기 센터의 소수 민족 피해자를 위한 전문 서비스 전단지 옆에 "그럼 백인 여성을 강간해도 괜찮은 건가?"라고 썼다. 이로 인해 로빈슨 지지자들로부터 센터로 수백 통의 인종차별적이고 욕설이 담긴 전화가 쏟아졌다. 모든 민족 배경의 강간 피해자들을 지원하는 센터는 로빈슨의 게시물이 "모든 민족과 배경의 성폭력 및 학대 피해자들을 위한 절실한 서비스 제공을 방해한다"고 비난했다. 센터는 "성폭력 및 학대에서 살아남은 일부 여성 집단은 언어와 인종차별 및 인종차별 경험에 대한 두려움 및 과거 또는 현재의 경험과 관련된 추가적인 서비스 접근 장벽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에 소수 민족을 위한 전문 서비스를 포함했다.[91]

2019년 2월 23일, 로빈슨은 BBC솔퍼드, 그레이터맨체스터주 사무실 밖 미디어시티UK에서 집회를 열고 BBC의 탐사 시사 프로그램 파노라마와 그 진행자 존 스위니에 항의했다. 집회 도중 로빈슨은 자신의 전 보좌관 루시 브라운이 촬영한 스위니의 비밀 영상을 보여주는 영화 '파노드라마'를 대형 스크린으로 4,000명의 군중에게 상영했다. 배튼은 집회에서 지지 발언을 했다. 로빈슨은 시위의 목적이 "부패한 언론에 맞서" 싸우는 것이며, BBC 라이선스 비용 폐지를 요구했다. 동시에 약 500명이 반파시스트들의 대항 시위에 참석했다.[92] 이에 대해 BBC는 자사의 저널리즘이 편향되었다는 어떤 주장도 강력히 거부한다고 발표했다. 로빈슨과 그의 활동을 조사하기 위한 파노라마 에피소드가 준비 중임을 확인하며, BBC는 방송하는 모든 프로그램이 BBC의 "엄격한 편집 지침"을 따른다고 덧붙였다. 로빈슨의 파노드라마 영화 폭로 중 스위니의 일부 발언에 대해 BBC는 "공개된 영상 중 일부는 이 조사 중에 우리 모르게 녹화되었으며, 존 스위니는 일부 불쾌하고 부적절한 발언을 했고, 이에 대해 사과한다"고 덧붙였다.[93]

2019년 3월 4일 오후 11시, 로빈슨은 극우 문제를 다루는 언론인의 집에 초대받지 않고 찾아가 그를 위협하려 했다. 로빈슨은 실시간 스트리밍을 통해 그 언론인의 주소를 공개하고 다른 언론인들의 주소를 공개하겠다고 위협했다. 경찰이 도착하자 로빈슨은 떠났지만, 오전 5시에 다시 돌아왔다.[94][95] 로빈슨은 이는 자신의 처가집에서 법적 서류를 받은 것에 대한 보복 행위라고 말했으며, 이 행위는 영상으로 녹화되었고 로빈슨은 이를 괴롭힘이라고 묘사했다.[94][96] 로빈슨은 자신이 위협하려 했던 언론인이 그 alleged act에 연루되었다는 어떤 암시도 하지 않았다.[94] 그 언론인은 서류가 해당 집에서 50미터 떨어진 경찰관에게 전달되었다고 말했다.[94]

2020년 1월, 로빈슨은 코펜하겐크리스티안스보르성에서 덴마크 자유 언론 협회로부터 사포상 (국제 자유 언론상으로도 알려짐)을 받았다.[97][98][99] 국제 자유 언론 협회반 지하드 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100] 영국 인종 관계 연구소의 전무 이사 리즈 페케테는 이 단체가 증오언설의 경계를 넓히기 위한 도구라고 주장했다.[101] 2020년 11월 1일, 로빈슨은 런던 하이드 파크스피커스 코너에서 코로나19 봉쇄 규정을 위반한 혐의로 체포되었다.[102] 로빈슨은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검증되지 않은 음모론을 퍼뜨렸다.[103] 2021년 5월, 로빈슨은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런던 시위에 참석했다.[104][105] 텔퍼드 아동 성 착취 스캔들에 대응하여, 로빈슨은 2022년 1월에 시위를 벌였으며, 이 시위에서 무슬림 그루밍 갱에 대한 자신의 73분짜리 다큐멘터리 '영국의 강간: 생존자 이야기'를 상영했다.[106]

2025년 8월, 로빈슨은 트위터에 노스요크셔의 공원에서 흑인 남성과 그의 형제가 자신의 백인 손녀들과 노는 영상을 공유하며 그들을 소아성애증으로 허위 고발했다. 이로 인해 해당 가족은 허위 소아성애자 고발과 함께 인종차별적 욕설을 받았다. 레드카 노동당 의원 애나 털리는 피해자가 그의 매니지먼트로부터 정직 처분을 받은 후 좋은 행동에 대한 추천서를 작성해야 했다. 털리는 "우리 마을에는 증오가 설 자리가 없다"고 말하며 "토미 로빈슨의 유독한 거짓말 때문에 표적이 되고 학대당한 가족"에 대해 "가슴 아프다"고 말했다.[107] 2025년 9월 13일, 런던 중심부에서 로빈슨이 조직한 '유나이트 더 킹덤' 집회에 11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모였다. 5천 명 규모의 반인종주의 운동가들의 반대 시위도 열렸다.[108] 시위에서 시위자들이 병과 다른 투척물을 던져 26명의 경찰관이 부상을 입고 24명이 체포되었다.[109]

2025년 9월, 영국 싱어송라이터 라비 시프르는 로빈슨이 자신의 노래 "Something Inside) So Strong"을 집회에서 사용한 것에 대해 정지명령을 내리며, "나를 아는 사람이라면... 그들이 긍정적인 무신론자, 동성애자 흑인 예술가의 작품을 자신들의 운동을 대표하는 것으로 사용한 것이 얼마나 우스운 일인지 알 것이다"라고 말했다.[110][111][112]

2025년 10월, 일부 런던 경찰관들이 로빈슨의 반무슬림 입장을 지지한 혐의로 정직되었다.[113]

핀즈버리 공원 공격범과의 통신

[편집]

2017년 핀즈버리 공원 모스크 테러 공격의 가해자가 공격 직전 로빈슨의 웹사이트 이메일 업데이트를 구독하고 로빈슨의 트윗을 읽었다는 사실이 법정에서 밝혀졌다. 테러 현장에서 발견된 메모에는 테러에 "화내지 마세요"라는 문구로 반응하는 사람들을 비웃는 로빈슨의 트윗이 있었다. 로빈슨의 계정에서 공격자 대런 오스본에게 보낸 이메일에는 "친애하는 대런, 선덜랜드의 [이름 수정됨]에게 저질러진 끔찍한 범죄에 대해 알고 계실 겁니다. 경찰은 용의자들을 풀어주었습니다... 왜일까요? 용의자들이 시리아와 이라크의 난민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국가적인 분노입니다..."라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또 다른 이메일에는 "영국 표면 아래에 증오, 폭력, 이슬람을 기반으로 한 국가가 형성되고 있습니다"라고 쓰여 있었다.[114]

로빈슨은 이 공격에 대해 트위터로 반응하며 "오늘 밤 공격이 발생한 모스크는 테러리스트와 급진 지하드주의자를 양성하고 증오와 분리를 조장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라고 썼고, "정부나 경찰이 이러한 증오의 중심을 정리하지 않으면 오늘 밤처럼 괴물을 만들 것이라고 여러 번 말했습니다"라고 덧붙였다. 로빈슨의 발언은 언론에서 증오를 선동한다는 비난을 받았다.[115] 다음 날 아침 굿 모닝 브리튼에 출연한 로빈슨은 꾸란을 들고 "폭력적이고 저주받은 책"이라고 묘사했다. 진행자 피어스 모건은 그를 "편협한 광신도처럼 증오를 선동한다"고 비난했고, 로빈슨의 출연은 오프컴에 여러 건의 불만을 제기했다.[116]

스코틀랜드 야드 대테러 사령관 딘 헤이든은 로빈슨의 온라인 자료가 오스본이 급진화되고 "세뇌"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117] 마크 로리 런던 광역경찰청 차장(대테러 수석 책임자)은 로빈슨을 포함한 사람들이 온라인에 게시한 자료가 핀즈버리 공원 테러 공격범이 무슬림을 표적으로 삼도록 만든 것은 "의심할 여지 없는 사실"이라고 말했다.[118] 이에 대해 로빈슨은 "마크 로리를 찾아낼 것"이라고 말했다.[119]

하츠 오브 오크

[편집]

2020년 2월, 로빈슨, 칼 벤자민 ("사르곤 오브 아카드"로도 알려짐) 및 기타 전 UKIP 회원들이 극우 단체 하츠 오브 오크를 출범시켰다. 출범 당시 회원들은 이 단체가 정당이 아니라 "문화 운동"이며, 주요 쟁점으로는 "강력한 국경, 이민, 그리고 국가 정체성", "당국이 이슬람만을 특권화하고 보호하는 것", 그리고 "표현의 자유"가 포함된다고 밝혔다.[120][121] 하츠 오브 오크의 다른 기여자로는 이슬람 혐오 및 반유대주의 음모 책자의 공동 저자인 니얼 맥레이와 전 브렉시트 당 대표 캐서린 블레이클록이 있다.[122] 바이스 월드 뉴스는 현재 또는 과거에 같은 주소에서 운영되었던 8개의 회사가 모두 오소독스 보수주의자, 보우 그룹, 또는 터닝 포인트 UK의 이사들이라고 밝혔다.[122]

로빈슨과 벤자민은 로치데일 아동 성학대 사건에 연루된 남성들의 추방을 요구하는 2020년 8월 1일 시위에서 상영될 연설을 사전 녹화했다. 극우 단체인 테러리즘 반대 참전용사의 창립자 리처드 인먼도 연설자로 나서 "이러한 강간 전염병"이 "공동체의 한 부분에 의해 자행된다"며 사형을 요구했는데, 이는 무슬림 파키스탄 남성을 지칭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2011년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미성년자와의 성적 행위로 유죄 판결을 받은 남성의 거의 85%가 백인이었다.[120] 반파시스트 시위자들은 "하츠 오브 오크는 이슬람 혐오, 인종차별, 국수주의에 이념적으로 기반을 두고 있다"며 모든 인종의 사람들이 성폭력을 저지르는 상황에서 무슬림만을 성폭력 가해자로 지목하는 것은 인종차별적이라고 주장하는 전단지를 제작했다.[120] 2022년 9월 18일, 켈리-제이 킨-민슐이 설립한 스탠딩 포 위민이 브라이턴에서 공개 집회를 열었다. 하츠 오브 오크는 집회에서 내부 서클의 맨 앞에서 실시간 스트리밍을 진행했다.[123]

러시아 연계 의혹

[편집]

2020년 2월, 로빈슨은 러시아를 방문하여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일련의 강연, 회의 및 언론 출연을 가졌다. 러시아 국영 언론은 로빈슨을 유럽 연합의 검열과 억압의 피해자로 묘사하며 긍정적인 보도를 했다.[124]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뉴욕 타임스는 그 여행이 "실제 목적은 그가 자신의 돈을 숨길 수 있는 러시아 은행 계좌를 찾는 것의 위장이었다"고 주장했다. 이듬해 로빈슨은 러시아 정당 진실을 위하여(러시아어: За правду; Za Pravdu)를 지지하는 영상을 만들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로빈슨은 전쟁에 대한 친러시아 허위 정보를 퍼뜨렸다.[125]

2024년 영국 폭동

[편집]

2024년 7월 영국을 떠나 키프로스로 간 후, 로빈슨은 사우스포트에서 발생한 어린이 대량 칼부림 사건의 가해자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퍼뜨렸다는 비난을 받았다. 가해자가 무슬림 망명 신청자라는 허위 주장으로 인해 영국 전역에서 폭력적인 극우 폭동이 발생했다. (실제 가해자는 르완다 출신 투치족 기독교 난민의 영국 태생 아들이었다.) 사우스포트의 폭도들은 로빈슨의 이름을 외치고 "젠장, 알라가 누구야?"라고 외치는 소리가 들렸다.[126] 2024년 8월, 영국 검찰은 로빈슨이 폭동을 선동한 혐의에 대해 조사를 시작했다.[127]

선거 정치 참여

[편집]

로빈슨은 2004년 당시 닉 그리핀이 이끌던 극우 파시스트 브리튼 국민당 (BNP)에 가입했다. 2013년 6월 언론인 앤드루 닐의 질문에 로빈슨은 그리핀이 국민전선에 속해 있거나 비백인이 당에 가입할 수 없다는 사실을 몰랐기 때문에 1년 만에 탈당했다고 말했다. "나는 가입했고, 그것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고, 나에게 맞지 않았다."[9] 2009년 3월 로열 앵글리언 연대 군인들이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돌아오는 것에 대한 시위가 이슬람주의 단체 알 무하지룬아흘루스 순나 왈 자마에 의해 공격받은 것에 대응하여 결성된 유나이티드 피플스 오브 루턴 그룹에 참여했다.[30][128]

2018년 9월, 로빈슨은 UKIP에 가입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2018년 11월 23일, UKIP 대표 제라드 배튼은 로빈슨을 자신의 고문으로 임명했다.[129][130] 이에 대해 전 UKIP 대표 나이절 패라지는 로빈슨을 "불량배"라고 묘사하며 UKIP가 가는 방향에 대해 가슴 아파했다.[131] 패라지와 세네드 의원은 배튼의 대표직 해임을 요구했다.[129] 11월 30일 UKIP 회의에서 로빈슨은 유죄 판결을 받은 납치범 다니엘 토머스와 함께 앉았다.[132]

유럽 의회 의원 8명을 포함한 많은 저명한 UKIP 회원들이 로빈슨의 임명에 반발하여 당을 탈당했다. 탈당한 8명의 MEP 중 2명은 전 당 대표였다. 한 명은 스코틀랜드 UKIP 대표였고, 다른 한 명은 패라지였다. 로빈슨과 그의 동료들이 당에 "말다툼"과 "폭력"을 가져왔으며 "많은 이들이 전과 기록을 가지고 있고, 일부는 상당히 심각하다"고 말했다.[133]

UKIP의 규칙은 과거 극우 단체에 소속되었던 사람들의 회원 자격을 거부한다. 이 규칙은 로빈슨이 잉글랜드 국방 연맹 (EDL)을 창립하고 브리튼 국민당의 일원이었으며 영국 자유당과 연관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의 가입을 금지한다. UKIP의 전국 집행위원회는 특별한 경우로 로빈슨에 대한 이 조항을 면제하는 것을 고려했다. 승인되면 그의 회원 자격은 당 회의에서 투표에 부쳐질 것이다.[134] 배튼은 로빈슨의 당 가입을 지지했지만, UKIP 세네드 의원인 미셸 브라운데이비드 롤랜즈는 이에 반대한다고 말했다.[135]

