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술과학저널리즘상
보이기
정문술과학저널리즘상은 과학저널리즘 발전에 기여한 언론인· 언론사에 수여하는 상이다. KAIST는 정문술 전 KAIST 이사장의 기부금 중 10억 원을 활용해 2011년부터 이 상을 시상해 오고 있다.
역대 수상자
[편집]대상
[편집]수상자 | |||
---|---|---|---|
2011년 | 1회 | 동아일보 특별취재팀(산업부 김상수 차장, 국제부 김창원 도쿄특파원, 동아사이언스 김규태 이현경 서영표 이영혜 원호섭 기자, 전동혁 전 동아사이언스 기자 등 8명) | ‘原電(원전) 강국, 안전나사를 조이자’ 시리즈(3월 28일) |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보도를 대상으로 국내외 과학기술정책과 사회 문화 산업에 끼친 영향 분석과 정확성, 균형성 | |||
2013년 | 3회 | KBS과학재난부(신춘범, 홍사훈, 김민경, 김성한, 이은정) | |
2014년 | 4회 | 한겨레신문사(송호균, 박기용, 최우리, 서영지, 이재욱) | ‘잠수함 충돌? 손가락 골절시신 발견? 세월호 6가지 루머와 팩트 확인’ |
대형사고 후 인터넷 등에서 떠도는 소문들이 과학적 증거가 없다는 것을 증명해 과학정신에 투철하고 기본을 지킨 보도였다는 점을 인정 | |||
2015년 | 5회 | KBS | 과학자가 참여하는 토크쇼 형태의 새로운 진행방식을 도입한 <궁금한 일요일 장영실쇼 |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과학기술 원리를 알기 쉽게 설명해 과학지식 확산과 과학대중화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았다. 특히 저녁 황금시간대에 이 프로그램을 편성해 과학 한국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이끌어낸 공로를 높이 평가받았다 | |||
2016년 | 6회 | 경향신문(김기범) | '가습기 살균제 참사’[1] |
2017년 | 7회 | jTBC | '최순실 태블릿PC에 대한 과학적 분석’ |
부문별 수상자
[편집]신문 | 방송 | 인터넷 | ||
---|---|---|---|---|
2011년 | 1회 | KBS(이은정, 이이슬, 조지현) | ||
2013년 | 3회 | 전자신문(김원석, 윤건일) | YTN SCIENCE(박인식, 설다혜) | ' |
전산망 마비 사건을 계기로 해킹과 사이버 테러의 문제점을 다양한 측면에서 집중 추적했다는 평가[2] | 박상원의 WHY&HOW: IT강국 코리아, 사이버 보안 현주소는?: 사이버 테러에 관한 기획 시리즈를 보도해 사이버 테러의 심각성을 알리고 다양한 시각적 방법으로 대안을 제시[3] | |||
2014년 | 4회[4] | JTBC(손용석) | 오마이뉴스(이병한, 김도균, 고정미, 안홍기, 최용민, 봉주영, 김동환, 박소희, 김지혜) | |
‘증축으로 무게 늘어난 세월호…복원력 문제로 두 차례 검사’를 보도 | ‘[특집] 4월 16일 세월호, 죽은 자의 기록 산 자의 증언’[5] | |||
2015년 | 5회 | 동아일보(유근형, 이샘물, 이진한) | 전주MBC | |
메르스 사태 당시 보건당국과 삼성서울병원의 방역 부실을 연속보도를 통하여 메르스의 발병원인 규명에 있어 삼성서울병원의 초기대응 미흡과 질병관리본부의 조직체계의 문제점을 사실과 분석적 관점에서 보도해 국가질병 대응조직 문제점 개선의 단초를 제공했다는 평가 | ‘육식의 반란 3 - 팝콘 치킨의 고백(유룡)’을 통하여 축산물의 공장식 사육환경과 유통 현실을 적나라하게 살펴보며 친환경 육류 생산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를 위해 동물복지 관점에서 축산정책 방향을 추진해야 한다는 점을 보도 | |||
2016년 | 6회 | KBS(배선정 PD,유수진 작가) | ||
명견만리‘호기심 격차시대,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 ||||
2017년 | 7회 | MBC강원영동 | ||
‘보이지 않는 공포 폐금속 광산(조규한·오훈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