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초안:2025년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분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25 Afghanistan–Pakistan conflict
장소
{{{장소}}}
지휘관
아프가니스탄 Mullah Yaqoob
아프가니스탄 Qari Fasihuddin
틀:나라자료 Afghanistan Haji Nusrat 
Noor Wali Mehsud
Hafiz Gul Bahadur
파키스탄 Asif Ali Zardari
파키스탄 Shehbaz Sharif
파키스탄 Asim Munir
파키스탄 Khawaja Asif
파키스탄 Mohsin Naqvi
피해 규모
Per Afghanistan:
11th October:
9 personnel Killed[1]
16–18 wounded[2]
12th October:
19 personnel killed[3]
15th October:
15-20 personnel killed[4]
Per Pakistani Taliban:
2 senior TTP members killed[5]
Per Pakistan:
250+ personnel killed (including TTP)[6][7][8][9]
1 Humvee destroyed[7][10][11][12]
6 tanks destroyed[7][10][11][12][13][14][9]
37 Afghan civilians killed, 425 injured[15]
4 Pakistani civilians injured[16]

틀:Campaignbox Afghanistan-Pakistan border skirmishes2025년 10월 9일 새벽, 파키스탄은 카불, 코스트, 잘랄라바드,[17][18], 파크티카[19] 에서 파키스탄 탈레반 (TTP)을 표적으로 공습을 감행했습니다. 이 단체의 지도자이자 국제적으로 지정된 테러리스트인 누르 왈리 메흐수드[20][21]는 압둘 하크 광장 에서 발생한 카불 공격의 주요 표적이었습니다.[22][23] 그러나 TTP는 메흐수드가 살아 있다고 진술한 것으로 추정되는 확인되지 않은 오디오 녹음을 공개했습니다.[24][25]

10월 11일에서 12일 밤, 아프가니스탄 탈레반은 파키스탄 공습에 대한 보복으로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국경을 따라 있는 여러 파키스탄 군 초소에 공격을 가했습니다. 공격 후 탈레반 국방부는 작전 종료를 발표했습니다.[26] 그러나 파키스탄 관리들은 탈레반의 휴전 선언을 거부하고 공세를 계속했으며, 탈레반 대변인은 충돌이 10월 12일 아침까지 지속되었다고 언급하며 이를 확인했습니다.[27][28] 같은 날, 칸다하르헬만드 지방에서 파키스탄 드론 공습이 발생하여 탈레반 전투원 19명이 사망했다는 보고가 나왔지만, 탈레반 관리들은 이러한 사상자를 확인하지 않았습니다.[3] 양측은 서로에게 큰 피해를 입혔고 여러 국경 초소를 점령하거나 파괴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스핀 볼다크 의 탈레반 군사 기지의 위성 이미지는 충돌로 인해 상당한 피해를 입었음을 보여주었습니다.[29]

10월 15일에 격렬한 전투가 재개되었고, 양측은 상대방이 폭력을 시작했다고 비난했습니다. 가장 치열한 전투는 민간인 사상자가 보고된 스핀 볼닥 주변에서 발생했습니다.[30] 파키스탄은 나중에 아프가니스탄 내에서 "정밀" 공습을 발표했는데, 아프가니스탄 현지인과 언론은 이것이 카불과 칸다하르의 군사 시설을 공격했다고 말했고, 탈레반은 카불 폭발을 유조선 폭발로 돌렸습니다.[31] 파키스탄만이 공개적으로 정한 48시간의 휴전 이후, 파키스탄 군대는 휴전이 만료된 후 파크티카 주 에서 공습을 실시했습니다.[32] 탈레반은 파키스탄이 파크티카의 민간인을 표적으로 삼았다고 비난했고, 파키스탄은 공습이 TTP의 파벌인 하피즈 굴 바하두르 그룹 에 속한 무장 세력을 표적으로 삼았다고 반박했습니다.[32] 10월 19일, 카타르는 카타르와 터키의 중재로 진행된 광범위한 도하 회담 이후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이 휴전에 합의했다고 발표했습니다.[33] 이 휴전 선언에 따라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TTP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기로 합의했으며 양측은 서로의 보안군, 민간인 또는 중요 인프라를 표적으로 삼지 않기로 약속했습니다.[34] 아프가니스탄 유엔 지원단 (UNAMA)은 아프가니스탄에서 국경을 넘나드는 폭력으로 인해 민간인 37명이 사망하고 425명이 부상당했다고 밝혔습니다.[15]

배경

[편집]

파키스탄은 최근 몇 년 동안 아프가니스탄 정부가 아프가니스탄 탈레반의 분파인 테흐리크-에-탈리반 파키스탄 (TTP)이 아프가니스탄 영토를 안전한 피난처로 사용하여 국경을 넘어 파키스탄으로 공격을 계획하고 시작하도록 허용했다고 비난했습니다.[35][36]

이 문제로 인해 외교 관계가 반복적으로 긴장되었으며 카불은 아프가니스탄 주권 침해 혐의에 항의하기 위해 여러 차례 파키스탄 대사를 소환했습니다.[37][35]

파키스탄이 반파키스탄 무장 세력의 은신처를 표적으로 삼았다고 반복해서 주장함에 따라 2024년과 2025년에 파크티카, 코스트, 낭가르하르, 쿠나르 와 같은 아프가니스탄 지방 내에서 국경을 넘는 작전과 공습이 이루어졌습니다.[36][38][39]

타임라인

[편집]

10월 9일

[편집]

2025년 10월 9일 오후 9시 50분경 AFT,[40] 카불 에서 큰 폭발음이 두 번 들렸는데, 특히 8구의 압둘 하크 광장 근처 동부 지역에서 그랬습니다[41][42] 카불의 다른 지역에서도 폭발음과 총성이 들려 주민들은 공습이 일어났다고 생각했습니다.[43] 목격자들은 폭발 직후 머리 위에서 항공기 소리를 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후 보고에 따르면 파키스탄 탈레반 전선 (TTP)의 지도자 누르 왈리 메흐수드가 공습의 표적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25][44] 그러나 TTP는 메흐수드가 공격에서 살아남았다고 주장하는, 검증되지 않은 그의 음성 녹음을 공개했습니다.[25] 또한 Khost, Jalalabad,[17][18]Paktika에서 공습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19] 그러나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카불과 Paktika에서만 공습을 확인했습니다.[19]

TTP 관계자는 카불 공습으로 그룹의 고위 구성원 최소 2명이 사망했다고 확인했습니다.[5] 일부 소식통은 TTP 에미르 누르 왈리 메흐수드가 공습으로 사망했다고 주장했습니다.[45][19][46] 그러나 TTP는 메흐수드가 살아 있다고 주장하는 그의 것으로 추정되는 미확인 음성 녹음을 공개했습니다.[47] 메흐수드는 나중에 자신이 살아 있고 파키스탄 공군 (PAF)의 공습에서 탈출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영상을 공개했습니다.[48][40]

