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신라
새 주제![]() |
이 문서는 한국사 관련 문서를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한 위키프로젝트 한국사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싶으시다면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해 주세요. 프로젝트의 목표와 편집 지침을 확인하거나 토론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 |
![]() |
이 문서는 프로젝트의 고유한 선정 기준에 따라 C등급 문서에 선정되었습니다. | |
최고 | 이 문서는 프로젝트 내에서 최고로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
이곳은 위키백과의 신라 문서를 위한 토론 문서입니다. 이곳은 신라에 대한 일반적인 토론을 하는 장소가 아닙니다. | |
---|---|
|
- 잘라내기와 붙여넣기가 잘못되어 글의 중간에 단어가 끊겨있는 잘 못된 편집을 바로잡았습니다.--Zanny 2007년 4월 17일 (화) 14:19 (KST)
- 이문서에는 신라 하나로 역사책에 명시 되었있지만 실제로 나라에는 신라는 두나라가 있습니다
서신라(대륙신라)와 동신라(한반도)입니다 서신라(대륙신라)는 박씨의 시조(신라의 시조) 박 혁거세거서간이고 동신라(한반도)는 지증왕 (김 지대로)입니다.
이 문서 작성자님께 질문 드립니다. 신라의 인구가 너무 적게 써놨네요. 어느 시기를 기준으로 신라의 인구가 90만 명이라고 한 것인지 모르겠지만 해도해도 너무 적게 잡으셨네요. 삼국사기 김유신전을 보면 668년에 신라가 고구려를 멸망시킬 때 동원한 군사가 20만 명입니다. 그런데 겨우 90만 명 인구에서 20만 명을 차출할 수 있다고 보십니까? 절대 불가능합니다. 더군다나 백제 잔당들이 아직 완전히 다 진압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을 진압할 군사도 어느 정도 남겨뒀을 겁니다. 그럼 족히 30만 정도의 군사가 신라에 있었을 겁니다. 그런데다 농경시대에 군인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8% 정도였습니다. 한 예로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조선 중종 18년 때 군적을 보면 31만 1,165명이 올라와 있었고 그보다 4년 전의 인구가 374만 5,481명이고 8년 뒤의 인구가 396만 명 정도였습니다. 그럼 중종 18년의 인구는 대략 382만 명 정도였는데 군사 수가 31만 1,165명이라 했으니 군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8.12% 정도입니다. 신라도 그와 비슷할 것이라 보면 암만 못해도 7세기 때 인구가 400만 명 정도는 나오는데요? 거기다 백제, 패강 이남 고구려 지역의 인구까지 합치면 더 많을 겁니다.조재범(토론) 2015년 6월 16일 (화) 13:10 조재범 (토론) 2015년 6월 16일 (화) 13:10 (KST)
신라의 삼국 통일
[편집]"부산"님께 묻습니다. 신라가 삼국(고구려, 백제, 신라)을 통일하였다는 것은 정설 아닌가요?Nichetas (토론) 2009년 5월 26일 (화) 09:37 (KST)
-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는 신라가 삼국통일을 하였으나, 곧바로 남북국 시대로 바뀌었다는 식으로 서술되어 있습니다. 통일이냐 아니냐는 굳이 중요한 부분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adidas (토론) 2009년 5월 26일 (화) 12:22 (KST)
일본의 신라 영향
[편집]경상도 땅을 떼어 일본에 붙인 사람들이 있었다 Komitsuki (토론) 2011년 1월 17일 (월) 21:12 (KST)
신라 문화
[편집]신라에서도 인면옥 만들었을까? (26) 처용이 서역인인 이유는 Komitsuki (토론) 2013년 3월 17일 (일) 22:36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0년 4월)
[편집]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신라에서 3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 https://web.archive.org/web/20150419131038/http://www.sesk.net/board_column/content.asp?num=266&RC=268&page=1&block=0 보존 링크를 http://www.sesk.net/board_column/content.asp?num=266&RC=268&page=1&block=0 링크에 추가함
- https://web.archive.org/web/20150419131038/http://www.sesk.net/board_column/content.asp?num=266&RC=268&page=1&block=0 보존 링크를 http://www.sesk.net/board_column/content.asp?num=266&RC=268&page=1&block=0 링크에 추가함
- https://web.archive.org/web/20150419131038/http://www.sesk.net/board_column/content.asp?num=266&RC=268&page=1&block=0 보존 링크를 http://www.sesk.net/board_column/content.asp?num=266&RC=268&page=1&block=0 링크에 추가함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0년 4월 11일 (토) 16:44 (KST)
각주 정리했습니다.
[편집]각주 정리하고, 참고문헌을 보충합니다. Knight2000 (토론) 2023년 10월 17일 (화) 22:16 (KST)
XX년 조(條) 라는 표현은 한국어 맞춤법에 따르면 띄어쓰기가 맞지만, 역사학계 용례는 XXX년조(條)라는 식으로 붙여쓰기 합니다. 그래서 저도 붙여쓰기를 했습니다. --Knight2000 (토론) 2023년 10월 17일 (화) 22:18 (KST)
각주, 참고문헌, 기년, 연호 등을 정리했습니다.
[편집]각주, 참고문헌, 기년, 연호 등을 정리했습니다. 연도는 서기로 쓰고, 신라 기년을 괄호 안에 넣고, 백제 등 타국의 기년이나 연호는 필요한 때만 넣었습니다. Knight2000 (토론) 2023년 11월 10일 (금) 15:26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