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체리모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체리모야
체리모야 잎과 열매
체리모야 잎과 열매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관다발식물
(미분류): 속씨식물
(미분류): 목련군
목: 목련목
과: 뽀뽀나무과
속: 안노나속
종: 체리모야
학명
Annona cherimola
[출처 필요]
체리모야
100 g (3.5 oz)당 영양가
에너지313 kJ (75 kcal)
17.71 g
당분12.87
식이 섬유3 g
0.68 g
1.57 g
비타민함량 %DV
티아민 (B1)
9%
0.101 mg
리보플라빈 (B2)
11%
0.131 mg
나이아신 (B3)
4%
0.644 mg
판토테산 (B5)
7%
0.345 mg
비타민 B6
20%
0.257 mg
엽산 (B9)
6%
23 μg
비타민 C
15%
12.6 mg
비타민 E
2%
0.27 mg
무기질함량 %DV
칼슘
1%
10 mg
철분
2%
0.27 mg
마그네슘
5%
17 mg
망간
4%
0.093 mg
4%
26 mg
칼륨
6%
287 mg
나트륨
0%
7 mg
아연
2%
0.16 mg

미국 국립학술원의 전문가 권고를 바탕으로 추정된 칼륨의 경우를 제외하고,[1] 모든 수치는 미국의 성인 권장량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임.[2]

체리모야(Cherimoya, Annona cherimola)는 뽀뽀나무과 안노나속에 속하는 먹을 수 있는 과일종이다.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볼리비아, 칠레에 자생하는 것으로 간주되며[3] 경작을 통해 안데스산맥, 중앙아메리카로까지 퍼져나갔다.[3][4][5]

특징

[편집]

체리모야의 높이는 5~9m이다.

어린 가지와 잔가지에는 짧고 가늘며 녹색을 띤 털이 뭉쳐있다. 가죽같은 잎은 길이가 5~25cm이고 너비가 3~10cm이다. 대부분 타원형이고 끝은 뾰족하고 잎자루 근처는 둥글다. 어릴때는 부드럽고 가늘며 엉킨 녹색 털로 덮여있다. 다 자라면 잎 뒷면의 맥을 따라서만 털이 난다. 윗부분은 털이 없고 칙칙한 녹색이며 정맥이 옅다. 뒷면은 벨벳같고 칙칙한 회녹색이며 옅은 녹색 정맥이 있다. 새 잎은 아랫부분이 희끄부레하다.

잎은 홑잎이고 어긋나며 짙은 녹색이다. 윗면에 약간의 털이 있다. 길이는 6~10mm로 튼튼하고 털이 많은 잎자루가 있는 가지에 붙어있다.

체리모야 나무는 매우 옅은 녹색의 다육질 꽃을 맺는다. 길이는 3cm이고 매우 강하며 과일같은 냄새가 난다. 각 꽃에는 바깥쪽에 녹색을 띠고 다육질이며 장방형이다. 솜털같은 꽃잎이 3개 있고 안쪽에 작고 분홍색 꽃잎이 3개 있다. 바깥쪽에는 노란색 또는 갈색의 털이 엉켜있고, 안쪽에는 흰색에 보라색 반점이 있다. 꽃은 잎 맞은편 가지에 홀로 또는 2개, 3개씩 모여 꽃자루에 빽빽하게 녹색 털이 덮여있다. 길이는 8~12mm이다. 꽃봉오리의 길이는 15~18mm이고 밑부분의 너비는 5~8mm이다. 꽃가루는 영구 4분체 형태로 배출된다.

사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Health and Medicine Division; Food and Nutrition Board; Committee to Review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Sodium and Potassium (2019). 〈Chapter 4: Potassium: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Adequacy〉. Oria, Maria; Harrison, Meghan; Stallings, Virginia A. (편집).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Sodium and Potassium》. The National Academies Collection: Reports funded by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US). 120–121쪽. doi:10.17226/25353. ISBN 978-0-309-48834-1. PMID 30844154. 2024년 12월 5일에 확인함. 
  2.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24). “Daily Value on the Nutrition and Supplement Facts Labels”. 《FDA》. 2024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3월 28일에 확인함. 
  3. Morton, JF (1987). “Cherimoya, in Fruits of Warm Climates, p 65-9”. Center for New Crops and Plant Products, Purdue University 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4. Popenoe H, King SR, León J, Kalinowski LS, Vietmeyer ND 외 (1989). 〈Cherimoya〉. National Research Council (편집). 《Lost crops of the Incas: Little-known plants of the Andes with promise for worldwide cultivatio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28–239쪽. doi:10.17226/1398. ISBN 978-0-309-07461-2. 
  5. van Zonneveld M, Scheldeman X, Escribano P, Viruel MA, Van Damme P, Garcia W, Tapia C, Romero J, Sigueñas M, Hormaza JI (2012). “Mapping Genetic Diversity of Cherimoya (Annona cherimola Mill.): Application of Spatial Analysis for Conservation and Use of Plant Genetic Resources”. 《PLoS ONE7 (1): e29845. Bibcode:2012PLoSO...729845V. doi:10.1371/journal.pone.0029845. PMC 3253804. PMID 22253801.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