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간토 대지진
새 주제![]() | 이 문서에는 일본어 위키백과에 있는 関東地震 문서에서 번역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문을 작성한 기여자의 목록을 보려면 문서 역사를 확인하십시오. |
![]() |
이 문서는 알찬 글로 선정되었습니다. 이 문서는 위키백과에서 지정한, 양적·질적으로 완벽한 문서입니다. 해당 토론을 확인해주세요. 만약 이 문서가 알찬 글로서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되면 재검토를 시작해 주세요. | ||
|
![]() |
이 문서는 다음 위키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 ||||||||||||||||||
---|---|---|---|---|---|---|---|---|---|---|---|---|---|---|---|---|---|---|---|
|
이곳은 위키백과의 간토 대지진 문서를 위한 토론 문서입니다. 이곳은 간토 대지진에 대한 일반적인 토론을 하는 장소가 아닙니다. | |
---|---|
|
해석 요청
[편집]아이피 사용자 61.81.16.249님이 "일본판위키보면 관동 대지진 내용이 다르던데 해석 가능하신분없나"[1]을 본문에 남기셔서 토론란으로 옮깁니다. --알밤(토론) 2010년 2월 22일 (월) 15:26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0년 5월)
[편집]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간토 대지진에서 3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 https://web.archive.org/web/20160313144644/http://www.bousai.go.jp/kyoiku/kyokun/kyoukunnokeishou/rep/1923--kantoDAISHINSAI/index.html 보존 링크를 http://www.bousai.go.jp/kyoiku/kyokun/kyoukunnokeishou/rep/1923--kantoDAISHINSAI/index.html 링크에 추가함
- https://web.archive.org/web/20131214150716/http://www.zisin.jp/pdf/nf-vol3.pdf 보존 링크를 http://www.zisin.jp/pdf/nf-vol3.pdf 링크에 추가함
- https://web.archive.org/web/20150516231706/http://www.giroj.or.jp/disclosure/q_kenkyu/19.html 보존 링크를 http://www.giroj.or.jp/disclosure/q_kenkyu/19.html 링크에 추가함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0년 5월 9일 (토) 15:32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0년 6월)
[편집]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간토 대지진에서 3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 https://web.archive.org/web/20141129035203/http://www.bousai.go.jp/kyoiku/kyokun/kyoukunnokeishou/rep/1923-kantoDAISHINSAI_2/index.html 보존 링크를 http://www.bousai.go.jp/kyoiku/kyokun/kyoukunnokeishou/rep/1923-kantoDAISHINSAI_2/index.html 링크에 추가함
- https://web.archive.org/web/20100514024012/http://www3.ocn.ne.jp/~jinken/museum/fukudamura/fukudamura.html 보존 링크를 http://www3.ocn.ne.jp/~jinken/museum/fukudamura/fukudamura.html 링크에 추가함
- https://web.archive.org/web/20130617194652/http://www.geocities.jp/nakanolib/shou/st12.htm 보존 링크를 http://www.geocities.jp/nakanolib/shou/st12.htm 링크에 추가함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0년 6월 6일 (토) 23:28 (KST)
표제어에 대해
[편집]@Twotwo2019:안녕하세요. 우선 좋은 글 번역해서 아주 알차게 작성해주신 것에 대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간토 대지진은 관동 대지진이라고도 불립니다. 저도 학교에 다닐 때 관동 대지진으로 배운 터라, 처음에 간토 대지진이라는 표제어를 봤을 때 같은 사건을 가리키는 줄 몰랐습니다. 그래서 검색해보았는데, 구글에서는 간토 대지진이 대략 10,000개 더 표출됩니다. 그러나 네이버 뉴스, 네이버 학술정보, 국립중앙도서관, riss, 국회도서관에서 검색했을 때 관동대지진이 더욱 많이 등장하며 심지어 전문서적의 경우 10배 가량 더 자주 사용되는 표제어임을 확인했습니다. 왜 구글이 간토대지진을 더 많이 도시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교과서에서도 그렇고 구글을 제외한 다른 모든 포털에서 관동대지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만큼 표제어로 관동대지진이 더욱 적절할 것 같다는 의견입니다. 이에 대해 의견 듣고싶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한 주 되세요:)――사도바울 《☎|✎|X》 2020년 6월 24일 (수) 13:58 (KST)
- 위키백과에서 처음으로 생성했을 때 표제어가 '간토 대지진'이라서 구글이나 위키백과에서는 현 표제어로 굳어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한국어 화자가 "관동 대지진"으로 사용하고 있다면 관련 문서들을 전부 그리로 옮기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L. Lycaon (토론 / 기여) 2020년 6월 24일 (수) 15:36 (KST)
- 위키백과와 이외의 사이트에 검색해보면 혼용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봅니다. 간토(관동) 관련해서 대지진과 대학살이 검색되는데, 이때 표기시 '간토(관동) / Kantō region'라고 적혀있습니다. 아마 관동은 한국어로 표기하는 것에 더욱 가깝고, 간토는 원어를 한국어로 읽는 과정에서 표기 그대로 읽게 됐을 때 발음을 사용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같은 의미이지만, 어떤 표기이냐에 따라 어떤 표제어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것은 좋다고 생각합니다. Jung Subin (토론) 2023년 4월 14일 (금) 15:33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1년 1월)
[편집]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간토 대지진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 https://web.archive.org/web/20160313144644/http://www.bousai.go.jp/kyoiku/kyokun/kyoukunnokeishou/rep/1923--kantoDAISHINSAI/index.html 보존 링크를 http://www.bousai.go.jp/kyoiku/kyokun/kyoukunnokeishou/rep/1923--kantoDAISHINSAI/index.html 링크에 추가함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779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780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785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788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789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794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796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803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804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807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814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815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817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