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일드-푸 점수
차일드-푸 점수 | |
---|---|
목적 | 간 질환의 예후 평가 |
의학에서 차일드-푸 점수(Child–Pugh score)는 만성 간질환, 특히 간경변증의 예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점수 체계이다. 원래는 수술 도중 사망률을 예측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표였으나, 현재는 예후를 예측하여 치료의 강도를 결정하고, 간 이식의 필요성이 있는지 평가하는 데에 이용된다.
측정
[편집]차일드-푸 점수의 측정에는 간 질환과 관련된 다섯 가지 임상적 지표가 사용된다. 각 지표에서는 1~3점이 부여되며, 1점이 가장 경증이고 3점이 가장 중증도가 심하다는 뜻이다.[1]
응고와 관련해서는 프로트롬빈 시간과 INR, 둘 중 하나를 사용한다.
배점 | 1점 | 2점 | 3점 | |
---|---|---|---|---|
총 빌리루빈, μmol/L (괄호 안은 mg/dL) | < 34 (< 2) | 34~50 (2~3) | > 50 (> 3) | |
혈청 알부민, g/dL | > 3.5 | 2.8~3.5 | < 2.8 | |
택 1 | 연장된 프로트롬빈 시간, 초 | < 4.0 |
4.0~6.0 |
> 6.0 |
INR | < 1.7 | 1.7~2.3 | > 2.3 | |
복수 | 없음 | 경증 (또는 약물로 억제됨) | 중등도에서 중증 (또는 약물이 잘 듣지 않음) | |
간성 뇌증 | 없음 | 1~2기 | 3~4기 |
원발 경화 쓸개관염 (PSC)과 원발 쓸개관 간경화 (PBC)에 대해서 일각에서는 차일드-푸 점수를 약간 수정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PSC와 PBC에서는 결합 빌리루빈 농도가 높아진다는 점을 반영하여 빌리루빈의 참조치를 수정한다. 1점의 최댓값은 68 μmol/L (4 mg/dL), 2점의 최댓값은 170 μmol/L (10 mg/dL)이다.[2]
해석
[편집]위에서 구한 점수를 이용하여 만성 간질환을 차일드-푸 분류 A부터 C까지로 나눌 수 있다.[1]
점수 | 분류 | 1년 생존률 | 2년 생존률 |
---|---|---|---|
5~6 | A | 100% | 85% |
7~9 | B | 80% | 60% |
10~15 | C | 45% | 35% |
역사
[편집]미시간 대학교의 외과의사이며 문맥고혈압의 전문가였던 찰스 가드너 차일드 (Charles Gardner Child, 1908–1991)는 간 질환과 관련된 교과서에서 1964년 처음으로 점수 체계를 제안하였다.[3] 식도정맥류로 인한 출혈의 수술적 치료에 관한 1972년 보고서에서 푸 (Pugh) 등이 차일드의 점수 체계를 수정하였다.[4] 이들은 차일드의 기준에서 영양 상태 항목을 프로트롬빈 시간 또는 INR을 쓰도록 대체했으며, 각 항목에 1~3점의 점수를 할당했다.[1]
각주
[편집]- ↑ 가 나 다 Cholongitas, E; Papatheodoridis, GV; Vangeli, M; Terreni, N; Patch, D; Burroughs, AK (Dec 2005). “Systematic review: The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should it replace Child–Pugh's classification for assessing prognosis in cirrhosis?”. 《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22 (11–12): 1079–89. doi:10.1111/j.1365-2036.2005.02691.x. PMID 16305721.
- ↑ Working Subgroup (English version) for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Primary Biliary Cirrhosis (2014년 1월 1일).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rimary biliary cirrhosis”. 《Hepatology Research》 (영어) 44: 71–90. doi:10.1111/hepr.12270. ISSN 1872-034X. PMID 24397841. S2CID 42862030.
- ↑ Child CG, Turcotte JG (1964). 〈Surgery and portal hypertension〉. Child CG. 《The liver and portal hypertension》. Philadelphia: Saunders. 50–64쪽.
- ↑ Pugh RN, Murray-Lyon IM, Dawson JL, Pietroni MC, Williams R (1973). “Transection of the oesophagus for bleeding oesophageal varices”.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60 (8): 646–9. doi:10.1002/bjs.1800600817. PMID 4541913. S2CID 382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