아프가니스탄 언론인들은 아프가니스탄 탈레반이 파키스탄의 공격을 받은 지역에 대한 접근을 제한했다고 지적했습니다.[17][18]

10월 11일

[편집]

10월 11일 밤, 카리 파시후딘 이 이끄는 이슬람 국민군을 통해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국경을 따라 있는 여러 파키스탄 군 기지에 대한 공격을 개시했습니다. 아프가니스탄 관리들은 이 공격이 아프가니스탄에서 파키스탄의 공습에 대한 대응이라고 밝혔습니다.[49][50][51][52] 공격 후 몇 시간 만에 아프가니스탄 국방부는 파키스탄에 대한 탈레반의 작전이 종료되었다고 선언했지만, 앞으로 아프가니스탄 영공을 침범하면 "단호한 대응"을 촉발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26] 그러나 파키스탄 관리들은 아프가니스탄 정부의 일방적인 휴전 선언을 거부했으며 아프가니스탄의 군사 기지에 대한 공격을 계속했다고 밝혔습니다.[27][53][54] 이것은 아프가니스탄 군사 기지에 대한 공격이 10월 12일 오전까지 계속되었다는 사실을 언급한 탈레반 대변인에 의해 확인되었습니다.[28]

10월 12일

[편집]

10월 12일, 아프가니스탄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파키스탄이 아프가니스탄 남부 칸다하르헬만드 주에서 드론 공격을 감행하여 하지 누스라트 사령관을 포함한 탈레반 전투원 19명이 사망했습니다. 아프가니스탄 당국은 드론 공격으로 인한 사상자가 얼마인지 확인하지 않았습니다.[3]

같은 날, 아프가니스탄 정부 대변인인 자비훌라 무자히드는 X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파키스탄 군 초소에 대한 공격으로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전투원 9명이 사망하고 16~18명이 부상당했다고 밝혔습니다.[55] 그는 또한 아프가니스탄 탈레반이 파키스탄 군인 58명을 사망시키고 30명을 부상시키고 파키스탄 군 초소 25개를 점령했다고 주장했습니다.[56][57]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파키스탄 군이나 독립 언론에 의해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파키스탄 국영 언론은 자국 군대가 아프가니스탄 국경 초소 21개를 점령했으며, 초소에 있던 탈레반 전투원들은 사망하거나 탈출했고 일부는 쿠람 지구 에서 항복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56][58] 파키스탄군의 언론 부서인 ISP (Inter-Services Public Relations)는 국경을 넘는 아프가니스탄 진지에 대한 공습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BBC Verify는 파키스탄 공습 이후 Spin Boldak 의 아프가니스탄 보안 시설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59]

발루치스탄의 토르캄 국경 검문소 와 차만 국경 검문소는 파키스탄군에 의해 봉쇄되어 해당 경로를 통한 모든 무역이나 상업이 중단되었습니다.[60]

파키스탄 총리 셰바즈 샤리프는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군 간의 충돌에 대해 "강력한 보복"을 다짐했습니다. 파키스탄 내무장관 모흐신 나크비는 아프가니스탄이 "인도와 같은 합당한 보복"을 받을 것이라고 말하며, 그해 5월 파키스탄과 인도 간의 충돌을 언급했습니다.[61][62] 파키스탄 외무장관 이샤크 다르는 국경 지역에서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군 간의 충돌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습니다.[63] 파키스탄 육군참모총장 아심 무니르는 아프가니스탄 국경을 방문하여 최전선 진지를 시찰했습니다.[64]

아프가니스탄 외무장관 아미르 칸 무타키는 뉴델리 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의 요청에 따라 적대 행위를 일시적으로 중단한다고 발표했습니다.[65][63]

10월 14일

[편집]

10월 14일에서 15일 밤 사이 쿠람(Kurram) 근처에서 교전이 발생했습니다. 파키스탄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과 TTP(테네시주 인민군)군이 "도발 없이 총격을 가했고" 파키스탄군이 대응했습니다.[66]

10월 15일

[편집]

10월 15일 이른 아침,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국경을 따라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군대 사이에 충돌이 일어났고, 양측은 서로를 침략자라고 비난했습니다.[30]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대변인에 따르면, 스핀 볼닥에서 발생한 충돌로 최소 12명의 아프가니스탄 민간인이 사망했고 100명 이상이 부상당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67] 그러나 칸다하르의 현지 소식통은 최소 29명이 사망하고 122명이 부상당해 민간인 사상자가 더 많았다고 보고했습니다.[30] 지역 병원 관계자에 따르면 부상자 중에는 여성과 어린이가 최소 80명 포함되었습니다.[68] 탈레반 대변인은 또한 아프가니스탄 전투원들이 스핀 볼닥의 여러 국경 초소를 점령하고 파괴하여 파키스탄 보안 요원에게 사상자를 냈다고 주장했지만, 구체적인 사망자 수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69] 파키스탄 관리들은 탈레반의 주장을 선전으로 일축하며 거부했습니다.[70][71] 그리고 탈레반 전투원 15~20명을 사살하고 여러 명을 다치게 했다고 밝혔습니다.[72][73][71] 파키스탄 관리들은 또한 충돌 중 파키스탄 보안 요원 6명이 사망하고 민간인 4명이 부상당했다고 보고했습니다.[16][71] 쿠람에서 파키스탄 관리들은 아프가니스탄군에 속한 8개의 진지(탱크 6대 포함)를 파괴했으며 반격으로 아프가니스탄 탈레반과 TTP 전투원 25~30명을 사살했다고 밝혔습니다.[70][71]

같은 날, 파키스탄 관리들은 아프가니스탄 내에서 여러 군사 시설을 표적으로 일련의 정밀 공습을 실시했다고 발표했습니다.관리들에 따르면, 공습은 탈레반과 TTP의 주요 은신처를 공격하여 수십 명의 외국인 및 아프가니스탄 요원을 죽였습니다.파키스탄 관리들에 따르면, 카불에서의 공습은 특히 반파키스탄 무장 세력의 본부와 지도부를 표적으로 삼았습니다.[74] 일부 아프가니스탄 소식통에 따르면, 칸다하르에서 파키스탄의 공습은 제4 및 제8 탈레반 여단과 제5 국경 군단을 공격하여 15~20명의 탈레반 전투원을 죽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4] 파키스탄은 또한 스핀 볼다크에서 탈레반의 군사 장비와 검문소에 대한 공습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라디오 텔레비전 아프가니스탄은 스핀 볼다크에서 드론 공격을 확인했습니다.[75] BBC Verify는 또한 스핀 볼닥에서 파키스탄 군용 차량에 파키스탄 탄약이 타격을 가하는 영상을 확인했습니다.[29] 아프가니스탄 라디오 텔레비전의 기자인 Abdul Ghafoor Abed는 스핀 볼닥에서 교차 사격 중 사망했고 다른 한 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76] 칸다하르에서 지역 주민들은 스핀 볼닥의 아프가니스탄 군사 기지에 대한 공습과 아이노 미나 정착촌의 목표물에 대한 두 건의 추가 공습을 보고했습니다. 아프가니스탄 보안 요원은 아이노 미나로의 접근을 봉쇄하여 누구도 그 지역에 들어갈 수 없도록 했습니다. 아프가니스탄 국영 언론은 칸다하르에서 파키스탄 공습으로 여러 민간인이 사망했다고 보도했습니다.[77]

