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안:용마루
보이기
![]() | 이 문서는 초안 문서입니다. 누구나 과감하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 문서로 게시하기 전에 정책과 지침을 준수하였는지 확인해주세요.
이 초안 문서의 최신 판은 Jeebeen (기여 • 기록)님이 2개월 전에 편집한 것입니다. (새로 고침) |

용마루(龍마루, 문화어: 룡마루)는 건축물의 지붕 중앙에 있는 주된 마루이다.
지붕의 형식이 맞배·팔작·우진각일 경우에 나타나게 되며 모임지붕에서는 형성되지 않는다. 지붕의 바닥기와를 다 깐 다음에 용마루를 쌓는다. 우선, 기왓골에 맞추어 착고가 양쪽으로 놓인다. 착고기와는 수키와의 양단을 기왓골에 맞추어 다듬어서 쓰기도 하고, 처음부터 그 형태에 알맞도록 따로 제작하여 쓰기도 한다. 용마루의 양쪽 끝에 설치되는 장식용 기와는 건물의 규모나 양성바르기의 유무에 따라 달라진다. 용마루의 곡선은 중심부가 낮고 양쪽으로 가면서 높아지는데, 남부지방의 경우 용마루의 양쪽으로 가면서 암마루장기와의 숫자를 늘리는 방법으로 곡률을 조정한다.[1]
각주
[편집]- ↑ 황의수. “용마루 (龍마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5년 2월 1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