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 |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2021년 12월 22일) |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Electronic Buddhist Texts and Culture Contents, EBTC) '전자불전', '전자불전연구소'는 1997년에 준비하여 1998년에 동국대학교에 설립된 불교문헌, 문화콘텐츠를 전산화하는 연구소이다.[1] 소재지는 서울시 중구 퇴계로 36길 2 동국대학교 충무로영상센터 본관 313호이다. *대학부설연구소정보(KCI, 한국학술지인용색인)[2] 제명은 동국대학교 전자불전연구소(1997),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재콘텐츠연구소(2006), 동국대학교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2009, 현행) 또는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산하 연구소로,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이다.
현재 한국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ABC)[3]를 통해 제공되는 한국불교전서를 비롯하여 한글대장경 입력작업이 초기에 모두 EBTC에서 이루어졌다. 2021년말부터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제공하던 원효 아카이브[4]의 일부인 원효사찰사전을 자체 구축하여 서비스 중이다. 대각회와 함께 2013년부터 준비하여 2018년부터 '백용성 대종사 총서'란 명칭으로 대한민국의 승려이자 독립운동가였던 백용성의 아카이브를 서비스하고 있다. 2022년부터 경허록·만공법어편찬위원회에서 경허만공아카이브를 구축하고 있다.
사업 및 서비스 EBTC DATA DAM
[편집]EBTC는 서비스 되고 있는 사업결과물들을 전자불전 데이터댐(EBTC DATA DAM)에서 모아 서비스 하고 있다. 현재 구축중이거나 완료, 또는 진행중인 사업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불교사전, 동국역경원 (since 2012)
- 불교미디어사전, Minute Buddhism, 강의형 미디어 불교사전 (youtube) 보관됨 2021-12-10 - 웨이백 머신
- 용성대종사총서, 백용성 아카이브, 불교학술원, 대각회.
- 전자불전 미디어 기사 목록 보관됨 2021-12-10 - 웨이백 머신
- 불교행사 포스터 아카이브
- 원효사찰사전.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 근대불교사진 아카이브, ABC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 高僧 Facebook
한국의 근대불교문화사진아카이브
[편집]EBTC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의 근대불교문화사진아카이브 구축사업(한국연구재단토대사업 지원)에서 1880-1980년간 100년동안의 사진을 아카이브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4년에는 한국의 근대불교문화사진아카이브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한국의 근대불교문화사진아카이브 활동기사 목록
- 2021.04.07 불교신문, 내외전 신구학문 이사(理事) 겸비한 해안스님
- 2021.04.14 법보신문, 진각종, 한국불교자료 아카이브 구축에 동참
- 2021.03.03 이뉴스투데이, ‘옥천사 근현대 역사사진전’ 성보박물관 특별전 개최
- 2021.05.02 법보신문, 동국대 전자불전硏, 예산 법륜사 소장 사진 디지털화
- 2021.04.13 법보신문, 동국대학 전자불전연구소, 대한역사연구소 사진 디지털화
- 2018.09.27 e붓다, 동국대 전자불전연구소-법보신문 MOU 체결
학술지 전자불전
[편집]연구소는 1999년부터 매년 1회 기관학술지 전자불전(電子佛典, Journal of EBTC)를 발행한다. 현재 24집까지 발행되어 있으며, 2021년 불교 학술지로는 처음으로 '종이 안쓰기(paperless)'에 선구 모델[5]로, PDF파일로 제작[6]하고 소량으로 인쇄하여, 수백부씩 발간되어 다시 버려지는 관행을 바꿨다.