2019년 4월 25일, 로빈슨은 201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 잉글랜드 북서부의 무소속 후보로 출마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36] 극우 포 브리튼 당의 대표인 앤 마리 워터스가 로빈슨에게 자신의 당의 지지를 약속했다고 보도되었다.[137] 5월 2일 체셔 워링턴에서 로빈슨이 유럽 의회 후보로 선거 운동을 하는 동안 두 명이 입원했다. 그의 보안팀과 지지자들은 반인종주의 운동가들을 물리적으로 공격했고, 한 반인종주의 운동가는 코가 부러졌다고 말했다. 경찰은 폭력 사태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138] 로빈슨은 선거에서 38,908표(2.2%)를 얻어 8위를 기록했으며, 언론에서는 "굴욕적"이라고 널리 묘사되었고, 선거 보증금을 잃었다.[139] 거의 모든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금지당한 후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의석을 얻으려는 시도가 "거의 불가능한 과제"였다고 말했다.[140] 그의 반응은 또 다른 선거에 대해 농담하며 국민투표 아이디어를 조롱하는 것이었다.[141]

2019년 영국 총선 이전에 로빈슨은 보수당 대표 보리스 존슨총리로 지지했다.[142] 선거 후 로빈슨은 당에 가입했다고 발표했다.[143] 그러나 이는 보수당 의원과 전국 보수당에 의해 부인되었다.[144] 스크램은 로빈슨과 극우 정치를 조장한다고 보는 다른 인물들에 반대하는 웹사이트인데, 이 주장 또한 반박했다.[145] 2022년 3월, 로빈슨은 포 브리튼 당을 지지하기 시작했고, 지지자들에게 "정치적 세력"을 구축하기 위해 당에 가입할 것을 독려했다.[146] 2025년 8월 3일, 로빈슨은 자신의 X 계정에 자신이 Advance UK에 가입했음을 알리는 동영상을 게시했다.[147] 이 당은 이전에 영국 개혁당의 공동 부대표였던 벤 하비브가 설립했다.[148]

범죄 행위

[편집]

로빈슨의 범죄 기록에는 폭력, 금융 및 이민 사기, 코카인 공급 의도 소지, 공공질서 위반죄에 대한 유죄 판결이 포함된다.[149][150][151] 이전에 적어도 세 번의 개별 구금형을 선고받았다: 2005년 폭행, 2012년 위조 여행 서류 사용, 2014년 주택담보대출 사기로.[17][152][153]

2005년 및 2011년 폭행

[편집]

2005년 4월, 루턴 왕실 법원에서 로빈슨은 2004년 7월 비번 경찰관을 상대로 한 실질적 신체적 상해 유발 폭행체포 저항 의도 폭행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이 경찰관은 길거리에서 로빈슨과 당시 그의 여자친구인 제나 바울스 간의 말다툼에 개입했다. 뒤이은 몸싸움에서 로빈슨은 경찰관이 땅에 쓰러져 있을 때 머리를 걷어찼다. 로빈슨은 12개월과 3개월의 동시 집행형을 선고받았다.[154]

2011년 9월, 프레스턴 치안법원에서 로빈슨은 2011년 4월 2일 블랙번에서 한 남성을 박치기한 혐의로 폭행죄 유죄 판결을 받았다.[155][38] 2011년 11월 로빈슨은 12개월 집행유예로 12주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156]

공공질서 위반

[편집]

2011년 7월, 루턴 및 사우스 베드퍼드셔 치안법원에서 로빈슨은 2010년 8월 24일 루턴에서 100명이 참여한 싸움에 루턴 타운 FC 지지자들을 이끌고 위협적, 모욕적 또는 모욕적인 행동을 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12개월의 지역사회 재활 명령, 150시간의 무급 노동, 그리고 3년간의 축구 금지 명령을 받았다.[32][157]

위조 여권 사용

[편집]

2012년 10월, 로빈슨은 불법적으로 미국에 입국한 혐의로 체포 및 구금되었다. 2012년 9월, 로빈슨은 범죄 기록으로 인해 미국 입국이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에 런던 히스로 공항에서 뉴욕버진 애틀랜틱 항공편에 앤드루 맥마스터라는 이름의 여권을 사용하여 탑승했다.[17] 존 F. 케네디 국제공항에 도착하자 미국 관세국경보호청 직원들이 그의 지문을 채취했고, 그가 맥마스터가 아니라는 것을 발견했다. 두 번째 인터뷰에 참석하라는 요청을 받은 후, 로빈슨은 공항을 떠나 불법적으로 미국에 입국했다. 하루 밤을 머무른 후, 다음 날 자신의 여권을 사용하여 영국으로 돌아왔다.

로빈슨은 자신에게 속하지 않은 여권을 사용한 혐의로 사우스워크 왕실 법원에서 유죄를 인정했다. 이후 2013년 1월에 10개월 징역형을 선고받았다.[17][158][159] 앨리스테어 맥크리스 판사는 그에게 "당신이 한 일은 미국이 가질 자격이 있는 이민 통제의 핵심을 완전히 흔든 것이다. 그것은 어떤 의미에서도 사소한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17] 2013년 2월 22일 전자 발찌를 차고 풀려났다.[160]

영국으로 이주한 아일랜드인 어머니를 통해 로빈슨은 스티븐 약슬리-레넌이라는 이름으로 아일랜드 여권을 받을 자격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4년 8월, 세 명의 아일랜드 타흐터 달러는 그가 출생지를 "아일랜드"로 기재했다는 사실이 밝혀진 후, 그의 아일랜드 여권의 유효성을 조사할 것을 아일랜드 정부에 요청했다.[161]

주택담보대출 사기

[편집]

2012년 11월 로빈슨은 다른 5명의 피고인과 함께 주택담보대출 신청과 관련된 세 건의 허위 진술에 의한 사기 공모 혐의로 기소되었다.[162] 두 건의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했고 2014년 1월 18개월 징역형을 선고받았다.[163][159] 로빈슨의 사기는 6개월 동안 16만 파운드에 달했다. 앤드루 브라이트 판사는 그를 총 64만 파운드에 달하는 일련의 사기 중 "설계자는 아니더라도 주동자"라고 묘사했다. "이것은 처음부터 사기였고 상당한 사전 계획이 필요했다." 로빈슨은 로빈슨을 가짜 급여 명세서와 소득 정보를 제공하여 일부 피고인을 도운 사기 대출 중개인 데보라 로스차일드에게 다른 사람들을 소개한 "중개인"이라고 묘사했다.[152]

로빈슨은 HM Prison Woodhill에서 여러 동료 수감자들에게 공격당했다.[164][165] 이 공격 소식이 전해진 후, 마지드 나와즈법무장관 크리스 그레일링에게 로빈슨의 상황을 긴급하게 해결해달라는 편지를 썼다.[165][166] 이 사건 직후 로빈슨은 HM Prison Winchester로 이송되었다. 로빈슨은 싱크탱크 데모스의 이사 제이미 바틀렛에게 "우드힐에서는 갱스터 이슬람을 경험했다... 윈체스터에서는 종교로서의 이슬람을 경험했다"고 말했다. 로빈슨은 여러 무슬림 수감자들과 친구가 되었고, 그들을 "훌륭한 친구들... 지금 함께 사는 무슬림 수감자들에 대해 아무리 칭찬해도 부족하다"고 언급했다.[167] 2014년 6월 로빈슨은 가석방되었다. 그의 조기 석방 조건에는 2015년 6월 원래 형기가 끝날 때까지 EDL과의 접촉 금지가 포함되었다.[167] 2014년 10월 옥스퍼드 유니언에서 연설할 예정이었지만, 가석방 조건을 위반하여 행사 전에 다시 수감되었다.[168] 결국 2014년 11월 14일에 석방되었다.[169]

언론인 스토킹 및 괴롭힘

[편집]

2021년 사건

[편집]

2021년 1월 17일 오후 10시 이후, 로빈슨은 언론인 리지 디어든의 집으로 찾아가, 디어든이 로빈슨이 지지자들로부터 받은 기부금을 부적절하게 사용했다는 의혹에 대한 기사를 작성하기 위해 그의 의견을 물었기 때문이었다. 디어든의 파트너를 소아성애증으로 허위 고발하고 매일 밤 다시 찾아오겠다고 위협했다. 이 사건으로 체포되었고, 또한 텔레그램 채널에 디어든의 파트너 사진을 게시하며 파트너에 대해 "심각한 주장"이 제기되었다고 밝혔다. 기사 출판을 막기 위해 부부를 위협했다고 알려졌다. 디어든의 기사는 2021년 3월 18일에 출판되었다.[170] 3월 19일, 로빈슨은 임시 스토킹 금지 명령을 받았다.[171][172] 2021년 10월 13일, 로빈슨은 웨스트민스터 치안법원에서 부부를 스토킹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그들과 연락하거나 그들을 언급하는 것이 5년간 금지되었다.[173][174] 2023년 10월 19일, 로빈슨은 디어든의 파트너에 대해 제기한 혐의가 거짓임을 인정한 후 스토킹 금지 명령에 대한 항소를 기각당했다.[175]

2025년 괴롭힘 주장

[편집]

2025년 5월 21일, 로빈슨은 2024년 8월 두 명의 데일리 메일 언론인을 상대로 폭력에 대한 두려움을 유발하는 괴롭힘 혐의로 기소되었다. 2025년 6월 5일 웨스트민스터 치안법원에 출두했으며,[176][177] 배심원 재판을 선택했고, 2025년 7월 3일 사우스워크 왕실 법원의 사전 심리 전에 보석으로 석방되었다.[178] 심리에서 로빈슨은 무죄를 주장했다. 재판은 2026년 10월 16일로 예정되어 있다.[179]

경찰에 휴대전화 잠금 해제 거부

[편집]

2024년 11월 13일, 로빈슨은 2024년 7월 28일 포크스턴에서 경찰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휴대전화 PIN을 제공하지 않은 혐의로 법원에 출석했다. 원래 2025년 3월에 예정되었던 재판은[180] 2025년 10월 13일에 시작되었고,[178] 이틀간의 심리 후 10월 14일에 종료되었으며, 2025년 11월 4일에 판결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181][182]

그루밍 갱 사건에서의 법정 모욕죄

[편집]

2017년 유죄 판결

[편집]

2017년 5월 10일, 로빈슨은 법정모욕죄로 기소되었고 유죄 판결을 받았다.[149][150][151] 캔터베리 왕실 법원 내부를 촬영하고 배심원단이 심의 중일 때 피고인들을 "무슬림 아동 강간범"이라고 부르는 편향된 진술을 게시했다. 헤더 노턴 판사는 로빈슨이 "재판의 결과를 미리 판단하고 재판을 상당히 방해할 수 있는 비하적인 언어를 사용했다"고 말했다.[183] 그녀는 덧붙여, "이것은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 합법적인 저널리즘에 관한 것이 아니며, 정치적 올바름에 관한 것도 아니다. 이것은 정의에 관한 것이고, 재판이 공정하고 공평하게 진행되도록 보장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유죄가 입증될 때까지 무죄라는 원칙에 관한 것이며, 사람들이 위협받거나 무책임하고 부정확한 '보도' (그것이 보도였다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배심원의 진실성을 보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184]

법원은 나중에 로빈슨이 3개월 징역형을 선고받았고, 18개월 집행유예로 정지되었다고 잘못 진술했으며, 이는 법원에 기록되고 언론에 보도된 기술적으로 잘못된 결과였다.[183][185]. 법적으로 로빈슨은 범죄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은 것이 아니라 모욕죄로 수감된 것이며, 이는 항소법원에 의해 최종적으로 수정된 기술적 오류였다.[186]

이 기술적 오류의 파급 효과는 2018년에 집행유예가 활성화되면서 나타났다. 로빈슨은 다시 리즈에서 법정모욕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또다시 잘못된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캔터베리 집행유예가 활성화되었다.[186] 두 형량 모두 법정모욕죄에 대한 것이었으며, 이는 "해당 소송 절차의 사법 과정이 심각하게 방해되거나 편향될 상당한 위험"을 초래하는 연설이나 출판물을 포함할 수 있다.[184] 나중에 법원의 선고 절차에 대한 성공적인 이의 제기 후 석방되었고, 재심이 명령되었다.[183]

2018년 투옥

[편집]

로빈슨은 허더즈필드 성 학대 사건 재판에서 사법 과정을 위태롭게 한 혐의로 2018년 중반에 수감되었다가 풀려났다.[183][187] 2018년 5월 25일, 로빈슨은 리즈 왕실 법원 밖에서 라이브스트리밍을 하던 중 평화 방해 혐의로 체포되었으며,[184][188] 당시 허더즈필드 그루밍 갱 재판에 대해 판사가 보도 제한을 명령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위반했다.[189] 로빈슨의 체포 후 제프리 마슨 QC 판사[190]는 로빈슨 사건에 대해 추가적인 보도 제한을 명령하여, 그루밍 재판이 완료될 때까지 로빈슨 사건이나 그루밍 재판에 대한 보도를 금지했다.[191][188]

로빈슨에 대한 보도 제한은 언론인들의 이의 제기 후 2018년 5월 29일에 해제되었다. 언론은 로빈슨이 진행 중인 재판에 편견을 줄 수 있는 정보를 게시하여 법정모욕죄를 인정했고, 13개월 징역형을 선고받았다고 보도했다.[78] 마슨 판사는 로빈슨에게 법정모욕죄로 10개월 형을 선고하고, 이전에 집행유예로 선고되었던 3개월 형은 위반으로 인해 활성화되었다. 로빈슨의 변호사는 로빈슨이 자신의 행동의 잠재적 결과에 대해 "깊은 후회"를 느꼈다고 말했다.[190] 1981년 법정모욕죄법에 따른 일시적인 섹션 4 (2) 명령을 위반한 혐의로,[192] 로빈슨은 자신의 행동으로 인해 재심이 열려야 할 경우 "수십만 파운드"의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말을 들었다. BBC의 국내 문제 특파원 도미닉 카시아니는 "이것은 로빈슨에게만 적용되는 새로운 형태의 검열이 아니다. 이 규칙은 우리 모두에게 똑같이 적용된다. 그가 이에 대해 확신하지 못한다면, 이제 '언론인을 위한 필수 법률'을 읽을 시간이 있다"고 말했다.[190][193]

지지자들의 반응

[편집]
2018년 6월 9일 트라팔가 광장에서 로빈슨 석방 시위

로빈슨의 투옥은 우익 진영의 비난을 불러일으켰다.[194] 영국 독립당 대표 제라드 배튼 MEP는 재판 절차와 보도 금지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195] 로빈슨은 네덜란드 자유당 대표 헤이르트 빌더르스[188]와 독일 극우 독일을 위한 대안 (AfD) 의원 페트르 비스트론을 포함한 유럽의 여러 우익 정치인들로부터 공감을 얻었다.[196]

