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호커 800
새 주제![]() |
이 문서는 군사 관련 문서를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한 위키프로젝트 군사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싶으시다면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해 주세요. 프로젝트의 목표와 편집 지침을 확인하거나 토론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 |
미평가 | 이 문서에 대한 문서 품질이 아직 평가되지 않았습니다. | |
미평가 | 이 문서에 대한 문서 중요도가 아직 평가되지 않았습니다. |
금강정찰기의 인터링크
[편집]금강정찰기는 호커800XP 기종으로 만든 겁니다. 원래 이 문서에 링크되어 있던 en:British Aerospace BAe 125의 1993년 이후 기종으로 영어판은 별개의 문서로 취급합니다. en:British Aerospace BAe 125에는 한국군 관련 언급은 없고, en:Hawker 800에는 한국군 관련 얘기가 나옵니다. 2006년 8월 20일에 이 문서를 처음 만들면서 "2001년에 전력화할 예정이다"라는 신문기사를 그대로 Copy & Paste하셨더만, 이제 보니 엉뚱한 영어판 문서를 링크를 걸어놨군요. 도대체.....--WaffenSS 2007년 9월 29일 (토) 22:50 (KST)
- 관리자 선거에서 지적하는 것을 보고 처음 알았네요. 이의제기가 있었군요. 님의 견해는 저 아래의 기종들이 마치 다른 이야기를 하는 것 같아서 좀 부정확한 정보 같습니다. 금강정찰기가 원래 U-125 피스크립톤을 RC-800 식으로 제식명칭을 붙인 것이죠. 일본이 대량으로 산 것을 우리는 쬐끔 그 뒤에 따라 구입한 기종입니다. U-125에 그 125번호도 그렇고, 일본이 군용으로 쓰고 있는 것을 표기한 것도 그렇고...제가 편집한게 좀 더 정확하지 않나요? -- 멀뚱이Talk 2007년 10월 4일 (목) 13:41 (KST)
- 이 기종을 대한민국이 사들여 정찰, 감시 및 신호정보 수집용으로 관련 장비를 추가하여 개발한 것이 금강정찰기로서 2000년에 개조되어 8대가 납품되었다. 현재 기지는 성남의 서울 공항을 모기지로 하고 있다. // 혹시 이 서술을 누가 했는지는 모르겠는데, 일본이 20여대를 사고 난 다음에 우리가 8대 구입한 것이 U-125 피스크립톤입니다. 뭐 마치 한국만을 위해 정찰기를 독자개발이라도 한 것 처럼 서술했군요. 한국만을 위해 새 기종을 개발하지는 않습니다. 다른 여러나라에 팔던 거 후진거(?) 한국에 팔지요. 정보의 사실성이 좀 그렇군요. -- 멀뚱이Talk 2007년 10월 4일 (목) 13:43 (KST)
- 호커 800XP에 이런 저런 통신장비 등을 갖춘 것입니다. 동아일보 등에도 호커 800xP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후진거 한국에 판다"는 것은 멀뚱씨의 근거 약한 편견일뿐입니다. KD-3도 알레이버크급 플라이트IIA와 일본의 아타고급과 동일한 베이스라인 7.1을 씁니다. en:Hawker 800에도 나와 있는 내용입니다. 멀뚱씨가 편집한 건 2가지 기종을 뒤섞어 부정확한 정보를 쓴 것이지, 정확성과는 아무 관계없습니다. 영어판 가서 Bae 125와 호커800 두 문서 다 읽어보고 그런 소리하세요. --WaffenSS 2007년 10월 6일 (토) 13:59 (KST)
- 전미과학자연맹(FAS), U-125 피스 크립톤 글로벌시큐리티, U-125 피스 크립톤 -- 멀뚱이Talk 2007년 10월 6일 (토) 16:06 (KST)
- So What? --WaffenSS 2007년 10월 11일 (목) 04:05 (KST)
- 이 기종을 대한민국이 사들여 정찰, 감시 및 신호정보 수집용으로 관련 장비를 추가하여 개발한 것이 금강정찰기로서 2000년에 개조되어 8대가 납품되었다. 현재 기지는 성남의 서울 공항을 모기지로 하고 있다. // 혹시 이 서술을 누가 했는지는 모르겠는데, 일본이 20여대를 사고 난 다음에 우리가 8대 구입한 것이 U-125 피스크립톤입니다. 뭐 마치 한국만을 위해 정찰기를 독자개발이라도 한 것 처럼 서술했군요. 한국만을 위해 새 기종을 개발하지는 않습니다. 다른 여러나라에 팔던 거 후진거(?) 한국에 팔지요. 정보의 사실성이 좀 그렇군요. -- 멀뚱이Talk 2007년 10월 4일 (목) 13:43 (KST)
잘못된 내용 옮김
[편집]아래는 en:British Aerospace BAe 125에 해당하는 문서가 만들어지면 거기에 들어갈 내용, 그대로 옮겨옵니다. 역시나, 번역하다 말았군요. 이럴 거면 옮기질 말든가.--WaffenSS 2007년 9월 29일 (토) 22:52 (KST)
운용국가
[편집]민간용
[편집]군용
[편집]파생형
[편집]- DH.125 Series 1 - 첫 생산 버전, 8대 제작
- DH.125 Series 1A/1B - upgraded Bristol Siddeley Viper 521 (Series 1A) or 522 (Series 1B) engines with 3,090 lbf (13.8 kN) of thrust each
- HS.125 Series 2 - 군사용
- Dominie T.Mk.1, T.Mk.2 - navigation trainer for Royal Air Force
- CC.Mk.1, Mk.2, and Mk.3 - liaison aircraft for Royal Air Force
- HS.125 Series 3 - 엔진 업그레이드
- HS.125 Series 400 - 엔진 업그레이드
- HS.125 Series 600 - 3 ft 1 in (0.94 m) fuselage stretch to increase capacity to 14 passengers
- HS.125 Series 700 - 각각 3,720 lbf (16.6 kN)의 추력을 발생하는 Honeywell TFE731-3RH 터보팬 엔진을 장착함. 1976년 6월 19일 초도비행
- HS.125 Protector - 700 시리즈에 기반한 해상 탐색 레이더와 카메라를 장착한 해상 초계기
- BAe.125 Series 800 - 날개폭이 늘어났다. streamlined nose, tail fin extension, 연료량을 늘림, EFIS 조종석을 처음으로 채택했다. 엔진이 업그레이드 되었다. 1983년 5월 26일에 초도비행함.
