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저가잉 단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저가잉 단층
미얀마의 저가잉 단층
좌표21°55'06.8"N 95°59'01.6"E
국가미얀마
양곤, 네피도, 메이틸라, 만달레이, 밋지나
단층 특성
분절남부 지역: 바고, 쀼, 네피도, 밋지나, 저가잉 단층분절
북부 지역: 파마, 반마욱, 인다, 마루, 싸두줍, 꺼마잉, 모강 단층분절
연장1,400 km
변위량18~20 mm/년
지구조
상태활단층
성향변환 단층
이동방향우수향
활동시기약 1500만년~ 2200만년 전


저가잉 단층(버마어: စစ်ကိုင်းပြတ်ရွေ့ကြော)은 미얀마에 있는 주요 단층대로 인도판순다판 사이에 있는 대륙 내 우수향 주향이동단층이다. 저가잉 단층은 남쪽으로는 안다만해발산 경계와, 북쪽으로는 히말라야산맥 전선의 대륙 충돌 경계와 맞닿아 있다. 저가잉 단층은 미얀마 한가운데를 남북으로 관통하며 만달레, 야미틴, 핀마나, 수도 네피도, 타웅우, 베쿠를 지나 마르타반만까지 이어지며 총 길이는 1,400 km 이상이다.[1][2]

발견과 초기 연구

[편집]

지질학자 프리츠 노틀링은 1900년에 출간한 저서 《버마의 마이오세》에서 현재의 저가잉 단층 흔적과 일치하는 활단층 흔적 일부를 지도에 그려 기록했다. 1913년 인도 지질조사국의 토마스 헨리 디지스 라투치는[3] 만달레의 샨고원 서쪽 경계를 따라 판 경계를 보이는 지형이 있음을 발견했는데 여기에는 중앙3차분지에서 저가잉 언덕의 변성암 지층을 구분하는 경계 지층이 있었다. 미얀마의 역사지진을 분석한 하반스 랄 치버(1934년)는 각 진원을 연결하면 가상의 선을 따라 이어지며, 이 선을 따라 동일한 단층이 이어져 있을 것이라 추론했다.[4] 1970년 아웅 킨 및 여러 연구진은 지구물리학적 기법과 타웅우에서 따뻬잇찐에서 부게 이상대 중력이상 조사를 통해 단층 존재를 확인했다. 같은 해 윈 쉐는 이 단층을 "저가잉 단층"이라고 명명했다. 또한 윈 쉐는 제5차 버마연구회의에서 저가잉-따가웅 능선의 단층을 처음으로 발표했다. 그는 미얀마의 남북을 끝에서 끝까지 가로지르는 단층이 주향이동단층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고 이를 미얀마의 여러 역사지진과 연결했다. 1991년 단층 연구에서는 2개의 변환단층을 분석하여 단층 기원을 올리고세 말기에서 마이오세 초기 사이로 가정하여 총 변위는 203 km, 연간 단층 이동 속도는 22 mm로 측정했다.[5]

지질학적 특성

[편집]
티베트고원 인근의 지질학적 환경 모습. 아래쪽 버마소판의 경계에 저가잉 단층이 있다.

저가잉 단층은 안다만해발산 경계에서 시작하여 미얀마 중앙분지를 통과한다. 저가잉 단층은 서쪽 샨 고원에 있는 샨 벼랑 단층과 비교하면 거의 대부분 구간에서 지형 높이 변화가 낮다.[6] 동히말라야 전선 복합체에서부터 안다만해까지 단층 총 길이는 약 1,400 km에 달한다.[7] 단층은 거의 직선으로 끊어지지 않고 곧게 이어지지만, 북쪽 400 km 길이 지역은 폭 약 100 km의 말꼬리처럼 개별 구간으로 분기되어 갈라져 있다.

GPS 데이터에 따르면 인도판-순다판 사이 경계의 미끄러지는 속도는 약 35 mm/yr인데 이 중 저가잉 단층은 18 mm/yr이다.[8] 단층을 따라서 발생한 총 변위는 약 100 km이지만 몇몇 저자는 최대 360 km에서 420 km 사이라고 주장한다.[9][10]

남부 분절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Win, Nilar (August 25–31, 2008). “Sagaing Fault surveyed to prepare for future quakes”. 《The Myanmar Times》. 2012년 6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4일에 확인함. 
  2. Wang, Yu (2011). “Earthquakes and slip rate of the southern Sagaing fault: insights from an offset ancient fort wall, lower Burma (Myanmar)” (PDF).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185 (1): 49–64. Bibcode:2011GeoJI.185...49W. doi:10.1111/j.1365-246X.2010.04918.x. 
  3. Tipper, G. H. (1938년 5월 7일). “Mr. T. H. D. La Touche”. 《Nature》 141 (3575): 819–820. Bibcode:1938Natur.141..819T. doi:10.1038/141819a0. 
  4. Chhibber, H. L. (1934). 《The Geology of Burma》. Macmillan & Company. 
  5. Tun, Soe Thura (2005). 《Sagaing Fault: A desk study report on seismotectonic implications in Myanmar》. Myanmar Earthquake Committee. doi:10.13140/RG.2.1.4048.6249. 
  6.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Tun & Watkinson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7. Chit Thet Mon, Xuan Gong, Yun Wen, Mingming Jiang, Qi-Fu Chen, Miao Zhang, Guangbing Hou, Myo Thant, Kyaing Sein, Yumei He (2020). “Insight into Major Active Faults in Central Myanmar and the Related Geodynamic Source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7 (8). Bibcode:2020GeoRL..4786236M. doi:10.1029/2019GL086236. 
  8. Tsutsumi, H.; Sato, T. (2009). “Tectonic geomorphology of the southernmost Sagaing fault and surface rupture associated with the May 1930 Pegu (Bago) earthquake, Myanmar”.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99 (4): 2155–2168. Bibcode:2009BuSSA..99.2155T. doi:10.1785/0120080113. 
  9. Yu, Wang (2014). “Active tectonics and earthquake potential of the Myanmar region” (PDF).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119 (4): 3767. Bibcode:2014JGRB..119.3767W. doi:10.1002/2013JB010762 – Caltech 경유. 
  10. Yu Wang, Kerry Sieh, Thura Aung, Soe Min, Saw Ngwe Khaing (2011). “Earthquakes and slip rate of the southern Sagaing fault: insights from an offset ancient fort wall, lower Burma (Myanmar)”.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185 (1): 49. Bibcode:2011GeoJI.185...49W. doi:10.1111/j.1365-246X.2010.0491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