로빈슨의 체포 후 주말 동안 그의 지지자들은 지지를 표명하기 위해 집회를 열었다.[188][197][198] 6월 9일 런던 시위에서는 1만 명이 넘는 시위대가 트라팔가 광장 주변 도로를 막았고, 일부는 경찰을 공격하여 5명의 경찰관이 부상을 입었다.[198] 일부 시위대는 무슬림 여성이 버스를 운전하는 것을 방해하고,[199] 나치 경례를 했으며, 경찰에게 비계, 유리병, 길거리 가구를 던지고 차량과 건물을 파손했다.[200] 그의 석방을 요구하는 온라인 청원에는 50만 명이 넘는 서명이 있었다.[201] 희망이 증오가 아니다는 반파시스트 옹호 단체는 분석 결과 서명자의 68.1%가 영국, 9.7%가 호주, 9.3%가 미국 출신이며 나머지는 캐나다, 독일, 프랑스, 뉴질랜드, 네덜란드, 스웨덴, 아일랜드 출신이라고 밝혔다.[202]

6월 중순, 로빈슨은 HM Prison Hull에서 HM Prison Onley로 이송되었는데,[203] 이 교도소는 미들랜즈에서 무슬림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곳 (30.4%)이었다.[204] 당시 로빈슨의 카메라맨이었던 카올란 로버트슨은[205] 교도소의 무슬림 인구를 크게 과장하여 미국의 음모론자 앨릭스 존스에게 로빈슨의 새 교도소가 "약 71%가 무슬림"이며 따라서 "정말 정말 정말 재앙적"이라고 말했다. 전 브라이트바트 뉴스 편집자 라힘 카삼새지드 재비드 내무장관이 로빈슨을 그곳으로 이송했다고 허위로 주장하며 트위터에 자신의 팔로워들과 공유했다.[204] 로빈슨 지지자는 로빈슨과 관련하여 재비드를 겨냥한 위협적이고 모욕적인 메시지를 게시한 혐의로 나중에 투옥되었다.[206] 2018년 7월, 로이터국제 종교의 자유를 위한 미국 대사, 전 상원의원 샘 브라운백이 로빈슨의 처우에 대해 영국 정부에 로비했다고 보도했다.[207] 중동 포럼도 미국 정부에 로비하고 집회 및 법률 지원을 위해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다.[208] 중동 포럼은 로빈슨의 법률 방어 기금에 5만 달러를 기부했다.[209]

항소 심리

[편집]

로빈슨은 처음에 리즈에서의 절차에 대해 항소했지만, 나중에는 캔터베리리즈 모두에서의 유죄 판결에 대해 항소했다.[210] 항소법원은 로빈슨이 "사실상 독방 감금"되어 변호사들과 만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에 기한이 지난 로빈슨의 항소를 심리하기로 동의했다.[211] 이 문제는 2018년 7월 18일 항소법원에서 최고 법관과 두 명의 다른 판사 앞에서 심리되었다. 로빈슨은 리즈에서 혐의를 인정하지 않았고 사과할 기회도 없었다고 말했다. 그의 변호사는 그의 초기 모욕 심리가 결함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혐의의 세부 사항이 명확하지 않았다. 자신의 형량이 불공평하다고 주장했다.[212] 법원은 2018년 8월 1일에 판결을 내렸다. 결과적으로 캔터베리 절차에 대한 항소는 기각되었고, 리즈 절차에 대한 항소는 승인되었다.

법원은 형사 범죄에 대한 징역형과 모욕죄로 인한 구금 간의 차이를 분석했다. 캔터베리에서 발생한 실수에 대해 항소 법원은 로빈슨을 대리하는 변호사들이 절차상의 오류를 알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실패가 당시 충분히 인지되었고 전술적 이유와 부수적인 이점을 위해 의도적으로 수정되지 않은 경우, 피고인이 하급 법원의 적절한 절차를 따르지 않았다고 불평하는 것은 부당하다."[186]:54 리즈 모욕죄와 관련하여 법원은 "리즈 왕실 법원이 규칙 제48부를 제대로 고려하지 않고 너무 신속하게 수감 명령을 내린 결정은 불공정함을 초래했다고 확신한다. 비디오의 어떤 부분이 모욕죄에 해당한다고 주장되었는지, 피고인이 변호인을 통해 어떤 부분을 모욕죄로 인정했는지, 그리고 어떤 행위에 대해 형량이 선고되었는지 명확하지 않았다"고 진술했다.[186]:83 캔터베리와 리즈의 왕실 법원 기록을 수정하여 로빈슨이 징역형이 아닌 법정모욕죄로 수감되었음을 명시하도록 명령되었다. 이 사건은 런던의 기록관 앞에서 "합리적으로 가능한 한 빨리" 올드 베일리에서 재심리되도록 명령되었다.[186]:86 로빈슨은 보석으로 풀려났다.[186]:86

투옥 후

[편집]

2018년 8월 2일 로빈슨은 터커 칼슨 투나잇에서 인터뷰했다.[213] 주로 두 달간의 감금 생활에 대해 이야기했다. 처음에는 HM Prison Hull에 수감되었고, 그곳에서 잘 대우받았다고 말했다. 그 후 HM Prison Onley로 이송되었고, 그곳에서 '독방 감금'을 포함한 심각한 학대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HM Prison Service는 그의 주장을 부인하며 "로빈슨 씨는 모든 수감자에게 보여주려는 것과 동일한 공정성으로 대우받았다. 면회, TV, 샤워 시설에 접근할 수 있었으며, '독방 감금'되었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또한, 그의 안전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48시간 동안 보호 및 분리 병동에 수감되었다고 말했다.[203]

세 건의 허더즈필드 그루밍 갱 재판에서 배심원단이 최종 평결에 도달한 후 보도 제한이 해제되었다. 요크셔 이브닝 포스트는 일시적인 제한을 준수했던 이유를 "첫 번째 재판을 보도했다면 배심원단이 두 번째 재판에서 영향을 받았을 수 있고, 변호인은 의뢰인들이 공정한 심리를 받을 수 없다고 주장했을 수 있다. 재판 전체가 무너졌을 수도 있다. 판사는 공정한 재판을 받을 수 없다고 판결했을 수 있으며, 그 소녀들은 결코 범인들이 정의의 심판을 받는 것을 보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설명했다.[187]

2018년 10월, 미국의 공화당 정치인 폴 고사와 6명의 다른 미국 의회 의원들은 로빈슨을 2018년 11월 14일 비공개 회의에 초청했다.[214] 이 여행은 중동 포럼이 후원할 예정이었으며, 중동 포럼은 로빈슨이 투옥된 이후 법률 자금을 제공해왔다고 밝혔다.[214] 로빈슨은 여행 비자를 받지 못했다.[215][33]

새로운 재판

[편집]

9월 27일과 10월 23일 법원 심리 후,[216] 이 사건은 법무장관 제프리 콕스 QC에게 회부되었다. 니콜라스 힐리아드 판사는 이 문제가 너무 복잡하여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하다고 말했으며, "모든 증거는 엄격하게 검증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회부는 증인들이 교차 심문을 받을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이다.[217][218]

2019년 3월, 법무장관은 로빈슨에 대한 추가 소송을 진행하는 것이 공익에 부합한다고 결정했다. 법정모독죄 유죄 판결은 2018년 8월 "절차상의 하자"로 인해 항소법원에서 파기되었으며,[219][220] 로빈슨은 새로운 올드 베일리 절차를 기다리며 보석으로 풀려났다. 그러나 런던의 기록관 니콜라스 힐리아드는 2018년 10월 이 사건을 법무장관에게 추가 조사를 위해 회부했다. 5개월간의 추가 조사 끝에 콕스는 로빈슨에 대한 추가 소송을 제기하기로 결정했으며, "스티븐 약슬리-레넌에 대한 새로운 법정모욕죄 소송을 제기할 강력한 근거가 있다"고 결론 내렸다. 덧붙여, "현재 소송이 진행 중이므로 추가적인 언급은 부적절하며, 모두에게 진행 중인 법원 사건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범죄임을 상기시킨다." 이 재개된 사건의 첫 심리는 2019년 3월 22일 런던 고등법원에서 열릴 예정이었다. 로빈슨은 이에 대해 법무장관의 이 새로운 절차가 "영국 정부와 기득권층, 그리고 그들의 모든 잘못을 폭로하는 언론인 [로빈슨]에 대한 지속적인 국가적 박해"의 일부라고 주장하며 반응했다.

2019년 7월 5일, 로빈슨은 세 가지 다른 사유로 재심에서 다시 법정모욕죄 유죄 판결을 받았다.[221] 이 중에는 보도 제한 위반도 포함되었다.[222] 그의 비디오가 허더즈필드 재판에서 실시간 스트리밍된 지 며칠 만에 변호인들은 배심원단이 편향되었을 수 있다는 이유로 배심원 해산을 신청했고, 이는 재판을 무산시킬 수도 있었다. 변호인들은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인터넷에서 350만 건의 조회수를 기록한 상황에서 이 정보가 배심원단에게 전달되지 않았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입니다. 배심원단이 스스로 정보를 찾았든 아니든,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하지 않았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입니다.[222]

7월 11일 예정된 선고일 3일 전, 로빈슨은 극우 음모 채널 인포워즈앨릭스 존스 쇼에 출연하여 미국에 정치적 망명을 호소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저는 영국에서 언론 활동으로 사형 선고를 받기까지 이틀밖에 남지 않은 것 같습니다. 오늘 저는 도널드 트럼프와 그의 행정부, 그리고 공화당에 저와 제 가족에게 미국에서 정치적 망명을 허가해 줄 것을 요청합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에 간곡히 호소합니다. 제 사건을 살펴봐 주십시오. 저는 이 나라에서 탈출해야 합니다. 어두운 세력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 이것은 제 가족을 대표하여 직접적인 호소입니다. 우리는 미국을 사랑합니다. 저는 이곳 [영국]에서 미래가 없습니다. 이 나라는 몰락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제 종교 자유 대사인 전 상원의원 샘 브라운백은 2018년 로빈슨의 투옥 문제를 영국 정부와 논의했으며, 트럼프의 아들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는 트위터에 로빈슨을 지지하는 글을 올렸다.[223][224] 2019년 7월 11일, 로빈슨은 올드 베일리에서 9개월 징역형을 선고받았다.[225][226] 이 선고를 "완전히 농담 같다"고 묘사하며 시위를 촉구했다.[227] 법원 밖에서 그의 지지자들 중 일부는 야유를 보냈고, 군중은 "토미를 내보내라"고 외치며 건물 쪽으로 행진했다. 일부는 경찰에게 병과 캔을 던지기 시작했다.[228] 로빈슨은 이미 69일을 복역했고 약 10주를 더 복역해야 했다.[229] 2019년 9월 13일, 로빈슨은 9주 복역 후 석방되었다.[230] 며칠 후, 로빈슨은 감옥에서 줄리언 어산지와 이야기했다고 말하며, 그를 지지한다고 발표했다.[231]

시리아 난민 명예훼손 사건

[편집]

2018년 10월, 학교 왕따 사건에서 시리아 난민 소년이 폭행당한 후, 로빈슨은 그 피해자가 이전에 두 명의 여학생을 폭행했다고 허위로 주장했다. 15세 난민 소년은 목을 잡고 바닥으로 끌려갔고, 공격자는 물을 입에 강제로 넣으면서 "너를 익사시킬 거야"라고 말했다. 소년의 팔은 별도의 폭행으로 부러져 깁스를 하고 있었다.[232] 그의 여동생도 폭행당했다.[233]

공격자로 추정되는 16세 소년은 경찰의 조사를 받고 법원 소환장을 받았으며, 로빈슨의 소셜 미디어 게시물을 다수 공유했다.[232] 로빈슨은 나중에 페이스북에 자신의 딸이 괴롭힘을 당했다고 주장하는 어머니의 메시지 스크린샷을 게시하고 난민 소년이 괴롭힘을 주도했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그 어머니는 로빈슨의 페이스북 페이지에 이는 사실이 아니라고 답변했다.[234] 로빈슨은 또한 십대 암 환자에 대한 뉴스 기사에서 도용한 사진을 사용하여 허위 주장을 했다.[235]

이러한 사건들로 인해 난민 가족은 "아이들이 받은 학대가 너무 심해져" 이사를 할 수밖에 없었다.[236] 가족은 웨스트요크셔주의 다른 곳으로 이사하기로 결정했다.[237] 로빈슨은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 여러 비디오를 게시하여, 그 중 하나는 15만 회 이상 조회되었는데, 이는 가해자로 지목된 사람의 이름을 공개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원 명령을 위반했을 수 있다. 한 변호사는 로빈슨이 그렇게 함으로써 난민의 고통을 "가중시켰다"고 말하며, "소셜 미디어의 많은 사람들이 로빈슨 씨의 거짓말을 보고 믿었으며, [난민]에게 분노를 표출했다"고 덧붙였다.[238]

2019년 1월, 난민 소년은 알몬드베리 커뮤니티 학교로 돌아가는 것이 여전히 너무 위험하다고 말했다. 로빈슨의 게시물 때문에 "집 밖에 사람들이 서성거리며 휴대전화로 저를 촬영합니다. 제가 밖에 나가면 '작은 쥐새끼'라고 부릅니다. 어제는 이웃 중 한 명이 집 밖에서 저를 위협했습니다"라며 두려움 속에서 살고 있다고 말했다.[239] 그의 변호사들은 로빈슨의 게시물이 그를 "극우파로부터 셀 수 없는 증오 메시지와 위협의 초점"으로 만들었고, 경찰의 안전 경고를 초래했다고 말했다.[240]

난민 소년 가족을 대리하는 변호사들로부터 로빈슨이 게시한 영상에 "다수의 허위 및 명예훼손 주장이 포함되어 있다"고 지적하는 편지를 받은 후, 로빈슨은 추종자들에게 그것이 가짜 뉴스이며 자신이 속았다고 인정하며, "완전히 속았다, 정말 창피하다"고 말했다.[241] 로빈슨은 영상을 삭제하고 무슬림 갱단에 의한 폭력을 보여주는 위조 사진을 게시했음을 인정했다.[242] 명예훼손으로 법적 조치를 받을 수 있다는 경고를 받았다. 로빈슨 지지자들이 이 경고가 표현의 자유를 "차단한다"는 주장에 대해 소년의 변호사는 "토미 로빈슨은 이 15세 소년을 명예훼손하고 자신이 괴롭힘의 원인이라고 비난하는 것이 좋은 생각이라고 생각한다. 정말 역겨운 일이다"라고 말했다.[243] 2019년 5월 15일, 소년의 변호사는 자신의 의뢰인이 로빈슨이 한 "명예훼손 발언"으로 로빈슨을 고소하고 있다고 말했다.[244]