발행연도 | 발간호 | 제목 |
---|---|---|
1999 | 1집 | 21세기의 불전 전산화 방향 |
2000 | 2집 | 불전 전산화의 제문제 |
2001 | 3집 | 불전전산화에서의 국제협력 |
2002 | 4집 | 한글대장경의 성립과 전개 |
2003 | 5집 | 불전 번역의 제문제 |
2004 | 6집 | 성보문화재 콘텐츠의 필요성 |
2005 | 7집 | 불교문화 콘텐츠의 개발 방향 |
2006 | 8집 | 불교문화 콘텐츠의 산업적 활용 |
2007 | 9집 | 한국불교전서 전산화 성과 및 향후 과제 |
2008 | 10집 | 한글대장경 체제와 구성의 제문제 |
2009 | 11집 | 원효 문화 콘텐츠의 개발과 활용 |
2010 | 12집 | 디지털 불전과 국제협력 |
2011 | 13집 | 한국 정토신앙의 순례코스 개발 |
2012 | 14집 | 한글대장경 번역의 제문제 |
2013 | 15집 | 근대 불교 문헌 번역의 제문제 |
2014 | 16집 | 근대 고승자료의 수집, 보존, 활용 |
2015 | 17집 | 근대불교의 시대인식과 실천 |
2016 | 18집 | 백용성의 사상과 계승 |
2017 | 19집 | 백용성 사상의 제문제 |
2018 | 20집 | 불교와 구술사 |
2019 | 21집 | 근대불교 공간의 역사성 |
2020 | 22집 | 불교자료, 전산화와 데이터베이스 구축 |
2021 | 23집 | The Era of Data Dam: Various Buddhist Countries, Traditions |
2022 | 24집 | 근대 한국불교의 공간, 인물 I |
2023 | 25집 | 근대 한국불교의 공간, 인물 II |
연혁
[편집]연도 | 기록 | 위치 및 장소, 협업기관 | 종류 |
---|---|---|---|
1997 | 연구소 설립추진 | 동국대학교 불교학, 선학, 컴퓨터공학과 | |
1998 | 한국불교전적 전산화 시범사업 수행 | 프로젝트 | |
1999 | 전자불전한국지부 설치 | 세계전자불전협의회 대만총회 | |
2000 | 국제전자불전학회 총회 참가 | 캘리포니아 대학 주립대학 버클리 | |
2001 | 국제전자불전학회 개최 : "불전전산화에서의 국제협력" | 동국대학교, 서울 | 학술대회 |
2002 | 제4회 전자불전학회 : "한글대장경의 성립과 전개" ; 동국대학교 3차원 디지털 아카이브 사이버박물관 개시[7](현재 기술지원문제로 중단) | 다향관, 동국대학교, 서울 / 동국대학교 박물관 | 학술대회 |
2003 | 제5회 전자불전학회 : "불전 번역의 제문제"[8] | 학술대회 | |
2004 | 제6회 전자불전학회 : "성보 문화재 콘텐츠의 필요성"[9] | 학술대회 | |
2005 | 제8회 전자불전학회 : "불교문화콘텐츠의 산업적 활용"; 앙코르와트의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진행[10] |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 학술대회 |
2007 | 제9회 전자불전학회 : "한국불교전서 전산화 성과 및 향후 과제"[11] | 학술대회 | |
2007 | 앙코르 문명에 관한 최초의 기행문 진랍풍토기 | 백산자료원 | 출간 |
2008 | 제10회 전자불전학회 : "한글대장경 체계와 구성의 문제" | 학술대회 | |
2009 | 2009년 문화원형 창작소재 개발사업: 화해와 소통의 자유인 원효대사 다양한 소재 스토리뱅크 개발사업 (2009.04.01-12.18) |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 프로젝트 |
2010 | Digital Buddhist Texts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디지털 불전과 국제적 협력; 문화체육관광부 지원 "전통문화성지 순례코스 개발연구 - 한국정토신앙 48사찰을 중심으로" | 동국대학교/문화체육관광부 | 프로젝트 |
2011 | 제13회 전자불전학회: "한국 정토신앙의 순례코스 개발"[12] | 프로젝트 | |
2012 | 제14회 전자불전학회: "한글대장경 번역의 제문제" | 충무로 영상센터, 동국대학교 | 학술대회 |
2014 | 전자불전 학술지 16집 발간 | 출간 | |
2015 | 대각회와 MOU체결 | 협약 | |
2017 | 한국연구재단 토대사업, "한국의 근대불교문화사진 아카이브 구축(2017-2023)" 수주 | 한국연구재단,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
2019 | 고성 옥천사 성보박물관 소장 근현대 불교문화사진 디지털화 추진 및 협약 | 고성 옥천사 | 협약 |
2020 | 블럭체인 기반 블로그 형 홈페이지, steemit.com[13] 계정[14]개설, Google G-Suite 기반 연구소 공식 계정 구축 (ebtc@dgu.ac.kr / DATA DAM 아카이브[15] 구축), 원각사 성보박물관[16]과 문화유물 사진 및 도록 DB구축 협정체결 | ||
2021 | 전자불전 학술지 23집 발간 | 출간 | |
2022 | 충남도민을 위한 강좌시리즈 개최 - 인문학으로 보는 한국의 전통문화 | 한국연구재단, 충남문화재단, 동국대학교HK+사업단지역인문학센터, 천안 마이뜨리 도광사 | 강좌 |
2022 | 근대한국불교 컨퍼런스시리즈, "선학원의 어제와 오늘" | 대한불교조계종 덕숭총림 수덕사,
대한불교조계종선학원정상화추진위원회,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국제회의장 |
학술대회 |