- Hawker 800 - BAe.125-800 after 1993
- Hawker 800XP - 각각 4,660 lbf (20.8 kN)의 추력을 내는 TFE731-5BR1H 터보팬 엔진 장착
- Hawker 800SP and 800XP2 - New designation for 800A/B and 800XP aircraft when upgraded with aftermarket winglets
- C-29A - 미국 공군에서 사용된 800 시리즈의 제식번호. 록히드 C-140A를 대체한 기종이다. 첫번째 걸프전에서 사막의 방패 작전과 사막의 폭풍 작전에 사용되었다.
- U-125 - 800 시리즈에 기반한, 일본 수출형. 탐색 구조에 쓰임
- BAe.125 Series 1000 - 800 시리즈의 대륙간 횡단 버전, 2 ft 9 in (0.84 m) fuselage stretch to increase capacity to 15, increased fuel capacity, Pratt & Whitney Canada PW-305 turbofans with 5,200 lbf (23.2 kN) thrust each, first flight 16 June 1990, 52 built
- Hawker 1000 - BAe.125-1000 after 1993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11월)
[편집]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호커 800에서 8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 {{깨진 링크}} 틀을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38&article_id=0000001360§ion_id=0&menu_id=0 링크에 추가
- https://web.archive.org/web/20041015081851/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 보존 링크를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38&article_id=0000097751§ion_id=100&menu_id=100 링크에 추가함
- https://web.archive.org/web/20041015081851/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 보존 링크를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20&article_id=0000084648§ion_id=100&menu_id=100 링크에 추가함
- https://web.archive.org/web/20041015081851/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 보존 링크를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20&article_id=0000395361§ion_id=100&menu_id=100 링크에 추가함
- https://web.archive.org/web/20041015081851/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 보존 링크를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214&article_id=0000049247§ion_id=105&menu_id=105 링크에 추가함
- {{깨진 링크}} 틀을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S2D&office_id=020&article_id=0000395591§ion_id=100§ion_id2=267&menu_id=100 링크에 추가
- https://web.archive.org/web/20041012193019/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S2D 보존 링크를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S2D&office_id=020&article_id=0000395361§ion_id=100§ion_id2=267&menu_id=100 링크에 추가함
- https://web.archive.org/web/20041012193019/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S2D 보존 링크를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S2D&office_id=020&article_id=0000395350§ion_id=100§ion_id2=267&menu_id=100 링크에 추가함
- {{깨진 링크}} 틀을 http://www.raytheonaircraft.com/hawker/aircraft/hawker_850xp/ 링크에 추가
- https://web.archive.org/web/20070930184911/http://www.luftfahrtmuseum.com/htmd/dtf/hs125.htm 보존 링크를 http://www.luftfahrtmuseum.com/htmd/dtf/hs125.htm 링크에 추가함
- https://web.archive.org/web/20070927203602/http://www.luftfahrt-archiv.de/Flugzeugtypen.asp?Type=Link&ID=T1186&SID=110483740 보존 링크를 http://www.luftfahrt-archiv.de/Flugzeugtypen.asp?Type=Link&ID=T1186&SID=110483740 링크에 추가함
- {{깨진 링크}} 틀을 http://www.jetsite.com.br/2006/mostra_aeronave.asp?codi=109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www.jetsite.com.br/2006/mostra_aeronave.asp?codi=152 링크에 추가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11월 11일 (일) 23:28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4월)
[편집]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호커 800에서 3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 https://web.archive.org/web/20041015081851/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 보존 링크를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38&article_id=0000001360§ion_id=0&menu_id=0 링크에 추가함
- https://web.archive.org/web/20041012193019/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S2D 보존 링크를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S2D&office_id=020&article_id=0000395591§ion_id=100§ion_id2=267&menu_id=100 링크에 추가함
- https://web.archive.org/web/20070429101743/http://www.raytheonaircraft.com/hawker/aircraft/hawker_850xp/ 보존 링크를 http://www.raytheonaircraft.com/hawker/aircraft/hawker_850xp/ 링크에 추가함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9년 4월 7일 (일) 07:05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0년 6월)
[편집]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호커 800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 https://web.archive.org/web/20070928090317/http://britishaircraft.co.uk/aircraftpage.php?ID=656 보존 링크를 http://britishaircraft.co.uk/aircraftpage.php?ID=656 링크에 추가함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0년 6월 11일 (목) 20:11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