페이스북은 로빈슨과 같은 저명한 인물들을 일반적으로 페이지가 규칙을 위반하는 콘텐츠를 게시하면 삭제되는 일반적인 관리 규칙으로부터 보호했다고 보도되었다. 피해자를 대리하는 변호사들은 페이스북이 로빈슨의 게시물에 대해 "재정적인 동기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특별 대우"를 제공했기 때문에 페이스북이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며 소셜 미디어 회사에 대해 법적 조치를 취하고 있다.[239] 그러나 2019년 2월 26일, 페이스북은 로빈슨이 커뮤니티 표준을 위반하고 "무슬림을 대상으로 한 비인간적인 언어와 폭력을 촉구하는 자료"를 게시한 혐의로 서비스를 금지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조직적인 증오"와 관련된 정책 위반도 언급했다.[245]

2021년 7월 22일, 로빈슨은 소년을 명예훼손한 것으로 밝혀져 10만 파운드와 법정 비용을 지불하라는 명령을 받았는데,[246] 이는 추가로 50만 파운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로빈슨이 명예훼손을 반복하는 것을 막기 위한 금지 명령도 내려졌다.[247] 4일간의 재판에서 자신을 변호한 로빈슨은 피해자 변호사들이 청구하는 비용에 "놀랐다"고 말했으며, 증인 진술을 받는 데 7만 파운드가 포함되었다고 말했다. 덧붙여: "저는 돈이 없습니다. 저는 파산했습니다. 지난 12개월 동안 저 자신의 문제로 매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저는 그것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246] 2022년 1월, 로빈슨의 채권자들 (학교 소년과 소년의 변호사를 포함하여 법정 비용으로 약 150만 파운드를 빚지고 있었다)은 2022년 3월 청구 마감일 이전에 로빈슨이 숨기고 있을 수 있는 자산이나 돈을 찾기 위해 독립적인 지급불능 전문가를 임명했다.[23][24]

침묵

[편집]

로빈슨은 알몬드베리 지역사회 학교 왕따 사건에 대한 영화 '침묵'을 제작했다. 이 영화는 음모론과 가짜뉴스를 게시하는 것으로 알려진 앨릭스 존스가 소유한 웹사이트 인포워즈의 자금 지원을 받았다.[248][249] 인포워즈는 2024년에 파산 신청을 했으며, 영화의 첫 편집본 예고편은 2021년에 인포워즈에서 공개되었다.[250] 2023년까지 로빈슨은 MICE Media (도널드 트럼프의 지지자이자 음모론자인 미국 기술 기업가 브린 데이비스가 설립한 현재는 없어진 미디어 채널)와 협력하여 '침묵'의 새로운 버전을 완성했다.[250] MICE Media 버전의 '침묵'은 2023년 4월 1일 코펜하겐에서 덴마크 인민당덴마크 자유 언론 협회가 주최한 행사에서 공개되었는데, 이 두 단체는 인종차별과 반무슬림 증오와 연관되어 있다.[250] 로빈슨은 이 행사에서 무슬림 이민으로 인해 유럽이 인종 간 내전 직전이라고 주장하는 DPP 대표 모르텐 메세르슈미트의 환영을 받았다.[250]

영화에서 로빈슨은 소년에 대한 자신의 명예훼손 주장을 반복한다.[251][252] 이 사건과 그로 인한 여파를 "법이 극좌와 이슬람주의자들에 의해 조작되고 착취되어 소위 진보적이고 소위 자유주의적인 서사에 반대하는 모든 사람들의 삶을 파괴하는 이야기"로 묘사한다. Logically Facts의 샘 도크는 이 영화의 개봉이 "잠재적인 법적 위험을 초래한다"고 썼다.[252] 2025년 1월 1일, 일론 머스크 트위터 소유자는 이 영화 전체를 리트윗하며 "볼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253][더 나은 출처 필요] 다음 날, 머스크는 "토미 로빈슨을 풀어줘!"라고 트윗했고, 다른 게시물에서는 "토미 로빈슨이 진실을 말한 것 때문에 독방 감금되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라고 썼다.[254] 2025년 1월 7일, 로빈슨은 머스크를 칭찬하고 머스크가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팟캐스트를 공개했다. HM Prison Service는 로빈슨이 감옥에서 어떻게 팟캐스트를 녹음하고 공개했는지 조사하기 시작했다.[255]

2024년 체포 및 투옥

[편집]

2024년 7월 28일, 로빈슨은 트라팔가 광장에서 열린 그의 '유나이트 더 킹덤' 시위 직후 2000년 테러법에 따라 "제7호 스케줄 검사 방해" 혐의로 켄트 경찰에 의해 채널 터널의 포크스톤에서 체포되었다.[256] 보석으로 풀려났다.[257] 트라팔가 광장 시위에서 로빈슨은 침묵이라는 자신의 영화를 고등법원 명령에도 불구하고 상영한 것으로 알려졌다. 7월 29일 영화 제작과 관련하여 고등법원 법정모욕죄 심리에 참석할 예정이었다.[257] 그가 영국을 떠난 후 체포 영장이 발부되었고, 10월 후속 심리에 불참할 경우 발효될 예정이었다.[258]

2024년 10월 28일 울위치 왕실 법원에서 열린 심리 전에,[259] 로빈슨은 10월 25일 포크스톤 경찰서에 자수하여 구금되었다.[260] 심리에서 로빈슨은 시리아 난민에 대한 허위 주장을 반복하여 법정모욕죄를 인정했다.[261] 18개월 징역형을 선고받았고[262][263] 80,350.82파운드의 소송 비용 명령을 받았다.[263][264] 판사는 나중에 로빈슨에게 2025년 1월 7일 오후 4시까지 5만 파운드를 지불하도록 명령했다.[265] 로빈슨은 자신의 변호사에 의해 "언론인"으로 묘사되었다. 제러미 존슨 판사는 로빈슨이 반성하지 않았고 재활 가능성이 현실적으로 없다고 말하며 "그의 지금까지의 모든 행동은 그가 자신을 법 위에 있는 존재로 간주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261]

로빈슨은 처음에 HM Prison Belmarsh에 구금되었다.[266] 교도소장이 흑인 여성인데, 교도소장이 수많은 모욕적이고 인종차별적인 이메일을 받고 위협을 받은 후 이송되었다.[267] 2024년 11월 1일, 로빈슨은 다른 수감자들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HM Prison Woodhill의 폐쇄 병동에 수감되었다.[180]

교도소 분리 조치에 대한 이의 제기

[편집]

2025년 3월, 로빈슨은 법무부가 HM Prison Woodhill에서 다른 수감자들과 자신을 분리하기로 한 결정에 이의를 제기했다. 로빈슨은 고등법원에 자신이 "계속되는 독방 감금의 장기적인 결과에 공포를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268] 법무부는 두 명의 다른 수감자가 로빈슨을 폭행할 계획이라는 여러 정보 보고를 받은 후 로빈슨을 분리했다고 밝혔다. 법무부는 로빈슨이 병동에 계속 머무를 경우 "종신형 수감자에 의해 살해당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269] 법무부는 또한 로빈슨의 격리는 일반적인 격리 조치보다 "상당히 더 허용적"이었다고 밝혔다. 로빈슨은 노트북과 이메일을 사용할 수 있었고, 하루 3시간 동안 체육 시설을 이용할 수 있었으며, 매일 4시간 동안 사적인 전화 통화를 할 수 있었다. 또한 2024년 11월 이후 로빈슨은 1,250회 이상의 사적인 전화 통화를 했고, 수백 통의 이메일을 보냈으며, 90회 이상의 방문이 승인되어 다른 어떤 수감자보다 많았다고 밝혔다.[268][269][267]

2025년 3월 21일, 체임벌린 판사는 로빈슨의 주장을 기각하면서, 로빈슨의 변호사조차도 그가 "저항을 꺾거나 굴욕감을 주거나 비하할 목적으로" 격리되었다는 증거가 없음을 인정했다고 말했다. 체임벌린 판사는 이 결정이 "로빈슨 자신의 보호를 위해 그리고 다른 수감자들과 직원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내려졌다고 판결했다.[267]

법정모욕죄 선고에 대한 항소

[편집]

2025년 4월, 로빈슨은 법정모욕죄로 받은 18개월 징역형에 대한 항소에서 패소했다. 항소법원은 그의 감금으로 인한 정신 건강 영향에 대한 주장을 기각하며 형량을 줄일 "합리적인 근거가 없다"고 판결했다. 2025년 7월 가석방될 것으로 예상되었다.[270] 그러나 2025년 5월, 고등법원은 로빈슨이 향후 금지 명령을 준수하겠다고 약속한 것을 근거로 그의 형량을 4개월 줄였다. 그 결과, 로빈슨은 2025년 5월 27일 밀턴킨스의 HM Prison Woodhill에서 석방되었다.[271][272]

소셜 미디어 금지 및 X 복원

[편집]

2018년 3월, 로빈슨은 "증오 행동"에 대한 트위터 규칙을 위반하여 트위터에서 영구적으로 차단되었다.[273] 2019년 1월, 유튜브는 로빈슨의 계정에서 광고를 제거했다고 발표하며 그가 사이트의 지침을 위반했다고 말했다.[274] 2019년 2월, 페이스북인스타그램은 "무슬림을 대상으로 한 폭력 촉구"를 포함한 증오언설 규칙 위반을 이유로 그를 플랫폼에서 차단했다.[275] 페이스북은 이후 그를 위험한 개인 및 조직 목록에 올렸다.[276]

2019년 4월, 유튜브는 로빈슨의 계정을 "경계선 콘텐츠"로 인해 제한했으며, 그의 콘텐츠를 "[경고 페이지] 뒤에 배치하고, 추천에서 제외하고, 실시간 스트리밍, 댓글, 추천 영상, 좋아요 등 주요 기능을 제거했다."[277] 같은 달, 스냅챗은 로빈슨의 계정을 증오 발언 및 괴롭힘을 금지하는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해지했다.[278] 2020년 4월, 로빈슨은 "증오 이념을 조장하는" 콘텐츠를 공유한 혐의로 틱톡에서 차단되었다. 로빈슨은 꾸란을 들고 "이 책이 우리가 이 지경이 된 이유"라고 말하는 클립을 공유했다. 차단 후 로빈슨은 러시아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VK에 가입했다.[279]

2023년 11월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이후, 2023년 11월 5일 로빈슨의 트위터 계정이 복원되었다.[280] 2024년 8월 13일, 리처드 에버릿 살해 사건 30주년 기념일에 로빈슨은 X에 그 범죄로 기소된 세 피고인, 미아, 악바르, 하이가 살해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사실 하이는 무죄 판결을 받았다. 로빈슨에게 이 사실을 진술하고 게시물을 신고했다. 8월 16일 트윗은 사라졌지만, 로빈슨은 원본 스크린샷을 복사하여 또 다른 게시물을 올렸는데, 로빈슨은 이 문제를 항소하는 동안 X 계정 정지를 피하기 위해 삭제했다고 설명했다. 하이의 변호사 미스콘 드 레야는 두 번째 게시물을 신고한 후 8월 28일 X에 소송 전 서한을 보냈다. 이 게시물은 변호사들이 정한 기한 내인 9월 6일에 삭제되었다. 그러나 하이는 X가 자체 정책을 지키기 위해 충분한 노력을 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변호인단은 2023년 온라인 안전법이 이러한 유해한 온라인 콘텐츠를 줄일 잠재력이 있다고 말했다.[281] 2025년 1월 2일, X의 소유자인 머스크는 자신의 X-피드 상단에 "토미 로빈슨을 풀어줘"라는 메시지를 고정했다.[282]

재정 지원

[편집]

2017년, 미국의 억만장자 사업가 로버트 J. 실먼은 로빈슨의 캐나다 우익 웹사이트 리벨 뉴스 펠로우십을 후원했으며,[283] 로빈슨은 매월 6,000달러(5,000파운드) 이상을 받았다.[284] 스티브 배넌과 미국 국무부 관리인 샘 브라운백도 로빈슨에 대한 미국의 지지를 표명했으며,[283] 전 패라지 고문이자 브라이트바트 뉴스 런던 편집장이었던 라힘 카삼도 미국에서 로빈슨을 위한 자금 모금을 도왔다.[283]

2018년, 로빈슨은 그의 투옥 반대자들이 모집한 기부금으로 200만 파운드를 받았다.[285] 같은 해, 다니엘 파이프스가 이끌고 카삼이 회원인 중동 포럼 싱크탱크는 ( "반무슬림 정서를 조장한다"고 묘사됨[283]) 로빈슨 지지 집회를 후원하고 그의 징역형 항소에 대한 법률 비용을 지불했다고 밝혔다.[286] MEF는 로빈슨의 법률 비용과 2018년 런던에서 열린 시위에 6만 달러 (4만 7천 파운드)를 지출했으며,[283] 공화당 하원의원 폴 고사를 런던으로 데려와 집회 중 하나에서 연설하도록 했다.[283]

로빈슨은 또한 극우 옐로우 베스트 오스트레일리아 그룹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다.[284] 2018년 말 몇 달 동안 로빈슨은 자선 기부금으로 사용되는 페이스북의 기부 기능을 사용하여 새로운 음모론 웹사이트와 감옥에서의 처우에 대한 영국 정부를 상대로 한 법적 조치를 위한 자금을 조달했다. 페이스북은 로빈슨 페이지에서 이 버튼을 제거했다.[284] 2018년 11월 페이팔은 로빈슨에게 더 이상 그의 대금을 처리하지 않을 것이라고 통보했고, 로빈슨은 이를 "파시즘"이라고 묘사했다.[287] 이 서비스는 "증오, 폭력 또는 기타 형태의 차별적인 불관용을 조장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288] 로빈슨은 일부 극우 친이스라엘 단체의 지지를 받기도 했지만, 유대인 시민권 단체인 반명예훼손연맹의 비판을 받았다.[289] 2021년에는 로빈슨이 200만 파운드 이상의 기부금과 후원금을 받았다고 보도되었다.[209]

파산

[편집]

명예훼손 재판 후 약 160만 파운드의 비용이 발생하기 전에, 로빈슨은 스티븐 크리스토퍼 레넌이라는 이름으로 2021년 3월 파산 신청을 했다.[170] 공적 수탁자는 그가 다른 사람의 명의로 숨겨놓은 자산을 포함하여 은닉된 자산을 찾고 있었다.[290] 전 직원들은 그를 지원하기 위해 모금된 돈이 어떻게 되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자금 남용 혐의를 부인한다.[170] 2022년 1월, 로빈슨에게 돈을 받을 사람들이 (명예훼손 피해를 입은 학생, 학생의 변호사, HM Revenue and Customs, 전 사업 파트너, 그리고 배로인퍼니스구를 포함하여) 2022년 3월 청구 마감일 이전에 돈을 회수하기 위해 독립적인 지급불능 전문가를 임명했다.[23][24]