카불에서는 한 주민이 몇 분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폭발음이 계속되는 네 번의 큰 폭발음을 들었다고 보고했습니다. 여러 주민이 폭발 직전에 전투기가 머리 위로 지나가는 소리를 들었다고 보고했습니다.[78] 주민들은 공습의 표적이 된 건물이 루루 타워와 주거용 건물, 그리고 또 다른 건물이라고 주장합니다. 지역 주민들에 따르면 일부 탈레반 관리들이 타워 아파트에 살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79] 아프가니스탄 관리들은 아프가니스탄에서 공습이 있었다는 새로운 보고를 일축하고 폭발의 원인을 유조선 폭발로 돌렸습니다.[31]

10월 16일

[편집]

현지 보건 당국에 따르면 스핀 볼다크에서 발생한 충돌로 인한 사망자 수가 아프가니스탄 측에서 40명으로 증가했습니다.[80] 최소 171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그중 여러 명은 위독한 상태입니다. 아프가니스탄 언론에 따르면 사망자 중에 탈레반 군인이 있었는지는 아직 불분명합니다. 그러나 아프가니스탄 남부에서 나온 보도에 따르면 여러 탈레반 전투원의 시신이 스핀 볼다크와 인근 지역으로 이송된 것으로 보입니다.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사상자 수를 공개하지 않았습니다.[80]

10월 17일

[편집]

유엔 아프가니스탄 지원단 (UNAMA)은 지난주 국경 간 폭력으로 민간인 37명이 사망하고 425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밝혔습니다. 파크티아, 파크티카, 코스트, 쿠나르, 칸다하르, 헬만드 주에서 사상자가 가장 많았습니다.[15][81]

같은 날, 48시간 휴전이 만료된 후 파키스탄은 파크티카 주에서 공습을 감행했습니다.[32] 탈레반 관계자에 따르면 공습은 세 곳을 표적으로 삼았으며[82] 한 공습은 주택을 타격하여 10명이 사망했습니다. 희생자에는 현지 크리켓 선수, 여성, 어린이가 포함되었습니다.[15] 국제 크리켓 협의회 (ICC)는 아프가니스탄 크리켓 선수 3명의 죽음에 애도를 표하고 폭력을 비난했으며 희생자들을 기리는 의미에서 11월 한 달 동안 진행될 예정이었던 2025 파키스탄 T20I 3국 시리즈 에서 철수한다고 발표한 아프가니스탄 크리켓 위원회 (ACB)와 연대했습니다.[83] 아프가니스탄 대변인은 공습이 민간인을 표적으로 삼았다고 확인했으며 카불은 대응할 권리가 있지만 협상팀에 대한 존중의 표시로 전투원들에게 물러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습니다.[84] 그러나 파키스탄 관리들에 따르면 공습은 하피즈 굴 바하두르 그룹 에 속한 무장 세력의 은신처를 표적으로 삼아 수십 명의 무장 세력을 사살했습니다.[32]

정전

[편집]

10월 19일, 카타르는 사우디 아라비아, 카타르, 터키의 중재로 도하 에서 광범위한 회담을 거쳐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정부가 휴전에 합의했다고 발표했습니다.[33] 이 합의에 따라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파키스탄, 특히 파키스탄 탈레반에 대한 공격을 수행하는 집단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기로 합의했으며, 양측은 "상대방의 보안군, 민간인 또는 중요 인프라를 표적으로 삼지 않기로" 했습니다.[34]

평화 회담

[편집]

10월 29일, 이스탄불에서 열린 1차 평화회담이 실패로 끝난 후, 파키스탄은 집권 탈레반 정부를 '말살'하겠다고 위협했습니다.[85] 파키스탄 정보부 장관 아타울라 타라르는 터키와 카타르 양국의 중재에도 불구하고 대화가 "실현 가능한 해결책을 도출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86] 파키스탄 국방부 장관 카와자 아시프 는 아프가니스탄 협상단이 합의를 번복했다고 주장했습니다.[87] 아프가니스탄 관리 한 명은 파키스탄이 회담에서 "부당한 요구"를 했으며, 국경을 넘는 영공 침범 혐의와 무장 단체가 아프가니스탄에서 공격을 수행하기 위해 파키스탄 영토를 이용했다는 아프가니스탄의 우려를 해소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88]

10월 30일, 평화회담이 재개된 후 휴전이 일주일 더 연장되기로 결정되었습니다.[89] TOLOnews는 회담이 처음에 결렬된 이유 중 하나는 파키스탄이 '제3국'이 자국 영토를 사용하여 아프가니스탄에 드론을 배치하도록 허용했으며 그러한 합의를 파기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파키스탄은 이를 부인했습니다.[90][91]

11월 5일, 이스탄불에서 열리는 3차 회담을 앞두고 카와자 아시프는 회담이 실패할 경우 상황이 격화되고 전쟁이 일어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92] 11월 6일 국경을 따라 짧은 총격전이 있었습니다.스핀 볼닥의 정보문화부장인 알리 모하마드 하크말은 아프가니스탄 민간인 4명이 사망하고 5명이 부상당한 국경 간 총격 사건의 책임을 파키스탄에 돌렸습니다.11월 8일, 평화 회담은 다시 결렬되었지만 휴전은 유효했습니다. 자비훌라 무자히드는 파키스탄이 아프가니스탄의 국내 안보에 대한 책임을 아프가니스탄이 질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다고 요구했기 때문에 협상이 실패했다고 말했습니다.카와자 아시프는 아프가니스탄 영토에서 공격이 시작되지 않는다면 휴전은 계속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93][94] 그러나 아시프는 11월 11일 이슬라마바드 에서 발생한 폭탄 테러 사건 에 대해 "전쟁 상태"를 선언한 후 "카불의 통치자들"과의 협상에 기대를 걸면 실수가 될 것이라고 말하며 아프가니스탄이 공격을 막지 못했다고 비난했고 아프가니스탄은 어떠한 책임도 부인했습니다.[95][96]

영향

[편집]

