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의 무형문화재
보이기
전라남도 무형문화재는 지방무형문화재 중에서 전라남도 내에 있는 무형문화재를 의미한다.
지정목록
[편집]번호 | 사진 | 명칭 | 소재지 | 관리자 (단체) |
지정일 | 참조 |
1호 | 거문도뱃노래 (巨文島뱃노래) |
전남 여수시 삼산면 거문도 일원 | 거문도뱃노래보존회 | 1972년 1월 29일 지정 | [1] | |
---|---|---|---|---|---|---|
(珍島들노래) |
1972년 1월 29일 지정, 1973년 11월 5일 해제, 중요무형문화재 제51호로 승격 |
[2] | ||||
(南道판소리興甫歌) |
1972년 1월 29일 지정 | [3] | ||||
(南道판소리沈靑歌) |
1972년 1월 29일 지정 | [4] | ||||
5호 | 남도노동요 (南道勞動謠) |
전남 함평군 엄다면 엄다리 270 | 1977년 10월 20일 지정 | [5] | ||
6호 | 화순한천농악 (和順寒泉農樂) |
전남 화순군 동복면 한천리 일원 | 1979년 8월 3일 지정 | [6] | ||
7호 | 현천소동패놀이 (玄川少童패놀이) |
전남 여수시 소라면 현천리 일원 | 현천소동패놀이보존회 | 1982년 10월 15일 지정 | [7] | |
(幀畵匠) |
1985년 2월 25일 지정 | [8] | ||||
(진다리붓) |
1985년 2월 25일 지정 | [9] | ||||
(靑磁陶工) |
1986년 9월 29일 지정 | [10] | ||||
(光陽粧刀匠) |
1986년 9월 29일 지정 | [11] | ||||
12호 | 광양궁시장 (光陽弓矢匠) |
전남 광양시 광양읍 읍내리 285 | 1986년 9월 29일 지정 | [12] | ||
(羅州삼현육각) |
1986년 11월 13일 지정 | [13] | ||||
14호 | 나주반장 (羅州盤匠) |
전남 나주시 영산동 141 | 1986년 11월 13일 지정 | [14] | ||
15호 | 참빗장 (참빗匠) |
전남 담양군 담양읍 향교리 318 | 1986년 11월 13일 지정 | [15] | ||
(玉工匠) |
1987년 4월 27일 지정 | [16] | ||||
17호 | 우도농악 (右道農樂) |
전남 영광군 | 1987년 8월 25일 지정 | [17] | ||
18호 | 진도북놀이 (珍島북놀이) |
전남 진도군 의신면 침계리 49-1 | 1987년 8월 25일 지정 | [18] | ||
19호 | 진도만가 (珍島輓歌) |
전남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267 | 1987년 8월 25일 지정 | [19] | ||
20호 | 우수영부녀농요 (右水營婦女農謠) |
전남 해남군 | 1987년 8월 25일 지정 | [20] | ||
21호 | 장산도들노래 (長山島들노래) |
전남 신안군 장산면 공수리 847 | 1988년 12월 21일 지정 | [21] | ||
22호 | 가거도멸치잡이노래 (可居島멸치잡이노래)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455 | 1988년 12월 21일 지정 | [22] | ||
23호 | 담양죽렴장 (潭陽竹簾匠) |
전남 담양군 봉산면 기곡리 164-1 | 1990년 2월 24일 지정 | [23] | ||
24호 | 송천달집태우기 (송천달집태우기) |
전남 순천시 월등면 송천리 540 | 1994년 1월 31일 지정 | [24] | ||
25호 | 해남진양주 (海南眞釀酒) |
전남 해남군 계곡면 덕정리 430 | 1994년 1월 31일 지정 | [25] | ||
26호 | 진도홍주 (珍島紅酒) |
전남 진도군 진도읍 쌍정리 38 | 1994년 12월 5일 지정 | [26] | ||
27호 | 고흥월포농악 (高興月浦農樂) |
전남 고흥군 금산면 신평리 562-1 | 1994년 12월 5일 지정 | [27] | ||
28호 | 완도 장좌리 당제와 당굿 (莞島 長佐里 堂祭와 堂굿) |
전남 완도군 완도읍 장좌리 132 | 1995년 12월 26일 지정, 2013년 8월 5일 명칭 변경 |
[28] | ||
29호 | 판소리 (판소리) |
전남 순천시 장천동 226-2 | 1996년 10월 14일 지정 | [29] | ||
29-1호 | 판소리(동편제 흥보가) | 전남 여수시 | 김향순 | 2006년 12월 27일 지정 | [30] | |
29-2호 | 판소리 춘향가(안부덕) | 전남 목포시 | 안부덕 | 2002년 4월 20일 지정 | [31] | |
29-3호 | 판소리고법 (판소리鼓法) |
전남 해남군 해남읍 | 해남군청 | 2002년 4월 20일 지정 | [32] | |
29-4호 | 판소리 수궁가(박방금) | 전남 목포시 | 박방금 | 2008년 12월 26일 지정 | [33] | |
29-5호 | 판소리 흥부가(김순자) | 전남 목포시 | 김순자 | 2009년 3월 20일 지정 | [34] | |
1996년 10월 14일 지정, 2013년 10월 10일 해제, 해제사유 미상 |
[35] | |||||
29-7호 | 판소리 강산제(심청가) | 전남 화순군 | 김향순(金香順) | 2019년 12월 26일 지정 | [36] | |
