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법
보이기
언어학 |
---|
![]() |
기초 분야 |
음운론 문자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음성학 기호학 개별언어학 언어습득 언어의 기원 |
언어의 변화와 변이 |
역사언어학 비교언어학 언어지리학 언어계통론 언어연대학 언어유형론 사회언어학 방언학 |
이론 |
생성언어학 인지언어학 이론언어학 |
응용 분야 |
응용언어학 언어인류학 심리언어학 신경언어학 생물언어학 전산언어학 말뭉치언어학 |
관련 항목 |
언어 언어학자 |
전통문법(Traditional grammar)이란 19세기까지 발전한 각 언어의 문법을 가리킨다. 페르디낭 드 소쉬르 이전의 언어학을 구성하고 있었고, 소쉬르에 의해 비판받았다.
전통문법의 경우 크게 두 가지 문제점이 있었는데, 하나는 기초개념들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고(예를 들어, '명사'의 정의가 무엇인가?) 다른 하나는 '왜'보다는 '어떻게'에 초점을 맞춰 연구했다는 것이다. 이 문제점들은 구조주의 언어학이 등장하면서 점차 해결된다.
같이 보기
[편집]![]() |
이 글은 언어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