영어: 파크티카 주 에서 3명의 지역 크리켓 선수가 사망한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아프가니스탄 크리켓 위원회 (ACB)는 파키스탄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던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스리랑카 국가 크리켓 팀 간의 T20I 3국 시리즈에서 철수했습니다.[97] 아프가니스탄의 철수에도 불구하고 파키스탄 크리켓 위원회 (PCB)는 아프가니스탄이 시리즈에 참여할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고만 말하며 짐바브웨가 아프가니스탄을 대신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98] PCB는 또한 시리즈가 예정대로 계속될 것이며 경기는 라호르라왈핀디 에서 열릴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99]

충돌 중 탈레반은 카불의 민영 방송사인 샴샤드 TV를 폐쇄하고, 파키스탄과의 최근 국경 분쟁을 "적절하게" 다루지 못했고 "탈레반의 입장"을 옹호하지 않았다고 비난했습니다.[100][101][102][103] 탈레반 정보총국 의 직접 명령에 따른 이러한 중단은 아프가니스탄의 언론 자유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지역 및 정치 상황에 대한 비교적 독립적인 보도를 제공하는 몇 안 되는 매체 중 하나인 샴샤드 TV 는 탈레반의 주장에 동조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100][101][102][103] 아프가니스탄 언론인 센터(AFJC)와 아프가니스탄 미디어 지원 기구(AMSO)와 같은 미디어 기관들은 이러한 조치를 언론에 대한 노골적인 간섭으로 비난하고 결정을 뒤집을 것을 요구하며 이러한 행위가 언론의 독립성과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샴샤드 TV는 아직 폐쇄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습니다.[100][101][102][103]

그러나 10월 24일, 아프가니스탄 최고 지도자 히바툴라 아쿤드자다는 갈등에 대응하여 쿠나르 강 에 댐을 건설하여 파키스탄에서 물을 빼도록 명령했습니다.[104] 8일간의 군사적 대치 이후 파키스탄은 아프가니스탄 이주민 추방을 급격히 늘려 10월 29일에 거의 5,900명을 추방했고 전날에는 7,300명 이상을 추방했다고 아프가니스탄 탈레반이 운영하는 난민 및 송환 위원회가 밝혔습니다. 인권 단체들은 이러한 대량 추방이 아프가니스탄의 인도적 위기를 악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105]

분석

[편집]

독일에 거주하는 아프가니스탄 전문가 이샤크 아트마르는 라디오 아자디와의 인터뷰에서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외무장관의 인도 방문이 예정대로 진행되던 시기에 발생한 이번 공격은 "우연의 일치일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무타키 씨가 인도 관계자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고 협정에 서명하고 외교 관계를 대사관 수준으로 격상한 후, 파키스탄은 이 시점을 인도, 탈레반 정부, 그리고 지역 정세를 주시하는 다른 국가들에게 명확한 메시지를 보낼 적절한 시기로 여겼다"고 덧붙였습니다.[106]

국제위기그룹(ICG)의 선임 분석가인 이브라힘 바히스는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모두 국경 지역의 긴장 완화를 우선시하며 더 큰 갈등으로 번지는 것을 피하려 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파키스탄의 우월한 화력으로 인해 아프가니스탄 탈레반이 긴장을 고조시킬 가능성은 낮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파키스탄의 제한적인 보복은 주로 국내 여론을 안심시키고 통제력을 과시하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107]

BBC에 따르면 위성 이미지와 검증된 드론 영상은 파키스탄과의 국경 충돌이 진행 중인 아프가니스탄에서 심각한 피해를 드러냈습니다.[29] BBC 분석가들은 10월 11일과 12일 사이에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영상을 검증했는데, 파란색 경사 지붕이 있는 건물 3채가 공격을 받고 이어서 큰 연기 구름이 나타났습니다.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은 이 영상이 국경 도시 스핀 볼다크에 있는 "탈레반 캠프"에 대한 파키스탄 드론 공격을 묘사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BBC 기자들은 표적이 된 건물이 탈레반 국경 보안 단지의 일부라고 확인했습니다. 10월 14일의 추가 위성 이미지는 검증된 영상에서 관찰된 충격과 일치하는 동일한 건물에 광범위한 피해를 보여주었습니다.[29]

전직 아프가니스탄 외교관 아티프 마샬과 전직 아프가니스탄 정부 관리 아지즈 아민은 The Diplomat 에 기고한 글에서 파키스탄의 아프가니스탄 공습(카불 공습 포함)은 파키스탄 군이 내부 불안정이 심화됨에 따라 외부에 군사력을 투사하려는 보다 광범위한 전략을 반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글들은 파키스탄 군이 과거 무장 단체 지원에 기인한 TTP(티파니-파키스탄 전쟁)의 부상과 같은 국내 문제에서 주의를 돌리기 위해 외부 공격을 사용한 역사적 패턴을 강조합니다. 저자들은 공습과 위협을 포함한 파키스탄의 강압적인 전술이 외교적 노력을 약화시키고 아프가니스탄과의 관계를 경색시켰으며, 지역적 고립감을 심화시켰다고 주장합니다.[108]

반응

[편집]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관계자들은 분쟁의 원인으로 서로를 비난했습니다. 치명적인 충돌 이후 유엔을 포함한 여러 국가는 양측에 긴장을 완화하고 외교적 수단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아프가니스탄 인터내셔널 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금까지 파키스탄의 아프가니스탄 공격을 비난한 국가는 없었습니다.[109]

국내의

[편집]

정부

[편집]
  • 틀:나라자료 Afghanistan: The government launched an investigation into the blasts, with spokesman Zabihullah Mujahid saying no damage or casualties have been confirmed.[110][111] The day after the attack, the Afghan Ministry of Defence blamed Pakistan for the Kabul and Paktika blasts, without sharing any details.[48] Afghanistan also accuses Pakistan of "violating Kabul's sovereign territory".[47] The Taliban Interior Minister, Sirajuddin Haqqani stated that Afghanistan would respond forcefully to any aggression, accusing Pakistan of spreading "propaganda and provocations." He said the TTP issue was Pakistan’s internal matter and urged Islamabad to resolve it domestically. Referring to the peace talks, Haqqani stressed that Taliban would not tolerate violations of Afghan territory.[112][113]
  • 틀:나라자료 Pakistan: Ahmed Sharif Chaudhry, spokesperson for the Pakistan Armed Forces, did not confirm or deny whether Pakistan conducted the airstrikes on Kabul. Chaudhry stated that "Afghanistan is being used as a base of operations against Pakistan, and there is proof and evidence of that," adding that "the necessary measures that should be taken to protect the lives and property of the people of Pakistan will be taken and will continue to be taken."[48] Pakistan also blames "Indian proxies" in Afghanistan for terror attacks.[114] Pakistan's President, Asif Ali Zardari had strongly condemned Afghanistan's counterattack saying that "Afghanistan has turned away from the just freedom struggle of the oppressed people of Indian-occupied Jammu and Kashmir", which he claimed was "an injustice to both history and the Muslim Ummah".[115]