30호 | 고흥한적들노래 (高興閑笛들노래) |
전남 고흥군 도덕면 용동리 1106 | 1996년 10월 14일 지정 | [37] | ||
31호 | 탱화장 (幀畵匠) |
전남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799 | 해남군 | 1996년 10월 14일 지정 | [38] | |
32호 | 순천구산용수제 (順天九山龍水祭) |
전남 순천시 주암면 구산리 | 1997년 5월 15일 지정 | [39] | ||
(時調唱) |
1999년 8월 5일 지정 | [40] | ||||
34호 | 남도잡가 (南道雜歌) |
전남 진도군 진도읍 의신면 돈지리 583 | 2001년 9월 27일 지정 | [41] | ||
35호 | 곡성죽동농악 (谷城竹洞農樂) |
전남 곡성군 곡성읍 죽동리 224(일원) | 2002년 4월 19일 지정 | [42] | ||
36호 | 청자장 (靑瓷匠) |
전남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117 | 2004년 2월 13일 지정 | [43] | ||
37호 | 옹기장 (甕器匠) |
전남 보성군 | 2004년 9월 20일 지정 | [44] [45] | ||
38호 | 강진 신전들노래 (康津 薪田 들노래) |
전남 강진군 | 2005년 12월 27일 지정 | [46] | ||
39호 | 진도소포걸군농악 (珍島 素浦 乞軍農樂) |
전남 진도군 지산면 소포리 | 2006년 12월 27일 지정 | [47] | ||
40호 | 조도닻배노래 (鳥島닻배노래) |
전남 진도군 조도면 일원 | 2006년 12월 27일 지정 | [48] | ||
41호 | 무안상동들노래 (務安 上洞 들노래) |
전남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상동마을 | 2006년 12월 27일 지정 | [49] | ||
42호 | 전남의례음식장 (全南儀禮飮食匠) |
전남 전남전역 | 2008년 4월 11일 지정 | [50] | ||
42-1호 | 장식음식 (粧飾飮食) |
전남 무안군 | 2008년 4월 11일 지정 | [51] | ||
42-2호 | 전남의례음식장-혼례음식 (全南儀禮飮食匠-婚禮飮食) |
전남 영광군 영광읍 | 최윤자 (崔潤子) |
2018년 4월 26일 지정 | [52] | |
43호 | 순천삼설양굿 (순천삼설양굿) |
전남 순천시 대룡동 577번지 | 2008년 12월 26일 지정 | [53] | ||
44호 | 낙죽장 (烙竹匠) |
전남 담양군 | 2009년 3월 20일 지정 | [54] | ||
45호 | 보성 강하주 (寶城薑荷酒) |
전남 보성군 회천면 율포리 [장목마을] 145 | 2009년 7월 3일 지정 | [55] | ||
46호 | 담양 황금리 들노래 (담양 황금리 들노래) |
전남 담양군 수북면 황금리 307번지 | 2009년 12월 31일 지정 | [56] | ||
47호 | ![]() |
가야금 산조 (가야금 산조(伽倻琴散調)) |
전남 화순군 | 2010년 5월 27일 지정 | [57] | |
48호 | 담양 선자장 (扇子匠) |
전남 담양군 담양읍 | 2010년 5월 27일 지정 | [58] | ||
48-1호 | 접선장 (摺扇匠) |
전남 담양군 담양읍 | 2010년 5월 27일 지정 | [59] | ||
49호 | 악기장 (樂器匠) |
전남 장성군 장성읍 | 강사원 | 2011년 9월 20일 지정 | [60] | |
50호 | 조선장 (造船匠) |
전남 신안군, 목포시, 완도군 | 조일옥, 심정후, 마광남 | 2013년 8월 5일 지정 | [61] | |
51호 | 화순 도장리 밭노래 ((和順 道莊里 밭노래) |
전남 화순군 도암면 도장리 | 도장민속보존회 | 2013년 8월 5일 지정 | [62] | |
52호 | 신안 씻김굿 (新安 씻김굿) |
전남 신안군 장산면 공수리, 비금면 덕산리 | 이귀인, 진금순, 유점자 | 2013년 8월 5일 지정 | [63] | |
53호 | 영암 갈곡리 들소리 (靈巖 葛谷里 들소리) |
전남 영암군 신북면 갈곡리 산5 | 갈곡들소리보존회 | 2013년 8월 5일 지정 | [64] | |
54호 | 화순 우봉리 들소리 (和順 牛峰里 들소리) |
전남 화순군 춘양면 우봉리 29 | 우봉들소리보존회 | 2013년 8월 5일 지정 | [65] | |
55호 | 초고장 (草藁匠) |
전남 곡성군 고달면 백곡리 1구 890(백곡길 21-4) | 2013년 12월 19일 지정 | [66] [67] | ||
56호 | 목조각장 (木彫刻匠) |
전남 담양군 대전면 대치리 1071 | 2013년 12월 19일 지정 | [68] [69] | ||
57호 | 광양 진월 전어잡이 소리 (光陽 津月 錢魚잡이 소리) |
전남 광양시 | 광양진월전어잡이소리보존회 | 2013년 12월 19일 지정 | [70] [71] | |
58호 | 고흥 혼맞이굿 | 전남 고흥군 | 김명례(金明禮)(여) | 2015년 8월 6일 지정 | [72], [73] | |
59호 | 가야금 병창 (伽倻琴倂唱) |
전남 장성군 황룡면 맥호로 196 | 보유자: 김은숙(여, 金銀淑) | 2017년 8월 24일 지정 | [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