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팔레스타인 관계
이집트 |
팔레스타인 |
|---|---|
이집트-팔레스타인 관계(아랍어: العلاقات الفلسطينية المصرية)은 이집트와 팔레스타인의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 분야를 포괄하는 양자 관계를 의미한다.
상세
[편집]20세기 이전
[편집]지중해를 공유하고 있는 나일강 삼각주와 팔레스타인은 지리적으로 매우 인접하고, 역사적으로도 많은 부분을 공유해왔다. 특히 고대 이집트 시기, 팔레스타인은 레반트 및 가나안 지역으로 불리며, 고대 이집트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제1차 이집트-튀르크 전쟁 이후 이집트는 팔레스타인 지역을 점거하였으나, 높은 세금으로 인해 팔레스타인 농민 반란이 1834년에 발생하였다.[1] 그러다가 제2차 이집트-튀르크 전쟁 이후 이집트는 팔레스타인 지방의 영유권을 상실하고, 오스만 튀르크 제국이 지배하였다.[2][3]
20세기 이후
[편집]밸푸어 선언 이후 팔레스타인 지방 내 이스라엘의 건국과 시온주의의 태동은 이 지역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이집트와 팔레스타인의 긴밀한 관계 또한 여기에서 출발한다. 이집트 왕국의 무함마드 알리 왕조는 팔레스타인 국민주의를 지지하였으며, 무슬림 형제단 또한 페다이를 지원하였다. 결국,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이 발생한 가운데 이집트는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에 참전한다.[4][5] 당시 이집트는 가자 지구를 점령하는데 성공한다. 이집트는 전팔레스타인 보호령를 세우고 전팔레스타인 정부를 설립하고, 팔레스타인과 중요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이집트 혁명 이후
[편집]1952년 이집트 혁명 발생 이후 이집트는 이스라엘에 대항하면서, 팔레스타인을 적극적으로 원조하였다.[6] 수에즈 위기 당시 이스라엘은 가자 지구와 시나이반도를 침공하였으며, 칸유니스 학살이 이스라엘 방위군에 의해 발생하였다.[7] 1964년 이집트 카이로에서 열린 아랍 연맹 회의에서 팔레스타인 해방기구가 발족되었다. 그러나 가말 압델 나세르가 제3차 중동 전쟁 패배 이후 미국-이집트 관계 및 이집트-이스라엘 관계 개선을 도모하자[8],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와 시리아, 요르단은 이를 수정주의라고 비판하였다.[9][10] 나세르는 야세르 아라파트와 레바논 정부 간 카이로 합의를 체결하는데 중개인 역할을 수행하였다.[11] 나세르 이후 집권한 안와르 사다트가 캠프 데이비드 협정 및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을 체결하자, 야세르 아라파트는 이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였다.[12][13][14]
안와르 사다트가 암살당하고 이후 등극한 호스니 무바라크는 아랍 연맹과 관계 개선 및 팔레스타인에 대한 지원을 지속하였다. 특히 팔레스타인 독립선언을 지원하고, 1988년 11월 15일에 팔레스타인의 국제적 승인을 하였다. 무바라크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관계에서 평화 협상을 중개하였으며, 가자-예리코 협정을 이끌어내는데 기여하였다. 이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특히 하마스와 관계 악화에 따른 군사 도발 및 충돌에서 이집트는 이스라엘에 대한 비판과 함께, 가자 지구와 연결된 라파를 통해 인도주의적 지원를 지속하고 있다.[15][16] 이곳은 일종의 완충 지대로서, 이집트-가자 국경이기도 하다.[17][18]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이 2011년 이집트 혁명으로 사임하고, 무함마드 무르시 대통령이 권력을 잡았다. 무르시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중재자 역할을 통해 1주일 휴전을 이끌어내는데 합의한다.[19] 무르시 대통령 이후 등장한 압둘팟타흐 시시 대통령은 기존 중개인 및 중재자 역할을 지속하고 있다. 2023년 말부터 시작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서 발생한 반인도적 범죄, 전쟁범죄에 대해 엘시시 대통령은 비판하였다.[20][21] 엘시시 대통령은 팔레스타인에 대한 국가 인정 없이는 중동의 평화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22] 또한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봉쇄에 따른 가자 지구 기근 사태를 강하게 비판하였다.[23]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Intercommunal Relations in Jerusalem during Egyptian Rule (1834-1841)” (영어).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Egypt and Palestine campaign | National Army Museum” (영어).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Turko-Egyptian Wars | Research Starters | EBSCO Research” (영어).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Milestones in the History of U.S. Foreign Relations - Office of the Historian”.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Background” (영어). 2016년 11월 29일.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Weinstein, James M. (1975). “Egyptian Relations with Palestine in the Middle Kingdom”. 《Bulletin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217): 1–16. doi:10.2307/1356218. ISSN 0003-097X.
- ↑ “HE the GCCSG: Khan Yunis Massacre is War Crime Committed by the Israeli Occupation Forces Against Our Palestinian Brethren” (미국 영어).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Matamis, Joaquin (2025년 4월 18일). “Egypt’s Delicate Balance: Maintaining US Support While Confronting Gaza Challenges • Stimson Center” (미국 영어).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Ross, Michael (1987년 4월 26일). “Arafat Bows to Radicals, Hits Egypt : Cairo Delegates Walk Out of PLO Meeting in Algiers” (미국 영어).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Weizman, in Egypt, Causes Stir With P.L.O. Remark (Published 1979)” (영어). 1979년 4월 26일.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Nawar, Belal (2025년 4월 11일). “Egypt’s Role as a Mediator in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 Egyptian Streets” (미국 영어).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Karawan, Ibrahim A. (1994). “Sadat and the Egyptian–Israeli Peace Revisited”. 《International Journal of Middle East Studies》 26 (2): 249–266. ISSN 0020-7438.
- ↑ “Arafat Stops Short of Backing Egypt's Peace Plan (Published 1989)” (영어). 1989년 9월 22일.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PALESTINIANS FAULT ARAFAT FOR EGYPT MEETING (Published 1983)” (영어). 1983년 12월 23일.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Staff, Al Jazeera. “Egypt’s role in Gaza: More than a mediator” (영어).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Press, Associated (2025년 10월 18일). “Rafah border crossing to stay closed ‘until further notice’, says Israel” (영국 영어). 《The Guardian》. ISSN 0261-3077.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Five things to know about Gaza's Rafah border crossing” (영어). 2025년 10월 20일.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Israel says Rafah crossing will stay closed 'until further notice' as it pushes Hamas for hostages' remains” (미국 영어). 2025년 10월 18일.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Yearender: Egypt continues to act as mediator in resolving crises, conflicts in 2023 despite economic challenges” (영어).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Egyptian official: President Sisi labels Israel an enemy, marking a first since Sadat’s historic Jerusalem visit”. 2025년 9월 16일.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Egypt’s El-Sisi says Israel’s war in Gaza a ‘systematic genocide’” (영어). 2025년 8월 5일.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Egypt's Sisi says no Middle East peace unless Palestinian state is established” (영어).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El-Sisi condemns Israel's ‘systematic war of starvation and genocide’ in Gaza” (영어). 2025년 11월 1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