비국가 행위자

[편집]
  • Pakistani Taliban: A TTP official confirmed that the airstrike in Kabul killed at least two senior members of the Tehrik-i-Taliban Pakistan (TTP).[5] The TTP official also released an unverified voice recording purportedly from Mehsud, in which he claimed to be alive.[47] Mehsud later made a video showing that he was alive and escaped the strikes on him by the Pakistan Air Force.[48][40] Mehsud responded that he was not in Afghanistan and the Pakistani report was "propaganda". The Pakistani Taliban vowed vengeance for Pakistan's airstrikes across Afghanistan.[116]
  • National Resistance Front of Afghanistan: In an official statement, the NRF said "The National Resistance Front applauds and supports Pakistan's airstrikes in Kabul and Paktia provinces. According to international law and principles، Pakistan has the right to target terrorists in Afghanistan and ensure the security of its people."[117] The NRF itself conducted an attack on 15 October, assassinating Qari Bashir, the deputy head of the Taliban's Propagation of Virtue and the Prevention of Vice in Kunduz.[118]

국제적 반응

[편집]
  • 틀:나라자료 Islamic Republic of Afghanistan Afghan Permanent Mission to the UN: Acting Permanent Representative Naseer Ahmad Faiq, described Pakistan’s airstrikes on Kabul and Kandahar as a serious breach of international law and Afghanistan’s territorial integrity. He said, “These actions are the result of decades of Pakistan’s interference and misguided policies, the consequences of which the people of Afghanistan have endured for years”.[119]
  • 틀:나라자료 China: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expressed its concern at the conflict, and hoped "that both countries will prioritise the bigger picture, exercise calm and restraint, and resolve their concerns." Spokesperson Lin Jian added that China was ready to "play a constructive role" in improving bilateral ties between Afghanistan and Pakistan.[120]
  • 틀:나라자료 India: The Ministry of External Affairs expressed its support for Afghanistan's sovereignty and territorial integrity while strongly criticizing Pakistan's regional actions. Ministry of External Affairs spokesperson Randhir Jaiswal stated that Pakistan continues to host terrorist organizations, sponsor terrorist activities, and blame its neighbors for "internal failures." He added, "Pakistan is infuriated by Afghanistan exercising sovereignty within its own borders. But India is fully committed to the territorial integrity and independence of Afghanistan." Indian officials emphasized that peace in Afghanistan can only be achieved by dismantling terrorism originating from Pakistani soil and eliminating violent extremism.[121][122][123]
  • 틀:나라자료 Iran: Foreign Minister Abbas Araghchi called on Afghanistan and Pakistan "to exercise restraint" amid ongoing clashes. "Our position is that both sides must exercise restraint," Araghchi said during a live interview with state television, adding that "stability" between the countries "contributes to regional stability".[124]
  • 틀:나라자료 Qatar: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urged both sides to prioritise dialogue, diplomacy, and restraint, and to work towards containing differences in a manner that helps to reduce tension and avoid escalation, in order to achieve regional security and stability. The foreign ministry reiterated Qatar's support for all regional and international efforts aimed at strengthening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and affirmed its commitment to ensuring security and prosperity for the people of the two countries.[124]
  • 틀:나라자료 Saudi Arabia: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ssued a statement saying: "The kingdom calls for restraint, avoiding escalation, and embracing dialogue and wisdom to contribute to reducing tensions and maintaining security and stability in the region. The kingdom affirms its support for all regional and international efforts aimed at promoting peace and stability, and its continued commitment to ensuring security, which will achieve stability and prosperity for the brotherly Pakistani and Afghan peoples."[124]

또한 참조하세요

[편집]