2022년 6월, 런던 고등법원에서 로빈슨은 파산 선언 전에 도박으로 10만 파운드를 썼다고 말하며 "완전히 정신적으로 무너졌다"고 밝혔다. 또한 HMRC에 약 16만 파운드의 빚을 지고 있다고 말했다.[291] 2022년 8월 1일 로빈슨은 자신의 재정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고등법원에 출석하지 않아 900파운드의 벌금을 부과받았고,[292] 2만 파운드의 비용을 지불하라는 명령도 받았다.[293]

세금 조사

[편집]

2024년 8월, 타임스는 로빈슨이 채권자들에게 약 200만 파운드를 빚지고 있다고 보도했으며,[294] 그와 그의 동료들이 "비밀 회사들의 거미줄"을 만들어 160만 파운드 이상의 수익을 올렸지만 세금을 내지 않았다고 말했다.[295] 6년 동안 이 법인들의 이사들은 연간 회계 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았으며, 그 중 한 회사(Hope and Pride Ltd)는 법인세와 고용주 기부금으로 HMRC에 328,000파운드를 빚지고 있었다.[295] 로빈슨은 HMRC 세금 조사의 대상이었고, 세금 목적으로 "비거주자"가 되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보도되었다.[296] 2010년대 후반, 로빈슨은 두 가지 다른 이름 (폴 해리스와 스티븐 레넌)으로 다섯 개의 회사를 등록하여 법을 위반했을 가능성이 있다.[297]