2022 | 근대한국불교 컨퍼런스시리즈, "경허, 받을 것도 전할 것도 없는 외로운 시대의 선사" | 근대한국불교 컨퍼런스시리즈, 선학원의 어제와 오늘 | 학술대회 |
2022 | 사진으로 읽는 근현대 한국불교 1,2[17] | 한국연구재단,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국대학교 출판문화원 | 출간 |
2022 | 전자불전 학술지 24집 발간 | 출간 | |
2023 | 학술대회, 사자상승의 다양한 사례와 현대적 의미 | 대한불교조계종선학원정상화추진위원회,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국제회의장 | 학술대회 |
2023 | 혜춘스님 영첩 - 이 수행길에서 이루지 못한다면[18] | 도서출판 고래 | 출간 |
2023 | Workshop on Machine Translation and Algrithmic Study of Classical Buddhist Texts - Digital Buddhist Conon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2 |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학교법인 동국대학교건학위원회 | 학술대회 |
2023 | 신출 경허선사 자료집 상,하[19] | 경허집편찬위원회, 도서출판 고래 | 출간 |
2023 | 전자불전 학술지 25집 발간 | 출간 |
역대 연구소장
[편집]제1대 | 한태식(韓泰植, 普光스님) | 1996-2015 |
제2대 | 황순일(黃淳壹) | 2015-2020 |
제3대 | 정혜린(진명스님) | 2020-2021 |
제4대 | 이동명(李東明, 宙耕스님) | 2021 |
각주
[편집]- ↑ “불교신문. 262호”. 《불교신문》. 1998.01.20. 2021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 “메인 - 불교학술원 아카이브”. 2021년 12월 9일에 확인함.
- ↑ [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Main.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3&cp_code=cp0901 “문화콘텐츠닷컴”]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문화콘텐츠닷컴》.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 ↑ “불교 학술지도 이젠 친환경 … 전자불전硏 새 시도 '눈길'”. 2021년 2월 4일. 2021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EBTC - 전자불전 22집”. 2021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동국대 `사이버 박물관' 열어”. 2002년 1월 31일. 2021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도마 위에 오른 ‘잘못된 경전 번역’”. 2004년 8월 10일. 2021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성보문화재도 디지털콘텐츠로 만들자"”. 2004년 10월 21일. 2021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디지털 앙코르와트' 한국 CT가 해냈다”. 2006년 11월 30일. 2021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한국불교전서’ 인터넷으로 본다”. 2007년 11월 3일. 2021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정토신앙 순례코스 개발 세미나 열린다”. 2011년 11월 2일. 2021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Steemit” (영어). 2021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Steemit”. 2021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EBTC”. 《EBTC DATA DAM》. 2021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원각사성보박물관”. 2021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황순일, 황정일, 강향숙, 황상준, 강형철 (2022년). 《사진으로 읽는 근현대 한국불교 1,2》.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학교법인동국대학교출판문화원. ISBN 9791191670394.
- ↑ 황순일, 강향숙, 강대공 (2023년). 《혜출스님 영첩 - 이 수행길에서 이루지 못한다면》.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도서출판 고래. ISBN 9791186626474.
- ↑ 주경스님, 선암스님, 경완스님, 문광스님, 박인석, 이진영, 구미진, 김자현, 김지연, 법진스님 (2023년). 《신출 경허선사 자료집》. 불교학술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도서출판 고래. ISBN 9791186626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