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마대로
보이기
일반 국도 경상남도 지방도 | |
---|---|
2 ![]() 1007 ![]() | |
진마대로 | |
국도 제2호선의 일부 지방도 제1007호선의 일부 | |
총연장 | 35.809km |
개통년 | 2004년 12월 23일 |
기점 | 경상남도 진주시 가좌동 |
주요 경유지 |
경상남도 진주시 경상남도 창원시 |
종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
주요 교차도로 |
국도 제2호선 국도 제1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지방도 제1007호선 지방도 제1009호선 지방도 제1029호선 |
진마대로(Jinma-daero Road, 晉馬大路, 국도 제2호선의 일부, 지방도 제1007호선의 일부)는 경상남도 진주시 가좌동 개양오거리와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임곡 교차로를 잇는 경상남도의 도로이다. 본래 전 구간이 국도 제2호선에 속했으나 순환로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가 개통되면서 진주시 시내 구간은 국도 지정에서 해제되었다.
연혁
[편집]- 2003년 1월 17일 : 진주 ~ 진성간 도로(진주시 가좌동 ~ 진성면 상촌리) 13.18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0.1km 구간 폐지[1]
- 2004년 12월 23일 : 진성 ~ 이반성, 이반성 ~ 임곡간 도로(진주시 사봉면 무촌리 ~ 마산시 진전면 임곡리) 구간 19.34km 확장 개통, 기존 20.7km 구간 폐지[2][3]
- 2009년 7월 2일 : 2개 이상 시·군에 걸쳐 있는 도로로 진마대로를 고시[4]
- 2010년 12월 28일 : 진동우회도로(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봉곡리 ~ 임곡리 1.09km 구간과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오서리 ~ 진동면 인곡리 9.18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오서리 ~ 임곡리 1.6km 구간과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근곡리 ~ 진동면 인곡리 6.75km 구간 폐지[5][6]
주요 경유지
[편집]노선
[편집]이름[7]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개양오거리 | 진주대로 동부로 가좌길74번길 |
진주시 | 가호동 | |
방아 교차로 | 가호방아길 | |||
옥산 교차로 | 국도 제2호선 (정촌우회로) |
국도 제2호선 구간 | ||
신촌육교 | 문정로 | 문산읍 | 국도 제2호선 구간 창원 방면 진입만 가능 | |
영천강1교 삼곡1교 |
국도 제2호선 구간 | |||
문산 교차로 (문산육교) |
지방도 제1009호선 (월아산로) | |||
삼곡2교 | ||||
상문리 | 동부로 | 국도 제2호선 구간 창원 방면 진출 불가 진주 방면 진입 불가 | ||
문산천2교 문산천3교 상문교 |
국도 제2호선 구간 | |||
상문 교차로 (상문육교) |
지방도 제1007호선 (문산로) |
국도 제2호선 구간 지방도 제1007호선 구간 | ||
상촌교 택동교 |
진성면 | |||
진성 교차로 | 지방도 제1007호선 (동부로) |
국도 제2호선 구간 지방도 제1007호선 구간 창원 방면 진입 불가 진주 방면 진출 불가 | ||
진성고가교 | 국도 제2호선 구간 | |||
상촌1교 | 국도 제2호선 구간 창원 방면 전용 | |||
진성터널 | 국도 제2호선 구간 창원 방면 연장 570m 진주 방면 연장 510m | |||
천곡1교 천곡2교 |
국도 제2호선 구간 | |||
천곡3교 천곡4교 |
||||
무촌 교차로 | 동부로 | |||
무촌교 | ||||
반성 교차로 | 동부로 | |||
반성철도육교 | 일반성면 | |||
반성2교 | ||||
이반성면 | ||||
수목원 교차로 | 동부로 수목원로 대천길 | |||
이반성 교차로 (이반성육교) |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오봉산로) | |||
이반성농공단지 | 진마대로2498번길 | |||
길성 교차로 | 길성길 진마대로2520번길 | |||
길성교 | ||||
발산재 | ||||
창원시 | 마산합포구 진전면 | |||
봉암 교차로 | 지방도 제1029호선 (팔의사로) | |||
일암1교 일암2교 |
||||
동산 교차로 (세월1교) |
팔의사로 | |||
세월2교 봉곡1교 봉곡2교 |
||||
임곡 교차로 (곡안육교) |
삼진의거대로 | 국도 제2호선 구간 창원 방면 진입 불가 진주 방면 진출 불가 | ||
대산교 | 국도 제2호선 구간 | |||
대산 교차로 | 국도 제2호선 구간 창원 방면 진출만 가능 | |||
임곡 교차로 | 국도 제14호선 (남해안대로) |
국도 제2호선 구간 | ||
남해안대로와 직결 |
각주
[편집]-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2호, 제2003-3호, 2003년 1월 10일.
- ↑ 부산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4-325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04년 12월 21일.
-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326호, 2004년 12월 21일.
- ↑ 경상남도고시 제2009-345호, 2009년 7월 2일.
-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288호, 제2010-289호, 2010년 12월 23일.
-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8호, 2011년 1월 14일.
- ↑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