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오토마타 이론
새 주제보이기
마지막 의견: 13년 전 (Chugun님) - 주제: 용어
![]() |
이 문서는 다음 위키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 ||||||||||||||||||
---|---|---|---|---|---|---|---|---|---|---|---|---|---|---|---|---|---|---|---|
|
용어
[편집]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정리해봅니다. 틀토론:형식 언어 및 형식 문법에도 같은 토론이 있었습니다. --klutzy (토론) 2011년 4월 18일 (월) 16:30 (KST)
- automaton, automata: 오토마타. 오토마타 이론. 오토마타 이외로는 '자동장치', '자동기계'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전문용어가 아닌 일반 단어로서의 automata는 자동기계로 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영어로는 단수 automaton과 복수 automata가 구별되지만 한국어에서는 큰 구별 없이 모두 '오토마타'로 부르고 있습니다.
- formal language: 형식 언어. 마찬가지로 formal grammar는 형식 문법.
- Turing machine: 튜링 기계.
- Chomsky hierarchy: 촘스키 위계.
- context-free: 문맥 자유. 문맥 자유 문법, 문맥 자유 언어.
- context-sensitive: 문맥 의존. 문맥 의존 문법. 문맥 인식[1]도 사용되는 듯 합니다.
- regular: 정규. 정규 문법, 정규 표현식.
- recursive langauge: 재귀 언어? 순환 언어?
- recursively enumerable: 재귀 열거 언어?
- finite state machine: 유한 상태 기계.
- pushdown automata: 푸시다운 오토마타? 내리누름 오토마타? 내려누름 오토마타? 첫번째가 많이 사용되지만 명확히 통일된 것 같지는 않습니다.
- linear bounded automata: 선형 한계 오토마타?
- decider: 판정자?
- Pumping lemma: 펌핑 보조정리?
- Kleene star: 클레이너 스타?
아예 처음부터 영어 발음 그대로 쓰는 경우도 적잖은듯 합니다. context-free를 컨텍스트 프리로 그대로 쓰는 경우라던지, Pumping lemma를 펌핑 렘마로 그대로 쓴다던지요. Kleene star 같은 경우는 Kleene의 발음이 문제가 될 듯하네요. "클레이너"? "클린"? 참고로 en:Stephen Cole Kleene에서는 발음을 /ˈkleɪniː/로 쓰고 있고, 클린이나 클리니 등은 흔히 범하는 오류라고 나와있네요. - 츄군 (토론) 2011년 11월 22일 (화) 22:49 (KST)
snsmsss nsmsnmssmsnsmnmsn snsmssjh wj hjhjhdjh hnj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