833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844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853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858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890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912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916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937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960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967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985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2987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3057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3099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3164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3165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3221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3223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3236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3322 링크에 추가
- {{깨진 링크}} 틀을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3437 링크에 추가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1년 1월 29일 (금) 00:17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2년 1월)
[편집]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간토 대지진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 https://web.archive.org/web/20160605123027/http://iss.ndl.go.jp/books/R100000074-I000632925-00 보존 링크를 http://iss.ndl.go.jp/books/R100000074-I000632925-00 링크에 추가함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2년 1월 13일 (목) 23:20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2년 1월)
[편집]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간토 대지진에서 2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 https://web.archive.org/web/20140314162148/http://www.47news.jp/CN/201403/CN2014031001001369.html 보존 링크를 http://www.47news.jp/CN/201403/CN2014031001001369.html 링크에 추가함
- https://web.archive.org/web/20171129193421/http://www.asahi.com/sp/ajw/articles/AJ201710010005.html 보존 링크를 http://www.asahi.com/sp/ajw/articles/AJ201710010005.html 링크에 추가함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2년 1월 22일 (토) 21:15 (KST)
표제어 이동 제안
[편집]간토 대지진은 관동대지진이라고도 불립니다. 학교에서도 관동대지진으로 가르칩니다. 구글에서는 간토 대지진이 대략 10,000개 더 표출됩니다. 그러나 네이버 뉴스, 네이버 학술정보, 국립중앙도서관, riss, 국회도서관에서 검색했을 때 관동대지진이 더욱 많이 등장하며 심지어 전문서적의 경우 10배 가량 더 자주 사용되는 표제어임을 확인했습니다. 네이버 데이터랩에서도 대부분의 유저들이 '관동대지진'이라는 키워드로 대상을 검색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왜 구글이 간토대지진을 더 많이 도시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교과서에서도 그렇고 구글을 제외한 다른 모든 포털에서 관동대지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만큼 표제어로 관동대지진이 더욱 적절할 것 같다는 의견입니다.
문서를 제작해주신 @Twotwo2019:님께 핑 드립니다. ― 사도바울 (💬✍ℹ️) 2023년 4월 4일 (화) 19:07 (KST)
- 구글에서 간토 대지진을 많이 띄워줘서 그쪽을 표제어로 놓았었는데, 그 외 다른 키워드에서 관동대지진을 더 많이 표시한다면 관동대지진으로 이동을 찬성합니다. Vela* (토론 / 기여) 2023년 4월 4일 (화) 19:12 (KST)
- 이 토론에만 적용되는 의견은 아니지만, 구글에서 띄워 주는 결과에는 "위키백과의 표제어이기 때문에" 이 쪽으로 쏠릴 수도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었으면 합니다. --LaxSandStröm (토론) 2023년 4월 5일 (수) 07:57 (KST)
반대 관동대지진이 더 많이 쓰이는 표기인 것은 사실이나, 해당 지진이 일본에서 일어난 지진인 이상 관동이라는 표기보다는 일본어 표기인 간토라는 표기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거기에 한국에서 강원도 일대를 가리키는 표현으로 관동 지방이라는 표현이 사용되고 있는 만큼 그쪽과 혼동될 여지 또한 존재합니다.--Kirschtaria (토론) 2023년 4월 4일 (화) 20:09 (KST)
- 아래 의견으로 갈음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4월 9일 (일) 19:31 (KST)
- 그렇게 친다면 티베트랑 위구르가 지금 중국에 합병되었으니 티베트, 위구르가 소속된 국가인 중국에서 부르는 시짱, 웨이구얼을 이름으로 표제어로 해야합니다. Mamiamauwy (토론) 2023년 11월 13일 (월) 21:18 (KST)
- 학술서적, 전문서적에 '관동대지진'이라는 명칭이 더 많이 쓰여져 있다면 표제어를 '관동대지진'으로 하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GeonwooLee (토론) 2023년 4월 14일 (금) 15:31 (KST)
반대 관동과 혼동될 수 있습니다.--118.221.60.213 (토론) 2023년 4월 6일 (목) 00:03 (KST)
- 강원도에서 대지진이 일어난 적이 있나요? 관동 대지진이라는 이름은 일반적으로 일본의 관동에서 일어난 사건을 가리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RdxxeR (talk) 2023년 4월 7일 (금) 22:56 (KST)
- 여기서 한국의 관동을 내세우는 것은 다소 비약이 있어 보입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4월 9일 (일) 19:31 (KST)
- 현재 관동이라는 지역이 대한민국 국내에서 쓰이는 경우는 교과서로 배우는 정철의 '관동별곡'이나 명승지를 뜻하는 관동팔경, 대학 이름인 가톨릭관동대학교 등 매우 극소수인데 이를 들어 반대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봅니다. Kloyan.L (토론) 2023년 4월 14일 (금) 15:42 (KST)
- 한국의 관동지방과 혼동될 수 있다는 의견에 동의하지 읺습니다. 관동은 한국에만 있는게 아닙니다. Kid990 (토론) 2023년 4월 21일 (금) 20:28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4년 7월)
[편집]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간토 대지진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 https://web.archive.org/web/20230614134943/https://www.idsa.in/idsacomments/JapanCopingwithaNationalCalamity_rpanda_160311 보존 링크를 http://www.idsa.in/idsacomments/JapanCopingwithaNationalCalamity_rpanda_160311 링크에 추가함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4년 7월 17일 (수) 05:39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