각주

[편집]
  1. Lindsay, Jessica (2018년 8월 1일). “Why did Tommy Robinson change his name from real name Stephen Yaxley-Lennon?”. 《Metro》. 2024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8월 4일에 확인함. 
  2. Nicholson, Kate (2023년 11월 27일). “Why Was Tommy Robinson Arrested At The March Against Antisemitism?”. 《HuffPost UK》. 2023년 1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6월 9일에 확인함. 
  3. “Tommy Robinson: Who is the ex-EDL leader born Stephen Yaxley-Lennon?”. 《ITVX》. 2018년 8월 1일. 2024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6월 9일에 확인함. 
  4. “Tommy Robinson profile: Convicted criminal is one of UK's most prominent far-right activists”. 《아이리시 타임스》. 2023년 1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1월 28일에 확인함. 
  5. TRobinsonNewEra. “To those who say I'm not a journalist , FUCK YOU. I'm the best uk journalist & nothing can stop my work” (트윗).  |날짜=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6. Casciani, Dominic (2021년 7월 22일). “Tommy Robinson loses Jamal Hijazi libel case” (영국 영어). 《www.bbc.co.uk》. 2025년 6월 10일에 확인함. 
  7. Beatty, Zoë (2025년 1월 9일). “How one woman turned a small town's grooming scandal into a Tommy Robinson-fuelled race war” (영국 영어). 《www.independent.co.uk》. 2025년 6월 10일에 확인함. 
  8. “Who is Tommy Robinson - the former EDL leader once branded a 'bigoted lunatic'. 《The Telegraph》. 2017년 6월 20일. ISSN 0307-1235. 2024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6월 9일에 확인함. 
  9. Elgot, Jessica (2013년 6월 16일). “EDL's Tommy Robinson Admits Real Name Is Stephen Yaxley, Was In BNP To Andrew Neil On Sunday Politics”. 《The Huffington Post (UK)》. 2013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20일에 확인함. 
  10. “Profile: Tommy Robinson”. 《BBC News》. 2013년 10월 8일. 2024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6월 9일에 확인함. 
  11. Triggernometry (2025년 8월 10일). 《An Honest Conversation With Tommy Robinson》. 2025년 8월 11일에 확인함 – YouTube 경유. 
  12. Rowland Hill, Matt (2013년 10월 18일). “Who is the real Tommy Robinson?”. 《The Daily Telegraph》 (London, UK). 2013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20일에 확인함. 
  13. Copsey, Nigel (2010). “The English Defence League: Challenging our Country and our Values of Social Inclusion, Fairness and Equality” (PDF). Faith Matters. 13–14쪽. 2011년 11월 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9월 2일에 확인함. 
  14. “Under the skin of English Defence League”. 《BBC News》. 2009년 10월 12일. 2023년 4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9월 5일에 확인함. 
  15. “The EDL – Britain's Far Right Social Movement” (PDF). Radicalism and New Media Research Group, University of Northampton, 22 September 2011. 2012년 1월 2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2일에 확인함. 
  16. Lowles, Nick and Cressy, Simon (July 2010) "The BNP Past of the EDL Leader", Searchlight n.21, pp.4–5.
  17. “EDL leader Stephen Lennon jailed for false passport offence”. 《BBC News》. 2013년 1월 7일. 2017년 4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17일에 확인함. 
  18. Hopkins, Steven (2015년 12월 10일). “Tommy Robinson Explains The Making Of An Alter-Ego Even His Wife Can't Stand”. 《Huffington Post UK》. 2015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After high school Robinson got an apprenticeship to study aircraft engineering at Luton Airport, but shortly after qualifying he was jailed for a year for assaulting an off-duty policeman... The officer had come to the rescue of Robinson's then girlfriend... The couple were "drunk arguing" at 3am. The cop wanted to walk Robinson's girlfriend home. Robinson: 'I was being heated, and arguing, but I've never, ever, ever, ever, ever assaulted my missus and my wife. So I'm like, "fuck off man, what-you-talking-about".' At that point Robinson said the officer 'rugby tackled him' to the floor. 'I'm a young 23, 21-year-old lad and I'm pissed up, like to fight, and we're fighting, so I started fighting him, and when he's gone down to the floor.' Speaking in a low-voice now: 'I've kicked him in the head.' 
  19. Kelly, Jane (2018년 5월 28일). “Tommy Robinson; The Three Boys. Drunk Driving or a police cover up?”. 《Salisbury Review》. 2019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1일에 확인함. 
  20. Anil, Pratinav (2024년 8월 27일). “Tommy Robinson, England's class clown”. 《UnHerd》. 
  21. “Tommy Robinson Explains The Making Of An Alter-Ego Even His Wife Can't Stand”. 《HuffPost UK》. 2015년 12월 10일. 
  22. “Tommy Robinson: The rancour, rhetoric and riches of brand Tommy”. 《BBC News》. 2019년 7월 11일. 2021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24일에 확인함. 
  23. Sandford, Daniel (2022년 1월 20일). “Tommy Robinson pursued by creditors for an estimated £2m”. 《BBC News》. 2022년 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20일에 확인함. 
  24. Harries, Nicola; Batstone, Victoria (2022년 1월 25일). “A tactical bankruptcy?”. 《Stevens & Bolton》. 2024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0월 28일에 확인함. 
  25. Randolph, Eric (2013년 10월 8일). 'What we're really against is extremism...': The complex world of former EDL leader Tommy Robinson revealed”. 《The Independent》. 2015년 10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18일에 확인함. 
  26. Collins, Lauren (2011년 7월 4일). “Letter from Luton: England, Their England”. 《The New Yorker》. 2021년 5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24일에 확인함. 
  27. Siddique, Haroon. “Tommy Robinson quits EDL saying it has become 'too extreme'. 《The Guardian》. 2013년 10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8일에 확인함. 
  28. “Ex-EDL leaders Tommy Robinson and Kevin Carroll cleared”. 《BBC News》. 2013년 10월 16일. 2019년 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17일에 확인함. 
  29. Gover, Dominic (2014년 7월 1일). “EDL's Tommy Robinson Quits over 'Dangerous Far-Right Extremists'.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2019년 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17일에 확인함. 
  30. Casciani, Dominic (2009년 9월 11일). “Who are the English Defence League?”. 《BBC News magazine》. 2020년 1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17일에 확인함. 
  31. Bartlett, Jamie (2015년 12월 4일). “Across Europe with Tommy Robinson: inside the new wave of anti-immigration protest coming soon to Britain”. 《The Daily Telegraph》. 2015년 1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5일에 확인함. 
  32. “EDL founder Stephen Lennon guilty over football brawl”. 《BBC News》 (BBC). 2011년 7월 25일. 2011년 7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9월 3일에 확인함. 
  33. “Who is Tommy Robinson? The former EDL leader and right-wing figurehead”. 《The Scotsman》. 2018년 11월 15일. 2018년 1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4. “EDL leader 'on hunger strike' in custody”. 《Luton Today》. 2011년 9월 5일. 2011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9월 6일에 확인함. 
  35. “EDL 'Tommy' released from prison in Bedford and on bail for assault”. 《Bedford Today》. 2011년 9월 14일. 2012년 8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4일에 확인함. 
  36. “EDL members protest outside prison”. 《Bedfordshire Local News》. 2011년 9월 7일. 2013년 5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9월 11일에 확인함. 
  37. “Bail term threat of EDL top boss”. 《Bedfordshire Local News》. 2011년 9월 18일. 2013년 1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9월 19일에 확인함. 
  38. “EDL leader Stephen Lennon convicted of assault”. 《BBC News》. 2011년 9월 29일. 2011년 10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9. Carter, Helen (2011년 11월 3일). “EDL leader sentenced for headbutting fellow protester”. 《The Guardian》 (London, UK). 2017년 7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0. “EDL members fined over rooftop protest”. 《Luton Today》. 2011년 11월 16일. 2011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4일에 확인함. 
  41. “EDL leader in lay-by attack”. 《Luton Today》. 2011년 12월 28일. 2012년 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1월 27일에 확인함. 
  42. Rawlinson, Kevin (2011년 11월 25일). “English Defence League prepares to storm local elections”. 《The Independent》 (London, UK). 2011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13일에 확인함. 
  43. “Tommy Robinson steps down from party to devote all his energy to EDL”. 《British Freedom Party》. 2012년 10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4. Lazaridis, Gabriella; Polymeropoulou, Marilou; Tsagkroni, Vasiliki (2016). 〈Networks and alliances against the Islamisation of Europe: the case of the Counter-Jihad Movement〉. Lazaridis, Gabriella; Campani, Giovanna (편집). 《Understanding the Populist Shift: Othering in a Europe in Crisis》. Routledge. doi:10.4324/9781315656779-12. ISBN 9781317326052. Basically, this figure shows that in 2012 the most influential actor was Tommy Robinson, which can be explained due to his extended and principal presence and activity in CJM-N [Counter-Jihad Movement]. 
  45. Leidig, Eiviane (2021). 《From Love Jihad to Grooming Gangs: Tracing Flows of the Hypersexual Muslim Male through Far-Right Female Influencers》. 《Religions》 12. 1083쪽. doi:10.3390/rel12121083. hdl:11250/3023545. One prominent figure within the far-right scene who has been campaigning on the issue of grooming gangs is British counter-jihad activist Tommy Robinson. 
  46. Ganesh, Bharath (2018). 《The Ungovernability of Digital Hate Culture》.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71. 30–49쪽. JSTOR 26552328. 2023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8월 2일에 확인함. Tommy Robinson, founder of the English Defence League and well-known counter-jihad activist 
  47. “Far-right anti-Muslim network on rise globally as Breivik trial opens”. 《The Guardian》. 2012년 4월 14일. 2017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1월 4일에 확인함. The report also identifies the counter-jihad network's most influential figures, including EDL leader Stephen Yaxley-Lennon (known as Tommy Robinson) 
  48. Fielitz, Maik; Laloire, Laura Lotte 편집 (2016). 〈Patterns of Far-Right and Anti-Muslim Mobilization in the United Kingdom〉. 《Trouble on the Far Right: Contemporary Right-Wing Strategies and Practices in Europe》. transcript Verlag. 167쪽. ISBN 9783732837205. Anti-Muslim groups are increasingly utilizing the 'counter-jihad' network as a focus for mobilization – Tommy Robinson's internationalized activities being a case in point. 
  49. Orofino, Elisa; Allchorn, William 편집 (2023). 《Routledge Handbook of Non-Violent Extremism: Groups, Perspectives and New Debates》. Taylor & Francis. 260쪽. ISBN 9781000823837. Tommy Robinson's counter-jihad group, the English Defence League (EDL), inspired the creation of Germany's PEGIDA 
  50. Meleagrou-Hitchens, A.; Brun, H. (March 2013). A Neo-Nationalist Network: The English Defence League and Europe's Counter-Jihad Movement (PDF) (보고서). 《International Centre for the Study of Radicalisation and Political Violence》. 2쪽. 2013년 5월 1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4월 2일에 확인함. 
  51. Townsend, Mark (2012년 3월 31일). “Far right militants fail to strike blow against Islam on their Danish awayday”. 《The Guardian》. 2024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8월 2일에 확인함. 
  52. Ringstrom, Anna (2012년 8월 4일). “Sweden "counter-jihad" rally outnumbered by anti-racists”. 《Reuters》. 
  53. Ansar, Mohammed (2013년 10월 19일). “My 18 months with former EDL leader Tommy Robinson”. 《The Guardian》. 2013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20일에 확인함. 
  54. Kent, Sally (2013년 10월 23일). “BBC One to broadcast documentary on Tommy Robinson's departure from English Defence League”. 2019년 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23일에 확인함. 
  55. “EDL leader Tommy Robinson quits group”. 《BBC News》. 2013년 10월 8일. 2013년 10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8일에 확인함. 
  56. Murray, Douglas (2013년 10월 19일). “Tommy Robinson: Double standards, not fear of diversity, provoked the EDL”. 《The Spectator》. 2013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17일에 확인함. 
  57. Thomas Daigle, Free speech firebrand Tommy Robinson's contentious views on Islam spreading beyond U.K. 보관됨 1 5월 2019 - 웨이백 머신 CBC News, 28/30 September 2018.
  58. Malik, Shiv (2013년 10월 11일). “Ex-EDL leader Tommy Robinson says sorry for causing fear to Muslims”. 《The Guardian》. 2013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29일에 확인함. 
  59. Wright, Paul (2015년 12월 4일). “Pegida UK: Tommy Robinson says 'terrorist epicentre' of Birmingham will be location of far-right march”.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2015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4일에 확인함. 
  60. Hopkins, Steven (2015년 12월 4일). “Tommy Robinson, Former EDL Leader, Claims Quilliam Paid Him To Quit Far-Right Group”. 《Huffington Post UK》. 2016년 10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1. “EDL founder Tommy Robinson speaks at the Oxford Union”. 《BBC News》. 2014년 11월 27일. 2015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9일에 확인함. 
  62. Sherriff, Lucy (2014년 11월 27일). “Tommy Robinson Speaks At Oxford University Union: Fear Has Paralysed The Police”. 《Huffington Post》. 2014년 12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9일에 확인함. 
  63. Sandle, Paul (2019년 7월 5일). “Far-right activist Tommy Robinson convicted in contempt-of-court case”. 《Reuters》 (London). 2019년 7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12일에 확인함. 
  64. *“UK far-right figure Tommy Robinson jailed for contempt”. 《Business Insider》. 2018년 5월 29일. 2018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15일에 확인함. 
  65. Milmo, Cahal (2015년 10월 12일). “EDL founder Tommy Robinson addresses Pegida anti-Islam rally in Holland”. 《The Independent》. 2017년 1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6. Hopkins, Steven (2016년 2월 15일). “Tommy Robinson Hospitalised After Being Attacked Outside Essex Nightclub, Days After Pegida Rally”. 《Huffington Post UK》. 2016년 2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7. Robinson, Tommy (2015). 《Enemy of the State》. Batley, West Yorkshire, England: The Press News Ltd. ISBN 978-0-9570964-9-3. 
  68. Bartlett, Jamie (2016년 2월 4일). “What's it like to be Britain's most hated man? Ask Tommy Robinson”. 《Daily Telegraph》. 2018년 4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9. “Ex-EDL leader Tommy Robinson wins football ban court case against Bedfordshire police”.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2016년 9월 19일. 2016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20일에 확인함. 
  70. Brown, Raymond (2016년 9월 1일). “Ex-EDL leader Tommy Robinson's Cambridge pub incident – police boss defends officers”. 《Cambridge News》. 2016년 9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71. Lynne, Freddie (2019년 3월 15일). “Tommy Robinson LOSES his case against Cambridgeshire Constabulary”. 《Cambridgeshire Live》. 2019년 3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15일에 확인함. 
    - “Tommy Robinson loses harassment case against police force”. 《The Guardian》. 2019년 3월 15일. 2019년 3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16일에 확인함. 
  72. Scott, Mark (2017년 5월 16일). “U.S. Far-Right Activists Promote Hacking Attack Against Macron”. 《뉴욕 타임스》. 2017년 7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10일에 확인함. 
  73. “A fight over a four-bedroom house: The Rebel Media meltdown and the full recording at the centre of the controversy”. 《Globalnews.ca》. 2017년 9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9일에 확인함. 
  74. Ruddick, Graham (2018년 1월 3일). “Katie Hopkins joins far-right Canadian website Rebel Media”. 《가디언》. 2018년 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3일에 확인함. 
  75. Oppenheim, Maya (2018년 3월 13일). “Lauren Southern: Far-right Canadian activist detained in Calais and banned from entering UK”. 《인디펜던트》. 2018년 3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9일에 확인함. 
  76. Sharp, Alastair (2017년 8월 22일). “Canada's far-right Rebel Media site down after service cut”. 《시드니 모닝 헤럴드》. 2018년 8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9일에 확인함. 
  77. [72][73][74][75][76]
  78. Dearden, Lizzie (2018년 5월 29일). “Tommy Robinson jailed after breaking contempt of court laws with Facebook Live video”. 《The Independent》. 2018년 5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29일에 확인함. 
  79. Grafton-Green, Patrick (2017년 5월 10일). “Former EDL leader Tommy Robinson arrested after 'trying to film Muslims' outside court”. 《London Evening Standard》. 2017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80. Castle, Vicky (2017년 5월 8일). “Far right activist Tommy Robinson was warned by police after turning up at Canterbury Crown Court”. 《Kent Live》 (Trinity Mirror). 2017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81. McLoughlin, Peter; Robinson, Tommy (2017). 《Mohammed's Koran: Why Muslims Kill For Islam》. self published. ISBN 978-1-5426-2780-1. 
  82. Togoh, Isabel (2019년 2월 28일). “Tommy Robinson Book Removed From Amazon, Just Days After Facebook Account Disabled”. 《Huffpost》. 2023년 4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14일에 확인함. 
  83. Wilford, Greg (2017년 6월 25일). “Former EDL leader Tommy Robinson filmed brawling with man at Ascot”. 《The Independent》. 2017년 8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10일에 확인함. 
  84. “Man guilty of hate crime for filming pug's 'Nazi salutes'. 《BBC News》. 2018년 3월 20일. 2018년 1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7일에 확인함. 
  85. “Count Dankula found guilty of hate crime after teaching pet pug 'Nazi salute'. 2018년 3월 20일. 2018년 3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4일에 확인함. 
  86. “Army investigates Tommy Robinson photo with soldiers”. 《BBC News》. 2018년 10월 9일. 2018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17일에 확인함. 
  87. Grierson, Jamie (2018년 10월 10일). “Counter-extremism chief attacks Tommy Robinson soldier photo”. 《The Guardian》. 2018년 1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25일에 확인함. 
  88. Dyer, Henry (2020년 9월 30일). “Labour MP Naz Shah Sues Brexit Campaigners Leave EU over Grooming Gangs Slur”. 《Byline Times》. 2023년 8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8월 10일에 확인함. 
  89. Gallagher, Conor (2023년 2월 16일). “Gardaí monitoring activity of prominent far-right campaigner Tommy Robinson”. 《아이리시 타임스》. 2023년 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2월 18일에 확인함. 
    - Simpson, Claire (2019년 7월 13일). “Tommy Robinson appears to show support for soldier F with badge”. 《Irish News》. 2023년 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2월 18일에 확인함. 
  90. “Tommy Robinson supporters 'blocked fire exits to confront SNP MP'. 《The National》. 2019년 1월 21일. 2019년 1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22일에 확인함. 
  91. Busby, Eleanor (2019년 2월 16일). “Rape charity hotline bombarded with 'racist abuse' from Tommy Robinson supporters”. 《The Independent》. 2019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10일에 확인함. 
