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무늬민다리도마뱀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 |
강: | 파충류 |
목: | 뱀목 |
하목: | 도마뱀붙이하목 |
상과: | 뱀붙이도마뱀상과 (en:Pygopodoidea) |
과: | 뱀붙이도마뱀과 |
속: | 델마도마뱀속 |
종: | 줄무늬민다리도마뱀 |
학명 | |
Delma impar | |
(Fischer, 1882) | |
줄무늬민다리도마뱀의 분포 지역 | |
![]() | |
보전상태 | |
|
줄무늬민다리도마뱀(Delma impar)은 스트라이프 레그리스 리자드(striped legless lizard)라고도 불리며, 뱀붙이도마뱀과에 속한 오스트레일리아 고유종이다.[1] 멸종위기에 처해있으며 서식지는 얼마 남지 않았다.
이 도마뱀은 길이 30cm까지 자란다.[2] 겉보기에는 뱀과 닮았으며, 맹독을 지닌 와 헷갈리기도 한다. 하지만 이 녀석은 도마뱀붙이, 스킨크에 더 가깝다. 덮개같이 생긴 퇴화한 뒷다리가 남아있으며, 혓바닥은 갈라지지 않았다. 몸통의 대부분은 자절할 수 없는 꼬리로 이루어져있다.
서식지
[편집]줄무늬민다리도마뱀은 이전에는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의 온대 저지대 초지, 뉴사우스웨일스주의 남서부 경사지와 서던 테이블랜즈(:en:Southern Tablelands), 빅토리아주 중부와 남부,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의 남동부 모서리에 분포하고 있었다. 하지만 서식범위는 꾸준히 줄어들어왔고, 알려진 대부분의 장소에는 더 이상 줄무늬민다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서식지 파편화로 인하여 남아있는 개체군은 작고 고립되어있을 것이다.[2]
캔버라의 유일한 서식지는 2015-16년에 개발될 예정이며, 그 곳에 서식하는 몇 안 되는 녀석들을 대부분 죽이게 될 것이다. 불도저가 초지를 밀어버리기 전에 지붕 타일을 배치하여, 열기에 이끌린 줄무늬민다리를 유인할 미끼로 사용하고 있다. 포획된 도마뱀은 선별하여 7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적절한 서식지가 될 수 있는 곳으로 보내질 계획이다.[3]
각주
[편집]- ↑ Clemann, N., Melville, J., Michael, D., Robertson, P., Hutchinson, M. & Gillespie, G. 2017. Delma impar.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7: e.T6315A101742864. https://dx.doi.org/10.2305/IUCN.UK.2017-3.RLTS.T6315A101742864.en. Downloaded on 02 January 2019.
- ↑ 가 나 Department of Environment: "Delma impar — Striped Legless Lizard", accessed 17 Apr 2016
- ↑ Milman, Oliver (2015년 10월 14일). “The party’s over for the striped legless lizard in Australia's capital”. 《The Guardian -》. 2015년 10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14일에 확인함 – (Archived by WebCite® at https://www.webcitation.org/6cH8C5fg1) 경유.
![]() |
이 글은 파충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