참고문헌

[편집]
  1. Shah, Saeed. “Dozens killed in Pakistan-Afghanistan clashes, border closed”. 《Reuters》. 2025년 10월 12일에 확인함. 
  2. Ali, Faisal (2025년 10월 12일). “Taliban, Pakistani forces trade heavy fire along Afghanistan border” (영어). 《Al Jazeera》. 2025년 10월 12일에 확인함. 
  3. “At Least 19 Taliban Fighters Killed in Pakistani Drone Strikes in Southern Afghanistan”. 《KabulNow》. 2025년 10월 13일.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19"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4. Rahmati, Fidel (2025년 10월 15일). “Pakistan Confirms Airstrikes on Kabul and Kandahar”. 《Khaama Press》. 
  5. Khattak, Daud (2025년 10월 10일). “In 'Dangerous' Escalation, Pakistani Drone Strikes Kill Two Senior Taliban Members In Kabul” (영어).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Casualties1"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6. “Pakistan Says 23 Of Its Troops, 200 On Afghan Side Killed In Clashes”. Barron's. 2025년 10월 12일. 2025년 10월 12일에 확인함. 
  7. Pak Army giving befitting response to Afghan aggression Radio Pakistan. Retrieved 2025-10-12.
  8.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Al Jazeera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9. “In the early hours of 15 October 2025, Afghan Taliban resorted to cowardly attack at four locations in Spin Boldak area of Balochistan.”. 《Inter-Services Public Relations》 (Rawalpindi). 2025년 10월 15일. 
  10. 'Taliban tanks, Humvees destroyed in Khyber, 200 fighters killed': What Pakistan is saying about Afghanistan clashes” (영어). 《The Week》. 2025년 10월 12일. 2025년 10월 14일에 확인함. 
  11. Zehra, Zarmeen (2025년 10월 12일). “Pakistan Army's counterstrike decimates Afghan border posts, troops” (영어). 《The News International》. 2025년 10월 14일에 확인함. 
  12. “The nation UAE: Pakistan repels Afghan Taliban's cross-border attack”. 《msn.com》. 2025년 10월 12일. 2025년 10월 14일에 확인함. 
  13. Mehmood, Khalid (2025년 10월 15일). “Pakistan Army destroys Afghan Taliban tanks, posts in retaliatory strikes near Kurram border: security sources” (영어). 《The Express Tribune》. 202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14. “Pakistan Army destroys Taliban tanks, posts after Kurram attack” (미국 영어). 《The Nation》. 2025년 10월 15일. 202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15. Azizi, Ahmad (2025년 10월 18일). “Pakistani airstrike kills 10 in single home in eastern Afghanistan, sources say”. 《Amu TV》.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amutv37"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16. Quillen, Stephen. “Dozens killed, injured in new Pakistan-Afghanistan border clashes” (영어). 《Al Jazeera》. 2025년 10월 15일에 확인함. 
  17. “پاکستانی طیاروں کا کابل، پکتیکا، خوست اور جلال آباد میں فضائی حملہ، متعدد ہلاکتیں” (우르두어). 《DailyUrdu》. 2025년 10월 10일.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Casualties2"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18. “Kabul bombings heighten Pakistan–Afghanistan rift” (영어). 《Tehran Times》. 2025년 10월 10일.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Casualties3"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19. Azizi, Ahmad (2025년 10월 10일). “Taliban defense ministry confirms Pakistani airstrikes on Kabul, Paktika”. 《Amu TV》.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Casualties4"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20. “Taliban victory in Afghanistan is victory of entire Muslims: TTP leader”. Khaama Press. 2021년 7월 27일. 2025년 10월 10일에 확인함. 
  21. “Pak's TTP maintains ties with Taliban as its 6,000 terrorists still in Afghanistan: UN report”. ANI. 2021년 7월 27일. 2025년 10월 10일에 확인함. 
  22. “Pakistan Carries Out Aerial Strikes In Afghanistans Kabul, TTP Chief Noor Wali Mehsud Feared Dead” (영어). 《Zee News》. 2025년 10월 10일에 확인함. 
  23. Azizi, Ahmad (2025년 10월 9일). “Sources: TTP leader killed in Kabul” (미국 영어). 《Amu TV》. 2025년 10월 10일에 확인함. 
  24. “Afghanistan accuses Pakistan of 'violating Kabul's sovereign territory'. 《BBC News》. 2025년 10월 10일. 
  25. Jehangir, Mahnoor (2025년 10월 9일). “Kabul Airstrike Targets TTP Chief Noor Wali Mehsud” (미국 영어). 《Mashriq Vibe》. 2025년 10월 10일에 확인함.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auto2"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26. “From Airstrikes to Ground Clashes: What Is the War Between the Taliban and Pakistan Really About?” (캐나다 영어). 《Hasht-e Subh》. 2025년 10월 13일.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Halt"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27. “Pakistan 'rejects' Afghan ceasefire request, continues targeted strikes” (영어). 《arynews.tv》. 2025년 10월 12일.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Reject"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28. Erfanyar, Ahmad Shah (2025년 10월 12일). “58 Pakistani soldiers killed in Afghan retaliatory operations: Mujahid”.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Continue"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29. Menon, Shruti; Rivault, Erwan (2025년 10월 15일). “Analysing Taliban-Pakistan clash footage and Mexico flood satellite images”. 《BBC News》.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BBC Satellite"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30. “UN's Richard Bennett Urges Civilian Protection as Taliban-Pakistan Border Clashes Continue”. 《KabulNow》. 2025년 10월 15일.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civilian casualties"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31. Rahmati, Fidel (2025년 10월 15일). “Explosions Rock Kabul, Residents Report Twin Blasts Across Afghanistan Capital”. 《Khaama Press》.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khaama11"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32. “Afghanistan and Pakistan have agreed to an immediate ceasefire, Qatar says”. 《The Washington Post》. 2025년 10월 18일.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wapo confirm"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33. “Taliban and Pakistan agree to ceasefire after days of deadly clashes” (영국 영어). 《www.bbc.com》. 2025년 10월 19일. 2025년 10월 19일에 확인함.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bbc19"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34. Harvey, Lex (2025년 10월 19일). “Pakistan and Afghanistan agree to new ceasefire after more than a week of deadly clashes” (영어). 《CNN》. 2025년 10월 19일에 확인함.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cnn19"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35. Hussain, Abid. “Pakistan air strikes in Afghanistan spark Taliban warning of retaliation” (영어). 《Al Jazeera》. 2025년 10월 10일에 확인함.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auto"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36. “Pakistani jets target suspected Pakistani Taliban hideouts in Afghanistan, killing 8 people”. 《Associated Press News》. 2024년 3월 18일.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auto1"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37. “Afghanistan summons Pakistani envoy over alleged cross-border strikes in Nangarhar”. 《Pakistan Today》. 2025년 8월 28일. 
