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EmuLab
새 주제보이기
마지막 댓글: Nomaze님 (15년 전)
에뮬랩은 종전의 네트워크 분야에서 시뮬레이션으로만 이루어지던 시스템 검증 작업을 리얼 네트워크로 끌어온 대표적인 테스트베드입니다. 특히 이전의 시뮬레이션 스크립트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리얼 네트워크의 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점이나, 무선 환경에서의 테스팅이 가능한 몇안 되는 시스템이라 의미가 있습니다. 또한 현재 세계에 수백개의 노드가 분포되어 있는 유명한 네트워크 테스트베드입니다. 현재 한국에서도 많은 대학들이 이를 이용해서 네트워크나 분산시스템 분야의 실험을 하고 있으므로 그 저명성은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Nomaze(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 그러니까 그걸 증명할 수 있는 출처를 제시해 주세요.--Park4223 (토론 / 기여) 2009년 9월 26일 (토) 14:24 (KST)
- Google-Scholar-검색-결과 - 이 결과에서 우리는 EmuLab이 학계에 얼마나 임팩트를 주는지 유추할 수 있고.
- EmuLab-Publication - 이 곳을 보면 좀더 일목 요연하게 정리가 되어있습니다.
- Sponsors - EmuLab은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를 포함한 유수의 기업들이 후원하여 유지하고 있는 프로젝트입니다.
- Locations - 이곳에서 얼마나 많은 곳에서 에뮬랩을 설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설명합니다.
- Usermap - 위 페이지에서 유저가 세계적으로 얼마나 많이 분포되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 --Nomaze (토론) 2009년 9월 26일 (토) 19:27 (KST)
- 출처가 요청된 부분에 출처를 표기했습니다. --Nomaze (토론) 2009년 9월 27일 (일) 22:16 (KST)
- 웹페이지 주소만 놔두면 바깥고리에 불과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 <ref></ref>문법을 사용해주세요.--Park4223 (토론 / 기여) 2009년 9월 27일 (일) 22:20 (KST)
- 말씀하신 대로 <ref></ref>문법을 사용해서 출처를 표기했습니다. 또한 내용 전부가 출처 1에서 참조되었으므로 출처는 하나만 표기하겠습니다. --Nomaze (토론) 2009년 9월 27일 (일) 23:44 (KST)
- Flux Group
- 유타 대학 전산학과에 여러가지 연구 모임이 있는데 그 모임 이름 중 하나가 Flux 그룹입니다. 고유명사로 번역이 불가합니다. --Nomaze (토론) 2009년 10월 1일 (목) 17:10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