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전하 수송 메커니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하 수송 메커니즘(영어: Charge transport mechanisms)은 주어진 매체를 통한 전류 흐름을 정량적으로 설명하려는 이론적 모델이다.

이론

[편집]

결정 고체와 분자고체는 상당히 다른 수송 메커니즘을 보이는 두 가지 대조적인 극단적인 경우의 물질이다. 원자 고체에서 수송은 분자 내에서 일어나며, 수송이라고도 알려져 있는 반면, 분자 고체에서는 수송이 분자 간에 일어나며, 홉 수송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이 두 가지 다른 메커니즘은 다른 전자 이동도를 초래한다.

무질서 고체에서, 무질서한 전위는 약한 국소화 효과(트랩)를 초래하여 자유 이동 경로를 줄이고, 결과적으로 이동 전하의 이동도를 감소시킨다. 캐리어 생성 및 재결합 또한 이동도를 감소시킨다.

띠 수송과 홉 수송의 비교
매개변수 띠 수송 (탄도 수송) 홉 수송
예시 결정질 반도체 무질서 고체, 다결정 및 비정질 반도체
근본 메커니즘 전체 부피에 걸쳐 비국소화된 분자 파동 함수 터널링(전자) 또는 전위 장벽 극복(이온)을 통한 국소화된 사이트 간 전이
사이트 간 거리 결합 길이 (1 nm 미만) 일반적으로 1 nm 초과
평균 자유 경로 사이트 간 거리보다 큼 사이트 간 거리
이동도 일반적으로 1 cm2/(V⋅s)보다 큼; 전기장에 독립적; 온도 증가에 따라 감소 일반적으로 0.01 cm2/(V⋅s)보다 작음; 전기장에 의존적; 온도 증가에 따라 증가

옴의 법칙에서 시작하여 전도도의 정의를 사용하면, 캐리어 이동도 μ와 인가된 전기장 E의 함수로서 전류에 대한 다음 공통 표현을 유도할 수 있다.

관계는 국소화된 상태의 농도가 전하 캐리어 농도보다 훨씬 높고, 홉핑 이벤트가 서로 독립적이라고 가정할 때 유효하다.

일반적으로 캐리어 이동도 μ는 온도 T, 인가된 전기장 E, 그리고 국소화된 상태의 농도 N에 따라 달라진다. 모델에 따라 온도 증가는 캐리어 이동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가된 전기장은 포획된 전하의 열적 이온화에 기여함으로써 이동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국소화된 상태의 농도 증가는 이동도를 또한 증가시킨다. 동일한 물질에서의 전하 수송은 인가된 전장과 온도에 따라 다른 모델로 설명되어야 할 수도 있다.[1]

국소화된 상태의 농도

[편집]

캐리어 이동도는 국소화된 상태의 농도에 비선형적으로 강하게 의존한다.[2] 낮은 농도의 극한인 최근접 홉핑의 경우, 다음 표현이 실험 결과에 맞춰질 수 있다.[3]

여기서 는 농도이고 는 국소화된 상태의 국소화 길이이다. 이 방정식은 낮은 농도에서 발생하는 비일관성 홉핑 수송의 특징이며, 이때 제한 요소는 사이트 간 거리에 따른 홉핑 확률의 지수적 감소이다.[4]

때로는 이 관계가 이동도 대신 전도도에 대해 표현된다.

여기서 는 무작위로 분포된 사이트의 농도, 는 농도에 독립적, 는 국소화 반경, 그리고 는 수치 계수이다.[4]

높은 농도에서는 최근접 모델과의 편차가 관찰되며, 대신 가변 범위 홉핑이 수송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가변 범위 홉핑은 분자적으로 도핑된 폴리머, 저분자량 유리 및 공액 폴리머와 같은 무질서한 시스템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3] 매우 희석된 시스템의 한계에서 최근접 이웃 의존성 은 유효하지만, 에서만 유효하다.[3]

온도 의존성

[편집]

낮은 캐리어 밀도에서는 온도에 따른 전도도에 대한 모트(Mott) 공식이 홉핑 수송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3] 가변 홉핑에서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는 특성 온도를 나타내는 매개변수이다. 낮은 온도에서 페르미 준위 근처의 상태 밀도가 포물선 형태라고 가정하면 전도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높은 캐리어 밀도에서는 아레니우스 의존성이 관찰된다.[3]

사실 DC 바이어스 하의 무질서한 물질의 전기 전도도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활성화 전도라고도 알려져 있다.

인가된 전기장

[편집]

높은 전기장은 관찰된 이동도를 증가시킨다.

이 관계가 넓은 범위의 전장 강도에 대해 성립함이 입증되었다.[5]

AC 전도도

[편집]

넓은 범위의 무질서한 반도체에서 AC 전도도의 실수부와 허수부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6][7]

여기서 C는 상수이고 s는 일반적으로 1보다 작다.[4]

이온 전도

[편집]

전자 전도와 유사하게 박막 전해질의 전기 저항은 인가된 전기장에 의존하며 샘플의 두께가 감소할 때 전도도는 감소된 두께와 전장 유도 전도도 향상 모두로 인해 향상된다. 주기적 전위 하에서 독립적인 이온을 가진 무작위 보행 모델을 가정한 이온 도체를 통한 전류 밀도 j의 전장 의존성은 다음과 같다.[8]

여기서 α는 사이트 간 분리 거리이다.