  38. “Kabul claims Pakistani military conducted airstrikes inside Afghanistan, killing many”. 《Anadolu Agency. 2025년 10월 10일에 확인함. 
  39. “Pakistan confirms it conducted airstrikes inside Afghanistan, killing 'terrorists'. 《Anadolu Agency》. 2025년 10월 10일에 확인함. 
  40. “Mysterious explosions heard in Kabul: Did Pakistan carry out airstrike? Here's what we know”. 《The Times of India》. 2025년 10월 10일. ISSN 0971-8257. 2025년 10월 10일에 확인함.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11"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41. Tatheer (2025년 10월 10일). “Two explosions rock Afghanistan's Kabul” (영어). 《Geo News》. 2025년 10월 10일에 확인함. 
  42. “The Taliban are investigating an explosion in Kabul” (영어). 《Las Vegas Sun》. 2025년 10월 9일. 2025년 10월 10일에 확인함. 
  43. “Two massive explosions rock Kabul” (영어). 《Al Bawaba》. 2025년 10월 10일에 확인함. 
  44. “TTP chief Noor Wali Mehsud killed in suspected Airstrikes in Kabul” (미국 영어). 《Pakistan Observer》. 2025년 10월 9일. 2025년 10월 10일에 확인함. 
  45. Azizi, Ahmad (2025년 10월 9일). “Sources: TTP leader killed in Kabul”. 《Amu TV》. 
  46. Azizi, Ahmad (2025년 10월 10일). “Residents report drones, aircraft flying over Kabul after overnight airstrikes”. 《Amu TV》. 
  47. “Afghanistan accuses Pakistan of 'violating Kabul's sovereign territory'. 《BBC News》. 2025년 10월 10일.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7"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48. Hussain, Abid. “Taliban blame Pakistan after explosions in Kabul, amid outreach to India” (영어). 《Al Jazeera》. 2025년 10월 10일에 확인함.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0"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49. Khan, Riaz (2025년 10월 13일). “Pakistan and Afghanistan border closure extends into second day after deadly clashes” (영어). 《The Independent》. 
  50. 'Heavy clashes' at Afghanistan-Pakistan border: Taliban forces” (영어). 《Al Arabiya English》. 2025년 10월 11일. 2025년 10월 11일에 확인함. 
  51. Janjua, Haroon (2025년 10월 11일). “Heavy clashes erupt along Pakistan-Afghanistan border” (영국 영어). 《The Guardian》. ISSN 0261-3077. 2025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10월 12일에 확인함. 
  52. Rasheed, Zaheena. “Taliban, Pakistani forces trade heavy fire along Afghanistan border” (영어). 《Al Jazeera》. 2025년 10월 12일에 확인함. 
  53. “Pakistan rejects Afghan request to halt counteraction” (영어). 《Dunya News》. 2025년 10월 12일. 
  54. “Pakistan Rejects Ceasefire Request from Afghanistan After Border Clashes”. 《Daily Times》. 2025년 10월 12일. 
  55. “Afghan Taliban says Pakistani troops killed in 'retaliatory' border attacks”. 《BBC News》. 2025년 10월 12일. 
  56. Sharma, Yashraj; Hussain, Abid. “Pakistani, Afghan forces exchange deadly border fire: What's next?” (영어). 《Al Jazeera》. 2025년 10월 13일에 확인함. 
  57. “Afghanistan says it has killed 58 Pakistani soldiers in overnight border operations” (영어). 《NBC News》. 2025년 10월 12일. 2025년 10월 13일에 확인함. 
  58. “Afghanistan and Pakistan claim to kill dozens of soldiers in border clash” (미국 영어). 《The Washington Post》. 2025년 10월 12일. ISSN 0190-8286. 2025년 10월 13일에 확인함. 
  59. “Analysing Taliban-Pakistan clash footage and Mexico flood satellite images” (영국 영어). 《BBC News》. 2025년 11월 14일에 확인함. 
  60. Kapoor, Mahima; Janjua, Haroon (2025년 10월 12일). “Pakistan seals Afghan border crossings amid clashes” (영어). 《DW》. 2025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10월 13일에 확인함. 
  61. “Pak Minister Mohsin Naqvi's India remark amid Afghan border clash: 'Befitting reply like...' (영어). 《Hindustan Times》. 2025년 10월 12일. 2025년 10월 12일에 확인함. 
  62. “Pakistan's Sharif vows 'strong response' to Afghan strikes; 58 Pak soldiers reported dead” (영어). 《Hindustan Times》. 2025년 10월 12일. 2025년 10월 12일에 확인함. 
  63. Siddiqui, Usaid. “Afghanistan, Pakistan say forces killed dozens in heavy border fighting” (영어). 《Al Jazeera》. 2025년 10월 12일에 확인함.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6"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64. “Pakistan Army Chief Visits Border After Deadly Clashes With Taliban” (영어). 《Afghanistan International》. 2025년 10월 12일. 2025년 10월 12일에 확인함. 
  65. “Pakistan-Afghanistan Conflict News Live Updates: Border crossings remain closed for 2nd day after deadly clashes” (영어). 《The Times of India》. 2025년 10월 13일. 2025년 10월 13일에 확인함. 
  66. “Army responds to 'unprovoked fire' by Afghan Taliban, TTP at Kurram border: state media”, 《Dawn》, 15 10 2025  위키데이터 Q136503199
  67. Shah, Saeed; Ahmed, Saleem. “Over 12 civilians killed in Pakistani attack, Afghan Taliban say”. 《Reuters》. 
  68. Quillen, Stephen. “Pakistan and Afghanistan announce ceasefire after deadly border clashes” (영어). 《Al Jazeera》. 202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69. Azizi, Ahmad (2025년 10월 15일). “Taliban say 12 civilians killed in new border clash”. 《Amu TV》. 
  70. “ارتش پاکستان: طالبان دروغ شاخدار می‌گوید” (페르시아어). 《Afghanistan International》. 2025년 10월 15일. 
  71. “In the early hours of 15 October 2025, Afghan Taliban resorted to cowardly attack at four locations in Spin Boldak area of Balochistan.” (영어). 《Inter-Services Public Relations》 (Rawalpindi). 2025년 10월 15일. 2025년 10월 15일에 확인함. 
  72. “New border clashes between Afghanistan and Pakistan kill at least 15” (영어). 《France 24》. 2025년 10월 15일. 
  73. “Afghan Taliban and Pakistan agree short truce after deadly clashes” (영국 영어). 《BBC News》. 2025년 10월 15일. 2025년 10월 15일에 확인함. 
  74. Momand, Abdullah (2025년 10월 15일). 'Temporary ceasefire' agreed with Afghanistan, says FO, following 'precision strikes' in Kandahar and Kabul” (영어). 《Dawn》. 
  75. “Pakistan says it has bombed Afghan Taliban and Pakistani Taliban positions” (페르시아어). 《Afghanistan International》. 2025년 10월 15일. 
  76. Azizi, Ahmad (2025년 10월 15일). “Sources: One journalist killed, another wounded in border clashes”. 《Amu TV》. 
  77. “Pakistani airstrikes on targets in Kandahar” (페르시아어). 《Afghanistan International》. 2025년 10월 15일. 
  78. “Pakistan Confirms Airstrikes On Targets In Kabul & Kandahar” (영어). 《Afghanistan International》. 2025년 10월 15일. 
  79. “Reliable security sources: Two airstrikes were carried out in Kabul” (페르시아어). 《Afghanistan International》. 2025년 10월 15일. 
  80. “Death Toll in Spin Boldak Border Clashes Rises to 40 Amid Fragile Ceasefire”. 《KabulNow》. 2025년 10월 16일. 
  81. Ahmed, -Munir; Ahmed, Associated Press Munir; Press, Associated (2025년 10월 16일). “Taliban government blames Pakistan for drone strikes on Afghanistan” (미국 영어). 《PBS News》. 2025년 10월 17일에 확인함. 
  82. “Afghanistan accuses Pakistan of breaking truce as 10 killed in air attacks” (영어). 《Al Jazeera》. 2025년 10월 18일. 
  83. “Afghanistan pulls out of cricket series after it says Pakistan air strike killed local players”. 《BBC News》. 2025년 10월 18일. 