  92. “Tommy Robinson holds Salford protest against BBC Panorama”. 《BBC》. 2019년 2월 23일. 2019년 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26일에 확인함. 
  93. Buck, Kate (2019년 2월 23일). “Tommy Robinson claims to reveal all about 'fake news' BBC in documentary”. 《Metro》. 2019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26일에 확인함. 
  94. Walker, Peter; Parveen, Nazia (2019년 3월 5일). “Journalist calls police as Tommy Robinson makes video at his home”. 《The Guardian》. 2019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5일에 확인함 – theguardian.com 경유. 
  95. “Opinion: I am the latest victim of Tommy Robinson's campaign to intimidate his critics – but he won't shut me up”. 《The Independent》. 2019년 3월 5일. 2019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5일에 확인함. 
  96. “Police called after ranting Tommy Robinson bangs on critic's door at 5am”. 《The Independent》. 2019년 3월 5일. 2019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5일에 확인함. 
  97. “The Sappho Award 2019 – Tommy Robinson's speech”. 《Trykke Frihed》. 2020년 1월 21일. 2020년 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22일에 확인함. 
  98. Lakmann, Cathrine (2020년 1월 19일). “Dansk pris til britisk højrefløjsaktivist” (덴마크어). 《DR》. 2020년 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24일에 확인함. 
  99. Busk, Emma (2020년 1월 18일). “Modstand mod dansk pris til 'Englands Paludan' (덴마크어). 《Ekstrabladet》. 2020년 8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24일에 확인함. 
  100. Ervik, Kristian; Skjærestad, Bent (2012년 4월 14일). “Dette er de tolv viktigste aktørene i det anti-islamistiske nettverket” [These are the twelve most important persons in the anti-islamic network] (노르웨이어). TV2. 2012년 6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1월 27일에 확인함. 
  101. Fekete, Liz (2012). 《The Muslim conspiracy theory and the Oslo massacre》. 《Race & Class》 53. 30–47쪽. doi:10.1177/0306396811425984. S2CID 146443283. 
  102. Shaw, Neil (2020년 11월 2일). “Tommy Robinson arrested at rally in London”. 《Derby Telegraph》. 2020년 1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1월 3일에 확인함. 
    -
  103. Williams, Arron (2024년 7월 4일). “Digital personality cults: How far-right social media personalities have capitalized on the U.K. election to drive support for extreme views”. 《Logically Facts》. 2024년 7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7월 8일에 확인함. 
  104. Wyatt, Tim (2021년 5월 24일). “Jewish groups condemn Tommy Robinson after he attends pro-Israel march”. 《인디펜던트》. 2023년 3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3일에 확인함. 
  105. Frazer, Jenni (2021년 5월 23일). “1500 demonstrate in solidarity with Israel”. 《The Jewish Chronicle》. 2021년 5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3일에 확인함. 
  106. Bagdi, Annabal (2022년 1월 30일). “Grooming gang victims urged to come forward in wake of Tommy Robinson's Telford rally”. 《Birmingham Mail》. 2022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3일에 확인함. 
  107. Vinter, Robyn; Walton, Ang (2025년 8월 20일). “Family in fear after Tommy Robinson shares video of black man with white granddaughters” (영국 영어). 《가디언》. ISSN 0261-3077. 2025년 8월 21일에 확인함. 
  108. Stavrou, Athena (2025년 9월 13일). “London protests live: Nine arrests after police assaulted at Tommy Robinson march attended by 110,000” (영어). 《인디펜던트》. 2025년 9월 13일에 확인함. 
  109. Mackintosh, Thomas (2025년 9월 13일). “Dozens of officers injured as up to 150,000 join Tommy Robinson rally”. 《BBC 뉴스》. 2025년 9월 14일에 확인함. 
  110. Pilley, Max (2025년 9월 28일). “Labi Siffre issues cease-and-desist order to Tommy Robinson over use of '(Something Inside) So Strong' (영국 영어). 《NME》.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111. “Singer demands Tommy Robinson stop using anti-apartheid anthem” (영어). 《인디펜던트》. 2025년 9월 29일.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112. Khomami, Nadia (2025년 9월 28일). “Something inside so wrong: Labi Siffre tells Tommy Robinson to stop using anti-apartheid anthem” (영국 영어). 《가디언》. ISSN 0261-3077.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113. “Met officers suspended for alleged support of Tommy Robinson” (영어). 《인디펜던트》. 2025년 10월 1일. 2025년 10월 3일에 확인함. 
  114. Dearden, Lizzie (2018년 1월 23일). “Finsbury Park terror suspect Darren Osborne read messages from Tommy Robinson days before attack, court hears”. 《The Independent》. 2018년 1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4일에 확인함. 
  115. Molloy, Mark (2017년 6월 19일). “Former EDL leader Tommy Robinson condemned over Finsbury Park mosque comments”. 《The Daily Telegraph》. 2018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16. Ruddick, Graham (2017년 6월 20일). “ITV defends EDL founder's appearance on Good Morning Britain”. 《The Guardian》. 2017년 6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17. “Darren Osborne guilty of Finsbury Park mosque murder”. 《BBC News》. 2018년 2월 1일. 2018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4일에 확인함. 
  118. Dearden, Lizzie (2018년 2월 26일). “Finsbury Park attacker turned violent by far-right posts from Tommy Robinson and Britain First, police say”. 《The Independent》. 2018년 5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9일에 확인함. 
  119. Agerholm, Harriet (2018년 2월 27일). “Tommy Robinson threatens to 'find' UK's most senior counter terrorism police officer”. 《The Independent》. 2018년 1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4일에 확인함. 
  120. “Tommy Robinson's New Far-Right Group 'Going Nowhere' as Protest Draws Small Crowd”. 《Vice》. 2020년 8월 2일. 2022년 1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2월 27일에 확인함. 
  121. Clifton, Jamie (2020년 8월 25일). “Protesters Chanted 'Paedophile! Paedophile!' Outside Buckingham Palace”. 《Vice》. 2022년 1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2월 27일에 확인함. 
  122. Denkinson, Katherine (2022년 3월 18일). “Revealed: Youth Group Trying to Push Conservative Party Further to the Right”. 《Vice》. 2022년 1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2월 27일에 확인함. 
  123. Hatchet, Jean (2022년 9월 28일). “Men of the far-right and the women's movement”. 《The Critic》. 2022년 1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2월 27일에 확인함. 
  124. 'Rape of Britain': Russia Rolls Out the Red Carpet for 'Tommy Robinson'. 《바이라인 타임스》. 2020년 2월 23일. 2020년 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8월 6일에 확인함. 
  125. “Tommy Robinson: Putin's Useful Idiot?”. Hope Not Hate. 2022년 3월 17일. 2024년 4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8월 6일에 확인함. 
  126. “Tommy Robinson stokes far-right riots on social media from outside UK”. 《인디펜던트》. 2024년 8월 5일. 2024년 8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8월 7일에 확인함. 
  127. Quinn, Ben (2024년 8월 6일). “Are the authorities powerless to stop Tommy Robinson's online output?”. 《가디언》. ISSN 0261-3077. 2024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8월 7일에 확인함. 
  128. “Luton parade protesters 'were members of extremist group'. 《The Daily Telegraph》 (London, UK). 2009년 3월 12일. 2009년 3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29. “UKIP AM calls for new leadership election over Tommy Robinson role”. 《BBC News》. 2018년 11월 23일. 2018년 1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26일에 확인함. 
  130. “UKIP leader defends hiring Tommy Robinson”. 《BBC News》. 2018년 11월 23일. 2019년 10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10일에 확인함. 
  131. “Nigel Farage calls Tommy Robinson a 'thug'. 《Belfast Telegraph》. 2018년 11월 23일. 2018년 1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26일에 확인함. 
  132. Hope, Christopher; Bird, Steve (2018년 12월 1일). “Revealed: far-Right Ukip Brexit demo 'organiser' is a convicted kidnapper”. 《The Telegraph》. 2022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33. Embury-Dennis, Tom (2018년 12월 4일). “Nigel Farage quits Ukip: Former leader leaves party over Tommy Robinson links”. 《The Independent》. 2018년 1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4일에 확인함. 
  134. Kentish, Benjamin (2018년 9월 6일). “Ukip to debate inviting Tommy Robinson to join party”. 《The Independent》. 2018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9일에 확인함. 
  135. “UKIP AMs say Tommy Robinson should not be given membership”. 《BBC News》. 2018년 11월 17일. 2018년 1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26일에 확인함. 
  136. “Tommy Robinson to stand in European Parliament election”. 《BBC News》. 2019년 4월 25일. 2019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25일에 확인함. 
  137. Halliday, Josh (2019년 4월 25일). “Tommy Robinson announces plans to stand as MEP”. 《The Guardian》. 2019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26일에 확인함. 
  138. Dearden, Lizzie (2019년 5월 3일). “Tommy Robinson: Police investigate street brawl in which protester 'had nose broken' after milkshake attack”. 《The Independent》. 2019년 5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12일에 확인함. 
  139. Halliday, Josh, Humiliated Tommy Robinson sneaks out of election count early 보관됨 27 5월 2019 - 웨이백 머신, The Guardian, 27 May 2019.
    - Rothwell, James, Mixed fortunes for high-profile candidates as Tommy Robinson and Rachel Johnson lose out in EU elections 보관됨 27 5월 2019 - 웨이백 머신, The Telegraph, 27 May 2019.
  140. Roberts, Joe (2019년 5월 26일). “Tommy Robinson suffers humiliating defeat in European elections”. 《Metro UK》. 2019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6일에 확인함. 
  141. "Tommy Robinson demands a second EU Parliament vote in bizarre topless rant" 보관됨 30 5월 2019 - 웨이백 머신, The National, 27 May 2019.
  142. “Tommy Robinson endorses Boris Johnson to be prime minister”. 《메트로》. 2020년 5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2월 13일에 확인함. 
  143. Townsend, Mark (2019년 12월 28일). “Britain First says 5,000 of its members have joined Tories”. 《옵저버》. ISSN 0029-7712. 2019년 1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2월 6일에 확인함. 
  144. “MPs react to claims Katie Hopkins and Tommy Robinson have joined Conservative Party”. 《플리머스 헤럴드》. 2019년 12월 16일. 2020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12일에 확인함. 
  145. Bright, Sam (2019년 12월 19일). “Tommy Robinson fakes Conservative membership card”. 《Scram》. 2020년 3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20일에 확인함. 
  146. “The Far Right Target the Local Elections: Candidate Overview”. 《Hope Not Hate》. 2022년 4월 7일. 2025년 8월 3일에 확인함. 
  147. “Tommy Robinson joins Ben Habib's Advance UK”. 《Searchlight》. 2025년 8월 3일. 2025년 8월 3일에 확인함. 
  148. “Ben Habib is taking on Nigel Farage with new party - and it's about time”. 《The Express》. 2025년 6월 30일. 2025년 8월 3일에 확인함. 
  149. Finnegan, Stephanie; MacKenzie, Oliver (2018년 5월 30일). “This is why Tommy Robinson was jailed for filming outside a court”. 《Cambridgenews-mews.co.uk》. 2018년 5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13일에 확인함. 
  150. “Tommy Robinson boasts about drugs and proclaims himself 'king of the whole Islam race', in leaked video”. 《The Independent》. 2019년 2월 13일. 2019년 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13일에 확인함. 
  151. “Why Tommy Robinson could find himself in jail again”. 《The Independent》. 2018년 8월 1일. 2019년 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13일에 확인함. 
  152. “Tommy Robinson, former EDL leader, jailed for fraud”. 《BBC News》. 2014년 1월 23일. 2014년 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26일에 확인함. 
  153. Sawer, Patrick (2018년 12월 8일). “Met police fear violent clashes over march by far-right 'Brexit Betrayal' militants”. 《The Telegraph》. 2018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Robinson, a former member of the extremist British National Party, is a convicted fraudster and football hooligan who was also jailed for 12 months for assaulting an off-duty police officer in 2005. 
  154. Spencer, John R (2016). 《Evidence of Bad Character》 Thi판. Oxford and Portland, Oregon: Hart Publishing. 301쪽. ISBN 9781509900046. 
  155. *“EDL leader facing jail after assault in Blackburn”. 《Lancashire Telegraph》. 2019년 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13일에 확인함. 
  156. *“EDL leader convicted of assault”. 2011년 9월 29일. 2011년 10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20일에 확인함. 
  157. “English Defence League founder convicted of leading street brawl”. 《Theguardian.com》. 2011년 7월 25일. 2019년 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158. “EDL leader Lennon jailed for passport offence”. 《Sky News》. 2013년 1월 7일. 2013년 3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20일에 확인함. 
  159. “EDL founder Tommy Robinson jailed for mortgage fraud”. 《The Guardian (Associated Press)》. 2014년 1월 23일. 10면. 2014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23일에 확인함. 
  160. Arden, Christopher (2013년 2월 22일). “English Defence League leader 'released from jail'. 《The Guardian》 (London). 2013년 10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24일에 확인함. 
  161. Quinn, Ben (2024년 8월 12일). “Tommy Robinson's passport may be invalid, say Irish MPs”. 《가디언》. 2024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8월 12일에 확인함. 
  162. “EDL leader Stephen Lennon charged with mortgage fraud”. 《BBC News》. 2012년 11월 28일. 2012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28일에 확인함. 
  163. “EDL founder Stephen Yaxley-Lennon admits mortgage fraud”. 《BBC News》. 2013년 11월 26일. 2014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25일에 확인함. 
  164. “EDL Founder Tommy Robinson in Fear of Muslim Attack Beaten up in Woodhill Prison”.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2014년 2월 5일. 2014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7일에 확인함. 
  165. “Tommy Robinson 'Attacked' In Prison, MoJ Urged To Re-Think Ex- EDL Chief's Incarceration”. 《Huffington Post (UK)》. 2014년 2월 7일. 2014년 4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7일에 확인함. 
  166. “Letter from Maajid Nawaz” (PDF). Quilliam International. 2014년 2월 6일. 2018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167. 'The guards don't run the prison, Islam does': my interview with a 'reformed' Tommy Robinson”. 《The Daily Telegraph》. 2014년 6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7일에 확인함. 
  168. “Tommy Robinson, former EDL leader, recalled to prison”. 《BBC News》. 2014년 10월 20일. 2014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21일에 확인함. 
  169. “EDL return to Luton as march passes peacefully”. 《Luton Today》. 2014년 11월 24일. 2016년 8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2일에 확인함. 
  170. “Tommy Robinson 'misused' donations from far-right supporters”. 《인디펜던트》. 2021년 3월 18일. 2021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7일에 확인함. 
  171. “Tommy Robinson given stalking ban after threats to journalist”. 《가디언》. 2021년 3월 19일. 2021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9일에 확인함. 
  172. “Tommy Robinson 'threatened Independent journalist in bid to prevent publication of story'. 《인디펜던트》. 2021년 3월 19일. 2021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9일에 확인함. 
  173. “Tommy Robinson handed 5-year stalking order after harassing journalist”. 《Express & Star》. 2021년 10월 13일. 2021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13일에 확인함. 
  174. “Tommy Robinson gets five-year stalking order after harassing journalist”. 《가디언》. 2021년 10월 13일. 2021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14일에 확인함. 
  175. “Tommy Robinson dubbed a bully in failed bid to overturn stalking order”. 《더 스탠다드》. 2023년 10월 19일. 2023년 10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0월 19일에 확인함. 
  176. “Tommy Robinson charged with harassment causing fear of violence”. 《BBC News》. 2025년 5월 21일. 
  177. Quinn, Ben (2025년 5월 21일). “Tommy Robinson charged with harassing journalists”. 《가디언》. 
  178. Casciani, Dominic (2025년 6월 5일). “Tommy Robinson pleads not guilty to harassment”. 《BBC 뉴스》. 2025년 6월 7일에 확인함. 
  179. Quinn, Ben (2025년 7월 3일). “Tommy Robinson denies harassing two MailOnline journalists”. 《theguardian.com》. 가디언. 2025년 7월 4일에 확인함. 
  180. Murer, Sally (2024년 11월 14일). “Tommy Robinson is locked up in solitary confinement at Woodhill Prison in Milton Keynes”. 《MK Citizen》. 2024년 1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1월 15일에 확인함. 
  181. Sandford, Daniel; Armstrong, Kathryn (2025년 10월 15일). “Tommy Robinson refused to give phone Pin to protect 'journalistic material'. 《BBC 뉴스》. 2025년 10월 13일에 확인함. 
  182. Sandford, Daniel; Armstrong, Kathryn (2025년 10월 15일). “Tommy Robinson police stop unlawful, court hears”. 《BBC 뉴스》. 2025년 10월 14일에 확인함. 
  183. Dearden, Lizzie (2018년 10월 19일). “Tommy Robinson could have caused Huddersfield grooming trials to collapse and child rapists go free”. 《The Independent》. 2021년 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28일에 확인함. 
  184. Dearden, Lizzie (2018년 5월 25일). “Tommy Robinson arrested for 'breaching the peace' outside court during grooming trial”. 《The Independent》. 2018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25일에 확인함. Judge Heather Norton handed him a three months imprisonment in May last year but suspended it for 18 months on the condition he did not commit further offences. [...] "It is about preserving the integrity of the jury to continue without people being intimidated or being affected by irresponsible and inaccurate 'reporting', if that's what it was." 
  185. “Who is Tommy Robinson – the former EDL leader once branded a 'bigoted lunatic'. 《The Daily Telegraph》. 2017년 6월 20일. 2022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26일에 확인함. 
  186. “R-v-Yaxley-Lennon Appeal” (PDF). 2019년 8월 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14일에 확인함. 
  187. “YEP says: Why what Tommy Robinson did was put Tommy first – what we did was put the victims first”. 《Yorkshire Evening Post》. 2018년 10월 19일. 2018년 1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8일에 확인함. 
  188. Daro, Ishmael N. (2018년 5월 29일). “Who Is Tommy Robinson And Why Has His Arrest Captivated The Right Wing Media?”. 《BuzzFeed News》. 2018년 7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5월 3일에 확인함. 
  189. Perraudin, Frances (2018년 5월 29일). “EDL founder Tommy Robinson jailed for contempt of court”. 《The Guardian》. 2018년 5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29일에 확인함. 
  190. “Ex-EDL leader Tommy Robinson jailed at Leeds court”. 《BBC News》. 2018년 5월 29일. 2018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7일에 확인함. 
  191. van Unen, David (2018년 5월 28일). “Britse anti-islamactivist Tommy Robinson de cel in” (네덜란드어). 《NRC》. 2019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28일에 확인함. 
  192. McMenemy, Rachael (2018년 8월 5일). “Tommy Robinson: This is what the judges said when they released the EDL founder”. 《Cambridge News》. 2018년 1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8일에 확인함. 
