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뮴산
보이기
| 이름 | |
|---|---|
| IUPAC 이름
Chromic acid
| |
| 체계명
Dihydroxidodioxidochromium | |
| 별칭
Chromic(VI) acid
Tetraoxochromic acid |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 ChEBI | |
| ChemSpider | |
| ECHA InfoCard | 100.028.910 |
| EC 번호 |
|
| 25982 | |
PubChem CID
|
|
| UNII | |
| UN 번호 | 1755 1463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 성질 | |
| H 2CrO 4 or H | |
| 겉보기 | Dark red crystals |
| 밀도 | 1.201 g cm−3 |
| 녹는점 | 197 °C (387 °F; 470 K) |
| 끓는점 | 250 °C (482 °F; 523 K) (decomposes) |
| 169 g/100 mL | |
| 산성도 (pKa) | -0.8 to 1.6 |
| 짝염기 | Chromate and dichromate |
| 위험 | |
| 주요 위험 | highly toxic, carcinogen, corrosive |
| GHS 그림문자 | |
| 신호어 | 위험 |
| H271, H300, H301, H310, H314, H317, H318, H330, H334, H340, H341, H350, H361, H372 | |
| P201, P202, P210, P220, P221, P260, P261, P262, P264, P270, P271, P272, P273, P280, P281, P283, P284, P285, P301+310, P301+330+331, P302+350, P302+352, P303+361+353, P304+340, P304+341 |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LD50 (median dose)
|
51.9 mg/kg (H2CrO4·2Na, rat, oral)[2] |
| NIOSH (미국 건강 노출 한계): | |
PEL (허용)
|
TWA 0.005 mg/m3[1] |
REL (권장)
|
TWA 0.001 mg Cr(VI)/m3[1] |
IDLH (직접적 위험)
|
15 mg Cr(VI)/m3[1]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크로뮴산(영어: Chromic acid)은 크로뮴산염이 이온화될 때 만들어지거나, 삼산화 크로뮴을 황산에 녹일 때 얻어진다. 화학식은 H2CrO4 또는 H2Cr2O7이다.
각주
[편집]- ↑ 가 나 다 NIOSH Pocket Guide to Chemical Hazards. “#0138”. 미국 국립 직업안전위생연구소 (NIOSH).
- ↑ “Chromic acid and chromates”. 《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and Health Concentrations (IDLH)》.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크로뮴산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이 글은 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