  84. Shahzad, Asif; Yunus Yawar, Mohammad; Ali, Mushtaq (2025년 10월 19일). “Pakistan and Afghanistan agree to immediate ceasefire after peace talks in Doha”. 
  85. Shahzad, Asif; Hassib, Sayed (2025년 10월 29일). “Pakistan threatens to 'obliterate' Taliban after peace talks fail”. 
  86. “Pakistan says peace talks with Afghanistan's Taliban government in Istanbul failed after 4 days” (영어). 《AP News》. 2025년 10월 28일. 2025년 10월 29일에 확인함. 
  87. Dawn.com (2025년 10월 28일). “Afghan negotiators backpedalled on agreement after contacting Kabul: Khawaja Asif” (영어). 《Dawn》. 2025년 10월 29일에 확인함. 
  88. Azizi, Qaseem (2025년 10월 30일). “Pakistan intensifies crackdown on Afghan migrants as talks with Taliban collapse” (미국 영어). 《Amu TV》. 2025년 10월 30일에 확인함. 
  89. Rogers, Abby. “Pakistan and Afghanistan agree to maintain truce for another week: Turkiye” (영어). 《Al Jazeera》. 2025년 10월 31일에 확인함. 
  90. “A foreign country using Pakistan soil to hit Afghanistan with drones?” (영어). 《India Today》. 2025년 10월 28일. 2025년 10월 31일에 확인함. 
  91. “US drones, not India, real reason why Pak-Afghan peace talks hit a wall” (영어). 《India Today》. 2025년 10월 30일. 2025년 10월 31일에 확인함. 
  92. “Khwaja Asif warns of war ahead of Afgahnistan-Pakistan peace talks in Turkiye” (영어). 《Wion》.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93. “Pakistan says Afghanistan talks deadlocked after deadly border clashes”. 《Al Jazeera》. 2025년 11월 7일. 
  94. “Afghanistan-Pakistan peace talks collapse, ceasefire continues, Taliban says”. 《Reuters》. 2025년 11월 8일.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95. “Taliban Have Brought War To Islamabad, Says Pakistan Defence Minister” (영어). 《Afghanistan International》. 2025년 11월 11일. 2025년 11월 13일에 확인함. 
  96. “Pakistan Taliban deny role in Islamabad suicide blast that killed 12 outside district court” (영어). 《Arab News》. 2025년 11월 13일에 확인함. 
  97. “Afghanistan pulls out of cricket series after it says Pakistan air strike killed local players” (영국 영어). 《www.bbc.com》. 2025년 10월 19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98. “Pakistan get Zimbabwe's help after Afghanistan pull out of tri-series following death of cricketers” (영어). 《Hindustan Times》. 2025년 10월 18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99. “Pakistan, Sri Lanka and Zimbabwe Tri-nation T20I Series 2025/26 | Cricket Scorecard | Official Pakistan Cricket (PCB)” (미국 영어). 《www.pcb.com.pk》. 2025년 10월 20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100. “Taliban Close Private TV in Kabul Over Coverage of Recent Border Clashes”. 《KabulNow》. 2025년 10월 18일. 
  101. Rahmati, Fidel (2025년 10월 18일). “Broadcasts of Shamshad TV Suspended in Afghanistan”. 《Khaama Press》. 
  102. “Taliban bans Shamshad TV Broadcasts for not airing anti-Pakistan propaganda”. 《Daily Pakistan English News》. 2025년 10월 19일. 
  103. Abdullah, Rao (2025년 10월 19일). “Afghan Taliban Suspend Broadcasts of Shamshad TV Over Refusal to Air Anti-Pakistan Content”. 《GTV News HD》. 
  104. “After Tensions With Pakistan, Taliban Leader Orders Construction Of Dam On Kunar River”. 《Afghanistan International》. 2025년 10월 24일.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105. Sirat, Siyar (2025년 10월 30일). “Iran, Pakistan expel over 6,000 Afghans in a single day” (미국 영어). 《Amu TV》. 2025년 10월 30일에 확인함. 
  106. “Fierce Fighting, High Number Of Casualties Reported Along Pakistan-Afghanistan Border”.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25년 10월 14일에 확인함. 
  107. Siddiqui, Usaid (2025년 10월 12일). “Updates: Afghanistan's Taliban, Pakistan say border clashes killed dozens” (영어). 《Al Jazeera》. 
  108. Amin, Aziz; Mashal, Atif. “Pakistan's Generals Are Marching Toward Another Disaster” (미국 영어). 《The Diplomat》.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109. “نماینده افغانستان: در صورت ادامه حملات پاکستان، به شورای امنیت شکایت خواهم کرد” (페르시아어). 《Afghanistan International》. 2025년 10월 15일. 
  110. “Explosion heard in Kabul, Taliban says it is investigating”. 《Reuters》. 2025년 10월 9일. 
  111. “The Taliban are investigating an explosion in Kabul” (미국 영어). 《The Washington Post》. 2025년 10월 9일. ISSN 0190-8286. 2025년 10월 10일에 확인함. 
  112. “Haqqani Warns of 'Crushing' Response if Patience Tested Again” (영어). 《TOLOnews》. 2025년 10월 31일에 확인함. 
  113. “Afghans United Against Foreign Aggression Despite Internal Divisions, Says Haqqani” (영어). 《www.afintl.com》. 2025년 10월 30일. 2025년 10월 31일에 확인함. 
  114. “Pakistan blames 'Indian proxies' in Afghanistan for terror attacks as Taliban's Muttaqi meets S Jaishankar” (영어). 《Hindustan Times》. 2025년 10월 11일. 2025년 10월 12일에 확인함. 
  115. “President Zardari, PM Shehbaz strongly denounce Afghan aggression” (영국 영어). 《SUCH TV Pakistan》. 2025년 10월 12일. 2025년 10월 12일에 확인함. 
  116. “نور ولی محسود در واکنش به حملات پاکستان: در خاک افغانستان نیستیم؛ ادعای هدف گیری در کابل «پروپاگند» است” [Noor Wali Mehsud in response to Pakistani attacks: We are not in Afghanistan; claims of targeting in Kabul are 'propaganda'] (페르시아어). 《WeezhaRoz》. 2025년 10월 10일에 확인함. 
  117. NRF_Pashto. (영어) (트윗) https://twitter.com/.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번호=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날짜=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118. “جبهه‌های آزادی و مقاومت از 'کشتن دو مقام طالبان' در قندوز خبر دادند” (페르시아어). 《Afghanistan International》. 2025년 10월 16일.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119. Qalam, Elina (2025년 10월 15일). “Taliban–Pakistan Conflict Sparks Mixed Reactions and Deep Concern Among People of Afghanistan” (캐나다 영어). 《Hasht-e Subh》. 2025년 10월 18일에 확인함. 
  120. “China urges calm as deadly Pakistan-Afghanistan border clashes risk spillover” (영어). 《South China Morning Post》. 2025년 10월 15일. 2025년 10월 18일에 확인함. 
  121. “India says Pakistan blames neighbours for internal failures” (영어). 《The Tribune》. 2025년 10월 17일에 확인함. 
  122. “India affirms support for Afghanistan amid Pakistan-Taliban border clashes | MEA” (영어). 《Hindustan Times》. 2025년 10월 16일. 2025년 10월 17일에 확인함. 
  123. 'Pak sponsors terror, blames neighbours for own failures': India on Af-Pak clashes; fully backs Kabul”. 《The Times of India》. 2025년 10월 16일. ISSN 0971-8257. 2025년 10월 17일에 확인함. 
  124. Khan, Tahir (2025년 10월 12일). “Violent clashes erupt along Pak-Afghan border; friendly countries urge restraint”. 《Dawn》. 2025년 10월 12일에 확인함.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1"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125. Kelliher, Fiona. “Russia calls for restraint amid Pakistan-Afghanistan border clashes” (영어). 《Al Jazeera》. 2025년 10월 13일에 확인함. 
  126. Khan, Tooba (2025년 10월 13일). “Trump Hints at Intervening in Pakistan-Afghanistan Clash” (영어). 《Bloomberg.com》. 2025년 10월 13일에 확인함. 

틀:Afghanistan–Pakistan relations

틀:Tehrik-i-Taliban Pakistan틀:Shehbaz Shar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