  193. Bird, Steve. “EDL founder Tommy Robinson jailed for contempt of court after broadcasting tirade on Facebook”. 《The Daily Telegraph》. 2022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194. Selk, Avi (2018년 5월 29일). “Conservative outrage after anti-Muslim campaigner Tommy Robinson secretly jailed in Britain”. 《Washington Post》. 2018년 6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1일에 확인함. 
  195. “Right-wing activist Tommy Robinson reportedly jailed after filming outside child grooming trial”. 《Fox News》. 2018년 5월 26일. 2018년 5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27일에 확인함. 
  196. Isitman, Elif (2018년 5월 29일). “Duitse politicus wil politiek asiel voor Tommy Robinson” (네덜란드어). 《Elsevier》. 2018년 5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29일에 확인함. 
  197. Independent Reporter (2018년 5월 27일). “Tommy Robinson protest: Hundreds demonstrate in Downing Street after far-right figure arrested”. 《The Independent》. 2024년 4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5월 3일에 확인함. 
  198. “Police officers hurt at 'free Tommy Robinson' protest”. 《BBC News》. 2018년 6월 9일. 2021년 4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24일에 확인함. 
  199. Drury, Colin (2018년 7월 15일). “Bus driver in headscarf shows far-right Tommy Robinson demonstrators everything that's great about Britain”. 《The Independent》. 2018년 12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9일에 확인함. 
  200. Drury, Colin (2018년 7월 23일). “Tommy Robinson protest: Police release pictures of nine people wanted after violence at London rally”. 《The Independent》. 2018년 1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9일에 확인함. 
  201. Rodger, James (2018년 5월 30일). “Petition to free Tommy Robinson signed 500,000 times after he's jailed for 13 months”. 《Birmingham Mail》. 2018년 6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1일에 확인함. 
  202. Armstrong, Stephen (2018년 7월 28일). “This is the Twitter data that shows who's backing Tommy Robinson”. 《Wired》. 2019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2일에 확인함. 
  203. Beale, Charlotte (2018년 8월 8일). “Tommy Robinson complains he was 'mentally tortured' because he had no TV in prison”. 《The Independent》. 2018년 8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9일에 확인함. 
  204. Smith, Mikey; MacKenzie, Oliver (2018년 6월 14일). “No, Tommy Robinson hasn't been moved to a 71 per cent Muslim prison”. 《Cambridge News》. 2018년 1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7일에 확인함. 
  205. Chikls, Simon (2019년 1월 22일). “Far-Right Provocateurs Don't Deserve the Redemption They're Being Offered”. 《Vice》. 2019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2월 7일에 확인함. 
  206. “Tommy Robinson supporter and convicted rapist Wayne Kirby jailed for threatening Sajid Javid”. 《Worcester News》. 2019년 3월 6일. 2019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16일에 확인함. 
  207. Hosenball, Mark (2018년 7월 14일). “Trump's ambassador lobbied Britain on behalf of jailed right-wing activist Tommy Robinson”. 《Reuters》. 2018년 7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17일에 확인함. 
  208. Polglase, Katie (2018년 7월 26일). “A jailed UK far-right activist has gained some big-name US supporters”. 《CNN》. 2018년 7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27일에 확인함. 
  209. Bradley, Jane; Schwirtz, Michael (2021년 4월 23일). “U.K. Far Right, Lifted by Trump, Now Turns to Russia”. 《뉴욕 타임스170 (59038). A1, A10면. ISSN 0362-4331. 2021년 4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24일에 확인함. 
  210. “Her Majesty's Attorney General v Stephen Yaxley-Lennon” (PDF). 2024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17일에 확인함. 
  211. Dearden, Lizzie (2018년 8월 1일). “Tommy Robinson faces new contempt hearing after being released from prison”. 《The Independent》. 2018년 8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5일에 확인함. 
  212. “Tommy Robinson's appeal: what happened?”. 《The Secret Barrister》. 2018년 7월 18일. 2018년 7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2일에 확인함. 
  213. 《UK activist Tommy Robinson speaks out after prison release》. 《Fox News》. 2018년 8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5일에 확인함. 
  214. Dearden, Lizzie (2018년 10월 25일). “Tommy Robinson invited to address US Congress members in Washington by Republican supporters”. 《The Independent》. 2018년 10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5일에 확인함. 
  215. “Tommy Robinson not granted US visa in time for Washington visit”. 《The Guardian》. 2018년 11월 13일. 2018년 1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3일에 확인함. 
  216. “Tommy Robinson: Ex-EDL chief appears at Old Bailey for contempt case”. 《BBC News》. 2018년 9월 27일. 2018년 1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0일에 확인함. 
  217. “Tommy Robinson: Contempt case referred to attorney general”. 《BBC News》. 2018년 10월 23일. 2018년 1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0일에 확인함. 
  218. Gayle, Damien (2018년 10월 23일). “Tommy Robinson: judge refers contempt case to attorney general”. 《The Guardian》. 2018년 1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0일에 확인함. 
  219. Owoseje, Toyin; Dearden, Lizzie (2019년 3월 19일). “Tommy Robinson contempt of court hearing over Facebook video delayed”. 《인디펜던트》. 2019년 4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27일에 확인함. 
  220. “UK anti-Islam activist Tommy Robinson freed on bail”. 《유로뉴스》. 2018년 8월 1일. 2020년 5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14일에 확인함. 
  221. “Tommy Robinson guilty over Facebook broadcast”. 《BBC News》. 2019년 7월 5일. 2019년 7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5일에 확인함. 
  222. Dearden, Lizzie (2019년 7월 5일). “How close Tommy Robinson came to causing collapse of Huddersfield grooming gang trial”. 《The Independent》. 2019년 7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11일에 확인함. 
  223. Dearden, Lizzie (2019년 7월 8일). “Tommy Robinson begs Donald Trump to grant him political asylum”. 《인디펜던트》. 2019년 7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23일에 확인함. 
  224. Wise, Justin (9 July 2019) "Far-right anti-Muslim UK activist Tommy Robinson begs Trump to grant him asylum after conviction" 보관됨 9 7월 2019 - 웨이백 머신 더 힐 (신문사)
  225. “Tommy Robinson jailed over contempt of court”. 《BBC News》 (BBC). 2019년 7월 11일. 2019년 7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11일에 확인함. 
  226. “Tommy Robinson given nine-month jail sentence for contempt of court”. 《가디언》. 2019년 7월 11일. 2020년 1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11일에 확인함. 
  227. Stubley, Peter; Forrest, Adam (2019년 7월 11일). “Tommy Robinson jailed for contempt of court”. 《인디펜던트》. 
  228. "Tommy Robinson jailed for contempt of court" 보관됨 11 7월 2019 - 웨이백 머신, BBC 뉴스, 11 July 2019.
  229. Carpani, Jessica and Bird, Steve, "Tommy Robinson jailed for nine months for contempt of court over social media video" 보관됨 11 7월 2019 - 웨이백 머신 데일리 텔레그래프, 11 July 2019.
  230. Busby, Matta (13 September 2019) "Tommy Robinson released from jail after nine weeks" 보관됨 14 9월 2019 - 웨이백 머신 가디언
  231. Dearden, Lizzie (16 September 2019) "Tommy Robinson announces support for Julian Assange after 'talking to WikiLeaks founder in prison'" 보관됨 25 9월 2019 - 웨이백 머신 인디펜던트
  232. “Syrian refugee, 15, fears school after playing field attack”. 《ITV News》. 2018년 11월 28일. 2018년 1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5일에 확인함. 
  233. Morris, Georgina (2018년 11월 29일). “Syrian refugee, 15, says he feels unsafe at Huddersfield school as video emerges of attack on sister”. 《Yorkshire Post》. 2018년 1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5일에 확인함. 
  234. Parveen, Nazia (2018년 11월 30일). “Syrian Huddersfield boy asks people not to attack his alleged bully”. 《The Guardian》. 2018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5일에 확인함. 
  235. Dearden, Lizzie (2018년 11월 29일). “Syrian refugee attack: Family plan to sue Tommy Robinson over allegations against teenage victim”. 《The Independent》. 2018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6일에 확인함. 
  236. Parveen, Nazia (2018년 11월 29일). “Bullied Syrian refugee says he will not return to Huddersfield school”. 《The Guardian》. 2018년 1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6일에 확인함. 
  237. “Huddersfield video: Syrian boy fundraiser 'spent on relocation'. 《BBC News》. 2018년 12월 5일. 2018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6일에 확인함. 
  238. Parveen, Nazia (2018년 12월 6일). “Tommy Robinson threatened with legal action over 'bully' video”. 《The Guardian》. 2018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6일에 확인함. 
  239. Halliday, Josh (2019년 1월 21일). “Bullied Syrian schoolboy to sue Facebook over Tommy Robinson claims”. 《The Guardian》. 2020년 1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21일에 확인함. 
  240. Dearden, Lizzie (2019년 1월 21일). “Syrian refugee attack: Boy's family crowdfunding to sue Tommy Robinson and Facebook over 'defamation'. 《The Independent》. 2019년 1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21일에 확인함. 
  241. Clifton, Katy (2018년 11월 30일). “Tommy Robinson admits he shared 'fake news' about Muslims attacking boy at school where Syrian refugee was filmed being bullied”. 《London Evening Standard》. 2018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30일에 확인함. 
  242. “Far-right activist Tommy Robinson removes videos after legal threat”. 《CNN International》. 2018년 11월 30일. 2018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30일에 확인함. 
  243. Day, Aasma (2018년 12월 3일). “Lawyer Suing Tommy Robinson On Behalf Of Syrian Refugee Dismisses Claims He Is Blocking Free Speech”. 《Huffington Post》. 2018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6일에 확인함. 
  244. Parveen, Nazia (2019년 5월 14일). “Tommy Robinson sued by Syrian schoolboy he accused of assault”. 《가디언》. 2019년 5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16일에 확인함. 
  245. Hamilton, Isobel Asher (26 February 2019) "Facebook has banned far-right activist Tommy Robinson for spreading Islamophobia" 보관됨 9 8월 2020 - 웨이백 머신 비즈니스 인사이더
  246. “Tommy Robinson loses libel case brought by Syrian schoolboy”. 《가디언》. 2021년 7월 22일. 2021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2일에 확인함. 
  247. “Tommy Robinson loses Jamal Hijazi libel case”. 《BBC News》. 2021년 7월 22일. 2021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2일에 확인함. 
    - “Hijazi -v- Yaxley-Lennon Approved Judgment” (PDF). Courts & Tribunals Judiciary. 2021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2일에 확인함. 
  248. “Conspiracy theorist's company funded Tommy Robinson film”. 《데일리 텔레그래프》. 2024년 10월 29일. 2024년 10월 29일에 확인함. 
  249. Romano, Aja (2016년 12월 30일). “The 2016 culture war, as illustrated by the alt-right”. 《Vox.com》. 2020년 1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1월 19일에 확인함. 
  250. Ahmed, Nafeez (2024년 8월 8일). “Exposing the Real UK Race Riot Instigators: The Key Players and Transatlantic Network Around Tommy Robinson”. 《바이라인 타임스》. 2024년 1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1월 5일에 확인함. 
  251. “Around The World In 80 Lies: The Story of Tommy Robinson's Libels, Lies and Luxury Lifestyle”. 《Hope not Hate》. 2023년 7월 11일. 2023년 7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7월 8일에 확인함. 
  252. Doak, Sam (2023년 6월 8일). “Lights, camera, actionable libel: A look into far-right activist Tommy Robinson's new film”. 《Logically Facts》. 2024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7월 8일에 확인함. 
  253. Musk, Elon (2025년 1월 2일). “Silenced”. 《X (소셜 네트워크)》. 2025년 1월 2일에 확인함X 경유. 
  254. Al Jazeera Staff. “Who is Tommy Robinson and why is Elon Musk throwing his weight behind him?”. 《알자지라》. 
  255. Bird, Steve (2025년 1월 7일). “Tommy Robinson releases podcast from prison prompting investigation”. 《텔레그래프》. 2025년 1월 8일에 확인함. 
  256. “Tommy Robinson faces jail after playing 'libellous' film to London protesters”. 《텔레그래프》. 2024년 7월 27일. 2024년 7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7월 31일에 확인함. 
  257. Quinn, Ben (2024년 7월 29일). “Tommy Robinson flees UK amid contempt of court proceedings”. 《가디언》. 2024년 8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7월 30일에 확인함. 
  258. Casciani, Dominic (2024년 7월 29일). “Tommy Robinson leaves UK on eve of court case”. 《가디언》. 2024년 7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7월 28일에 확인함. 
  259. Casciani, Dominic (2024년 8월 28일). “Tommy Robinson: Activist facing contempt of court allegations”. 《BBC 뉴스. 2024년 10월 15일에 확인함. 
  260. Weaver, Matthew (2024년 10월 25일). “Tommy Robinsons held in custody ahead of far-right march in London”. 《가디언》. 2024년 10월 25일에 확인함. 
  261. “Tommy Robinson admits contempt of court over false claims about refugee”. 《가디언》. Reuters. 2024년 10월 28일. 2024년 10월 28일에 확인함. 
  262. de Wolfe, Danielle (2024년 10월 28일). 'Nobody is above the law': Tommy Robinson jailed for 18 months after admitting 10 breaches of contempt of court”. 《LBC》. 2024년 10월 28일에 확인함. 
  263. Quinn, Ben (2024년 10월 28일). “Tommy Robinson jailed for 18 months after admitting contempt of court”. 《가디언》. 2024년 10월 29일에 확인함. 
  264. Johnson, Mr Justice. “HM Solicitor General -v- Yaxley-Lennon - Judgment” (PDF). 《judiciary.uk》. Courts & Tribunals Judiciary. 2024년 10월 29일에 확인함. 
  265. “Tommy Robinson ordered to pay £50,000 in costs after being jailed for contempt”. 《ITV 뉴스》. 2024년 12월 10일. 2024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2월 12일에 확인함. 
  266. “HMP Belmarsh: The high-security prison where Tommy Robinson is jailed” (영어). 《인디펜던트》. 2024년 10월 29일. 2024년 10월 30일에 확인함. 
  267. “Tommy Robinson loses court bid to challenge prison segregation” (영국 영어). 《BBC 뉴스》. 2025년 3월 21일. 2025년 3월 21일에 확인함. 
  268. Quinn, Ben (2025년 3월 20일). 'Lifer' in HMP Woodhill planned to kill Tommy Robinson, high court told”. 《가디언》. ISSN 0261-3077. 2025년 3월 21일에 확인함. 
  269. Hughes, Seren (2025년 3월 20일). “Tommy Robinson in jail: 1,250 phone calls and daily doctor visits”. 《더 타임스》. 2025년 3월 21일에 확인함. 
  270. “Tommy Robinson loses appeal against prison sentence” (영국 영어). 《BBC 뉴스》.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6일에 확인함. 
  271. Al-Othman, Hannah (2025년 5월 20일). “Tommy Robinson due for release in days after 18-month sentence cut”. 《theguardian.com》. 가디언. 2025년 5월 21일에 확인함. 
  272. “Tommy Robinson released from prison after sentence reduced”. 《BBC News》. 2025년 5월 27일. 
  273. Rawlinson, Kevin (2018년 3월 28일). “Tommy Robinson permanently banned by Twitter”. 《The Guardian》. 2018년 1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27일에 확인함. 
  274. Williams, Sophie (2019년 1월 17일). “YouTube bans ads on Tommy Robinson's account to stop him making money”. 《Evening Standard》. 2019년 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17일에 확인함. 
  275. Hern, Alex (2019년 2월 26일). “Tommy Robinson banned from Facebook and Instagram”. 《The Guardian》. 2019년 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26일에 확인함. 
  276. “Facebook Dangerous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List (Reproduced Snapshot)”. 《디 인터셉트》. 2021년 10월 12일. 2021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12일에 확인함. 
  277. Dearden, Lizzie (2019년 4월 2일). “Tommy Robinson's YouTube videos restricted after internet giant refuses to delete channel”. 《The Independent》. 2019년 4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14일에 확인함. 
  278. Rahim, Zamira (2019년 4월 5일). “Tommy Robinson banned by Snapchat”. 《인디펜던트》. 2019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26일에 확인함. 
  279. Coulter, Martin (2020년 4월 28일). “Tommy Robinson and Britain First turn to Russia's VK after being banned from TikTok”. 《비즈니스 인사이더》. 2022년 7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7월 8일에 확인함. 
  280. Vallance, Chris (2023년 11월 6일). “Tommy Robinson and Katie Hopkins reinstated on X”. 《BBC News》. 2023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1월 6일에 확인함. 
  281. Topping, Alexandra (2024년 9월 30일). “Man falsely accused of murder by Tommy Robinson calls for tighter rules on X”. 《가디언》. 
  282. Brady, Kate (2025년 1월 2일). “Who is Tommy Robinson, and why does Elon Musk want him freed?”. 《워싱턴 포스트. 2025년 1월 3일에 확인함. 
  283. Steafel, Eleanor; Teodorczuk, Tom (2025년 1월 11일). “How Tommy Robinson won over Trump's inner circle”. 《텔레그래프》. 2025년 1월 13일에 확인함. 
  284. Halliday, Josh; Beckett, Lois; Barr, Caelainn (2018년 12월 7일). “Revealed: the hidden global network behind Tommy Robinson”. 《The Guardian》. 2019년 4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14일에 확인함. 
  285. Stuchbery, Mike (2019년 2월 5일). “A spike in far right radicalisation should terrify us – here's how to stop it in its tracks”. 《The Independent》. 2019년 4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14일에 확인함. 
  286. Bailey, Luke (2018년 7월 14일). “This hardline US conservative think tank says it's funding Tommy Robinson rallies in the UK”. 《iNews》. 2019년 4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14일에 확인함. 
  287. “Paypal stops handling payments for Tommy Robinson”. 《BBC News》. 2018년 11월 8일. 2018년 1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3일에 확인함. 
  288. “PayPal bans Tommy Robinson from using service”. 《The Guardian》. 2018년 11월 8일. 2018년 1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25일에 확인함. 
  289. Cortellessa, Eric (2019년 1월 24일). “Why are US 'pro-Israel' groups boosting a far-right, anti-Muslim UK extremist?”. 《타임스 오브 이스라엘》. 
  290. Brown, David (2021년 3월 6일). “Search for Tommy Robinson's assets after EDL founder declares bankruptcy”. 《더 타임스》. 9면. ISSN 0140-0460. 2021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6일에 확인함. 
  291. Kingsley, Thomas (2022년 6월 10일). “Tommy Robinson spent £100,000 gambling before declaring bankruptcy”. 《인디펜던트》. 2024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0월 28일에 확인함. 
  292. “Tommy Robinson fined after failing to turn up at High Court finances hearing”. 《BBC News》. PA Media. 2022년 8월 1일. 2024년 8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0월 28일에 확인함. 
  293. “Case Update: Tommy Robinson, CPR 71 Orders, Bankruptcy & Contempt of Court”. 《Burlingtons》. 2022년 8월 18일. 2024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0월 28일에 확인함. 
  294. Kennedy, Dominic (2024년 8월 9일). “Tommy Robinson could face huge bill for unpaid tax”. 《더 타임스》. 2024년 8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9월 14일에 확인함. 
  295. Pogrund, Gabriel (2024년 8월 10일). “Tommy Robinson Inc 'made £1.6m' without paying tax — then folded”. 《더 타임스》. 2024년 10월 28일에 확인함. 
  296. Pogrund, Gabriel; Pillai, Mallalika P; Gadher, Dipesh (2024년 8월 17일). “Tommy Robinson explores his tax options amid HMRC investigation”. 《더 타임스》. 2024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0월 28일에 확인함. 
  297. “Tommy Robinson: Why are his companies registered under different names? (20 August 2024)”. 《The Good Law Project》. 2024년 8월 20일. 2024년 10월 2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