수송 메커니즘의 실험적 결정

[편집]

수송 특성의 특성화는 장치를 제작하고 그 전류-전압 특성을 측정해야 한다. 수송 연구를 위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박막 증착 또는 break junction에 의해 제작된다. 측정된 장치에서 지배적인 수송 메커니즘은 미분 전도도 분석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미분 형태로, 수송 메커니즘은 장치를 통한 전류의 전압 및 온도 의존성을 기반으로 구별될 수 있다.[9]

전자 수송 메커니즘[9]
수송 메커니즘 전기장의 영향 함수형태 미분형태
파울러-노르드하임 터널링 (전계 방출)a
열전자 방출b 장벽 높이를 낮춤
아레니우스 방정식c
풀-프렌켈 홉핑 포획된 전하의 열적 이온화를 도움
열 보조 터널링d
^a 는 측정된 전류, 는 인가된 전압, 는 유효 접촉 면적, 플랑크 상수, 는 장벽 높이, 는 인가된 전기장, 은 유효 질량이다.
^b 는 리처드슨 상수, 는 온도, 볼츠만 상수, 은 각각 진공 유전율과 비유전율이다.
^c 활성화 에너지이다.
^d 는 타원 함수이다; , 인가된 전장 및 장벽 높이의 함수이다.

이동도를 두 항의 곱, 즉 전장 독립 항과 전장 의존 항으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는 활성화 에너지이고 β는 모델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풀-프렌켈 홉핑의 경우,

터널링과 열전자 방출은 일반적으로 장벽 높이가 낮을 때 관찰된다. 열 보조 터널링은 터널링에서 열전자 방출까지 다양한 동시 동작을 설명하려는 "하이브리드" 메커니즘이다.[10][11]

같이 보기

[편집]

더 읽어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Bof Bufon, Carlos C.; Vervacke, Céline; Thurmer, Dominic J.; Fronk, Michael; Salvan, Georgeta; Lindner, Susi; Knupfer, Martin; Zahn, Dietrich R. T.; Schmidt, Oliver G. (2014). 《Determination of the Charge Transport Mechanisms in Ultrathin Copper Phthalocyanine Vertical Heterojunctions》. 《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C》 118. 7272–7279쪽. doi:10.1021/jp409617r. ISSN 1932-7447. 
  2. Gill, W. D. (1972). 《Drift mobilities in amorphous charge-transfer complexes of trinitrofluorenone and poly-n-vinylcarbazole》. 《Journal of Applied Physics》 43. 5033–5040쪽. Bibcode:1972JAP....43.5033G. doi:10.1063/1.1661065. ISSN 0021-8979. 
  3. Sergei Baranovski; Oleg Rubel (2006년 8월 14일). 〈Description of Charge Transport in Disordered Organic Materials〉. Sergei Baranovski (편집). 《Charge Transport in Disordered Solids with Applications in Electronics》. Materials for Electronic & Optoelectronic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221–266쪽. ISBN 978-0-470-09505-8. 
  4. Sergei Baranovski; Oleg Rubel (2006년 8월 14일). 〈Description of Charge Transport in Amorphous Semiconductors〉. Sergei Baranovski (편집). 《Charge Transport in Disordered Solids with Applications in Electronics》. Materials for Electronic & Optoelectronic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49–96쪽. ISBN 978-0-470-09505-8. 
  5. Van der Auweraer, Mark; De Schryver, Frans C.; Borsenberger, Paul M.; Bässler, Heinz (1994). 《Disorder in Charge Transport in doped polymers》. 《Advanced Materials》 6. 199–213쪽. Bibcode:1994AdM.....6..199V. doi:10.1002/adma.19940060304. ISSN 0935-9648. 
  6. Jonscher, A. K. (June 1977). 《The 'universal' dielectric response》 (영어). 《Nature》 267. 673–679쪽. Bibcode:1977Natur.267..673J. doi:10.1038/267673a0. ISSN 0028-0836. S2CID 4179723. 
  7. Igor Zvyagin (2006년 8월 14일). 〈AC Hopping Transport in Disordered Materials〉. Sergei Baranovski (편집). 《Charge Transport in Disordered Solids with Applications in Electronics》. Materials for Electronic & Optoelectronic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339–377쪽. ISBN 978-0-470-09505-8. 
  8. Bernhard Roling (2006년 8월 14일). 〈Mechanisms of Ion Transport in Amorphous and Nanostructured Materials〉. Sergei Baranovski (편집). 《Charge Transport in Disordered Solids with Applications in Electronics》. Materials for Electronic & Optoelectronic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379–401쪽. ISBN 978-0-470-09505-8. 
  9. Conklin, David; Nanayakkara, Sanjini; Park, Tae-Hong; Lagadec, Marie F.; Stecher, Joshua T.; Therien, Michael J.; Bonnell, Dawn A. (2012). 《Electronic Transport in Porphyrin Supermolecule-Gold Nanoparticle Assemblies》. 《Nano Letters》 12. 2414–2419쪽. Bibcode:2012NanoL..12.2414C. doi:10.1021/nl300400a. ISSN 1530-6984. PMID 22545580. 
  10. Murphy, E. L.; Good, R. H. (1956). 《Thermionic Emission, Field Emission, and the Transition Region》. 《Physical Review》 102. 1464–1473쪽. Bibcode:1956PhRv..102.1464M. doi:10.1103/PhysRev.102.1464. ISSN 0031-899X. 
  11. Polanco, J. I.; Roberts, G. G. (1972). 《Thermally assisted tunnelling in dielectric films (II)》. 《Physica Status Solidi A》 13. 603–606쪽. Bibcode:1972PSSAR..13..603P. doi:10.1002/pssa.2210130231. ISSN 0031-8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