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트라하이드로비오프테린
보이기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 (6R)-2-Amino-6-[(1R,2S)-1,2-dihydroxypropyl]-5,6,7,8-tetrahydropteridin-4(1H)-one | |
| 식별 정보 | |
| CAS 등록번호 | 62989-33-7 | 
| ATC 코드 | A16AX07 | 
| PubChem | 135398654 | 
| 드러그뱅크 | DB00360 | 
| ChemSpider | 40270 | 
| 화학적 성질 | |
| 화학식 | C9H15N5O3 | 
| 분자량 | ? | 
| 약동학 정보 | |
| 생체적합성 | ? | 
| 동등생물의약품 | ? | 
| 약물 대사 | ? | 
| 생물학적 반감기 | 4 hours (healthy adults) 6–7 hours (PKU patients)  | 
| 배출 | ? | 
| 처방 주의사항 | |
| 허가 정보 | |
| 임부투여안전성 | B1(오스트레일리아)[1]C(미국)[1] | 
| 법적 상태 | |
| 투여 방법 | By mouth | 
테트라하이드로비오프테린(영어: tetrahydrobiopterin, BH4, THB)은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의 분해 및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5-하이드록시트립타민, 5-HT), 멜라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의 생합성에 사용되는 비오프테린-의존성 방향족 아미노산 하이드록실화효소의 보조 인자이다[2] 사프로프테린(영어: sapropterin)이라고도 한다.[3][4] 또한 테트라하이드로비오프테린은 산화 질소 생성효소에 의한 산화 질소의 생성을 위한 보조 인자이다.[5] 화학적으로 그 구조는 다이하이드로프테리딘 환원효소에 의해 환원된 프테리딘 유도체(퀴노노이드 다이하이드로비오프테린)이다.[6]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Sapropterin (Kuvan) Use During Pregnancy”. 《Drugs.com》. 2019년 5월 17일. 2020년 3월 4일에 확인함.
 - ↑ Kappock TJ, Caradonna JP (November 1996). “Pterin-Dependent Amino Acid Hydroxylases”. 《Chemical Reviews》 96 (7): 2659–2756. doi:10.1021/CR9402034. PMID 11848840.
 - ↑ “Sapropterin”. 《Drugs.com》. 2020년 2월 28일. 2020년 3월 4일에 확인함.
 - ↑ “International Non-proprietary Names for Pharmaceutical Substances (INN)”. 《Fimea》. 2020년 10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4일에 확인함.
 - ↑ Całka J (2006). “The role of nitric oxide in the hypothalamic control of LHRH and oxytocin release, sexual behavior and aging of the LHRH and oxytocin neurons”. 《Folia Histochemica et Cytobiologica》 44 (1): 3–12. PMID 16584085.
 - ↑ Bhagavan, N. V. (2015). 《Essentials of Medical Biochemistry With Clinical Cases, 2nd Edition》. USA: Elsevier. 256쪽. ISBN 978-0-12-41668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