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유형 이론
새 주제보이기
![]() |
이 문서는 다음 여러 위키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 |||||||||||||||||||||||||||
---|---|---|---|---|---|---|---|---|---|---|---|---|---|---|---|---|---|---|---|---|---|---|---|---|---|---|---|---|
|
![]() |
이 문서는 다음 여러 위키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 |||||||||||||||||||||||||||
---|---|---|---|---|---|---|---|---|---|---|---|---|---|---|---|---|---|---|---|---|---|---|---|---|---|---|---|---|
|
러셀의 유형 이론을 다루는 주요 한국어 논문[TT 1][TT 2][TT 3]의 용례에 따라, 유형론 (수학) 문서를 다시 유형 이론으로 이동합니다. 유형의 개념이 등장하는 논리 체계는 '유형론'보다는 '유형 이론'으로 더 많이 불리고, 러셀이 만든 유형 이론을 소개하는 논문들에서도 '분지 유형론'보다 '분지 유형 이론'이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종전에 있었던 이동 요청(위키백과:이동_요청/2022년_8월#유형_이론_→_유형론_(수학))에서는 언어유형론과의 일관성을 이유로 이동이 주장되었지만, 이 둘은 전혀 다른 분야이고, 그에 대응하는 영어 용어도 서로 다릅니다. 언어유형론은 보통 (linguistic) typology로 지칭되고, (lingtuistic-)type theory로 불리는 경우는 비교적 드뭅니다. 논리학의 유형 이론은 type theory의 번역이며, typology로 불리는 경우는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따라서 언어학 용어와의 직접적인 비교는 타당해 보이지 않습니다. 慈居 (토론) 2022년 9월 9일 (금) 23:41 (KST)답변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