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 |
|---|---|
| 국가 | 대한민국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 
| 개관일 | 1935년 4월 6일 | 
| 웹사이트 | 홈페이지 |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은 1935년에 개관한 이화여자대학교의 대학 박물관으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현동에 위치하고 있다.[1] 전시관은 상설전시관, 기획전시관, 기증전시관, 담인복식미술관으로 구성되었다.[2]
개요
[편집]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은 1930년 에드나 밴 플리트(Edna M. Van Fleet) 교수의 제안으로 설립이 추진되어 1935년 4월 6일 이화여자대학교 본관 109호에 개관하였다. 한국전쟁 중에는 부산으로 피난하여 임시캠퍼스 필승각에서 운영되기도 하였다.[3] 1960년 단독 건물을 신축하여 박물관을 운영하였고, 1990년 이화여자대학교 100 주년을 기념하여 현재의 박물관을 신축하였다. 100주년 기념 신축 건물은 1991년 서울특별시건축상 동상을 수상하였다.[4] 1999년 담인복식미술관과 조각공원을 조성하였고, 2005년에는 박물관을 증축하였으며 2006년에는 현대미술전시관을 신설하였다.[1]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은 대학교 정문 바로 왼쪽에 있다.[5]
담인복식미술관
[편집]담인복식미술관은 1999년 5월 31일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장숙환(張淑煥) 교수의 개인 소장품 5,000여 점을 기증받아 개관하였다. 기증품은 장숙환 교수의 어머니 담인(澹人) 장부덕(張富德:1908-1967)의 유품이 기초가 되었고 이후 장 교수에 의해 40년여 동안 수집된 것으로 그 모친의 뜻을 기리고자 '담인복식미술관'이라 명명하게 되었다. 기증품은 조선 시대의 남녀의 장신구가 주를 이루며 이밖에 의복, 수예품, 목공소품, 가구 등이 포함되어있다. 이 유물은 조선 시대 왕실과 사대부 계층에서 사용되었던 것이 대부분으로 그 당시 상류 사회의 세련되고 우아한 미의식이 배어있어 미적으로나 역사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닌다.[6]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다.[7]
주요 소장품
[편집]| 명칭 | 비고 | 
|---|---|
|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 국보 제107호 | 
|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 | 보물 제237호 | 
|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 보물 제351호 |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 | 보물 제352호 | 
| 기사계첩 | 보물 제638호 | 
| 청자 투각고리문 의자 | 보물 제416호 | 
| 고구려 평양성 석편 | 보물 제642호 | 
| 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 | 보물 제644호 | 
| 백자 철화운룡문 항아리 | 보물 제645호 | 
| 유제화형촛대 | 등록문화재 제454호 | 
| 청초중단 | 중요민속문화재 제61호 | 
| 적초의 | 중요민속문화재 제62호 | 
| 왕비 록원삼 | 중요민속문화재 제63호 | 
| 영암 최원립장군 묘 출토복식·유물 | 중요민속문화재 제253호 | 
소장품 사진
[편집]- 
			
			백자철화 포도문 항아리
 - 
			
			청화 순화4년명 항아리
 - 
			
			(전)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7
 - 
			
			기사계첩
 - 
			
			청자 투각돈
 - 
			
			고구려 평양성 석편
 - 
			
			백자청화 송죽인물문 항아리
 - 
			
			백자철화 운룡문 항아리
 - 
			
			유제화형촛대
 - 
			
			녹원삼
 - 
			
			영암 최원립장군 묘 출토 대창의
 
주요 간행물
[편집]- 목木·공工 (2016년) ISBN 978-89-92788-81-6
 - 근대회화 - 대한제국에서 1950년대까지 (2014년) ISBN 978-89-92788-69-4
 - 상차림의 미학 (2012년) ISBN 978-89-97595-00-6
 - 한국미술과의 대화(이화여자대학교 명품 100선) (2007년) ISBN 9788992788106
 - 여성·일·미술(이화여자대학교 창립 120주년 특별기획전) (2006년) ISBN 8972192619
 - 시간을 넘어선 울림(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창립 70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2005년) ISBN 8995702109
 - 미술속의 여성 (2003년) ISBN 89-7300-501-4
 - 도요지 발굴 성과 20년(제32회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특별전) (2001년) ISBN 9788992788106
 - 제3의 전통, 옹기의 원류를 찾아서 (2000년) ISBN 89-7300-418-2
 - 영암의 토기전통과 구림도기 (1999년) ISBN 8973003879
 - 오당 안동숙 (1999년) ISBN 8973003801
 -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名品 (1999년) ISBN 8973003682
 - 探梅...매화를 찾아서(제25회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품 특별전) (1997년) ISBN 897300316X
 - 분청사기(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특별전도록 13) (1984년) ISBN 2005456001159
 - 부안류천리요 고려도자(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특별전도록 12) ISBN 2005456001142
 - 소반(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특별전도록 11) (1982년) ISBN 2005456001562
 
각주
[편집]- ↑ 가 나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소개
 - ↑ “전시관 안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2016년 11월 9일에 확인함.
 - ↑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아우름
 - ↑ 이화여자대학교 캠퍼스맵
 - ↑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27기 도슨트 교육자료집》.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2016. 79쪽.
 - ↑ “박물관”. 《이화여자대학교》. 2016년 11월 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 공식 웹사이트
 -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 구글 아츠 & 컬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