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신불
보이기

육신불(肉身佛)은 중화권에서 '미라가 된 승려로 만들어진 불상'을 의미하는 등신불을 일컫는 말로, 진신불(眞身佛)이라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일정한 경지에 이른 고승이 입적하면 다비하지 않고, 시신을 소금이나 점토로 덮은 뒤 항아리에 일정 기간 넣어 안치하는 장례법인 '봉항장(封缸葬)' 또는 '좌항(坐缸)'을 치른다.[1] 대체로 3년 후 개봉해 시신을 꺼내는 '개옹식(開甕式)'이 진행되며, 시신이 부패되어 있으면 그대로 다비하게 되고 생전의 모습으로 미라화된 시신은 옻칠을 하고 금을 덧씌워 육신불로 만들어진다.[2]
당나라의 선승인 혜능의 육신불은 현존하는 중국 불교의 육신불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광둥성 사오관시의 난화사(南華寺)에 안치되어 있으며,[3] 1960년대 문화대혁명 당시 육신불이 가짜라고 주장하는 홍위병들에 의해 육신이 일부 훼손되기도 했다.[4] 또한 안후이성 주화산의 러우선 보전(肉身寶殿)에 안치된 신라 출신의 승려인 김교각의 육신불이 유명하며,[5] 이외에 주화산은 바이쑤이궁(百歲宮)의 무하(無瑕)를 비롯해 총 13구의 육신불이 생겨난 곳으로 성지로 여겨진다.
현존하는 육신불 목록
[편집]| 인명 | 사원명 | 소재지 | 몰년 |
|---|---|---|---|
| 慧能 혜능 | 간체자: 南华寺, 정체자: 南華寺 난화사[*] | 광둥성 사오관시 취장구 | 713년 (선천 2년) |
| 石頭希遷 석두희천 | 일본어: 總持寺 소지지[*]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쓰루미구 | 790년 (정원 6년) |
| 金喬覺 김교각 | 간체자: 肉身宝殿, 정체자: 肉身寶殿 러우선 보전[*] | 안후이성 츠저우시 칭양현 | 794년 (정원 10년) |
| 雲門文偃 운문문언 | 간체자: 云门寺, 정체자: 雲門寺 윈먼사[*] | 광둥성 사오관시 루위안 야오족 자치현 | 949년 (건화 7년) |
| 憨山德清 감산덕청 | 간체자: 南华寺, 정체자: 南華寺 난화사[*] | 광둥성 사오관시 취장구 | 1623년 (천계 3년) |
| 無瑕 무하 | 간체자: 百岁宫, 정체자: 百歲宮 바이쑤이궁[*] | 안후이성 츠저우시 칭양현 | 1623년 (천계 3년) |
| 道榮 도영 | 간체자: 道荣园, 정체자: 道榮園 토우윙원[*] | 홍콩 사틴구 사틴 | 1891년 (광서 17년) |
| 중국어: 慈航 츠항[*] | 중국어: 慈航寺 츠항사[*] | 중화민국 타이베이시 베이터우구 | 1954년 |
| 중국어: 月溪 윗카이[*] | 간체자: 万佛寺, 정체자: 萬佛寺 만팟사[*] | 홍콩 사틴구 사틴 | 1965년 |
| 간체자: 清严, 정체자: 淸嚴 칭옌[*] | 중국어: 海藏寺 하이짱사[*] | 중화민국 신베이시 신뎬구 | 1970년 |
| 중국어: 瀛妙 잉먀오[*] | 간체자: 安国寺, 정체자: 安國寺 안궈사[*] | 중화민국 타이베이시 베이터우구 | 1973년 |
| 간체자: 大兴, 정체자: 大興 다싱[*] | 간체자: 双溪寺, 정체자: 雙溪寺 솽시사[*] | 안후이성 츠저우시 칭양현 | 1985년 |
| 중국어: 慈明 츠밍[*] | 간체자: 地藏禅寺, 정체자: 地藏禪寺 디짱 선사[*] | 안후이성 츠저우시 칭양현 | 1991년 |
| 간체자: 海庆, 정체자: 海慶 하이칭[*] | 간체자: 来佛寺, 정체자: 來佛寺 라이포사[*] | 허난성 난양시 서치현 | 1991년 |
| 간체자: 明净, 정체자: 明淨 밍징[*] | 중국어: 旃檀林 잔 단림[*] | 안후이성 츠저우시 칭양현 | 1992년 |
| 간체자: 仁义, 정체자: 仁義 런이[*] | 간체자: 通慧禅林, 정체자: 通慧禪林 통후이 선림[*] | 안후이성 츠저우시 칭양현 | 1995년 |
| 간체자: 隐莲, 정체자: 隱蓮 인롄[*] | 중국어: 雷峰寺 레이펑사[*] | 후난성 뤄디시 솽펑현 | 1997년 |
| 중국어: 普文 푸원[*] | 간체자: 天台寺, 정체자: 天臺寺 톈타이사[*] | 안후이성 츠저우시 칭양현 | 2000년 |
| 중국어: 妙智 먀오즈[*] | 중국어: 佛光寺 포광사[*] | 푸젠성 장저우시 룽원구 | 2003년 |
| 중국어: 永慈 융츠[*] | 중국어: 慈恩寺 츠언사[*] | 저장성 타이저우시 톈타이현 | 2008년 |
| 간체자: 海贤, 정체자: 海賢 하이셴[*] | 간체자: 来佛寺, 정체자: 來佛寺 라이포사[*] | 허난성 난양시 서치현 | 2013년 |
각주
[편집]- ↑ 이지혜 (2011년 9월 6일). “좌탈입망 오명스님, 항아리 봉안의식 봉행”. BTN뉴스. 2024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 권기태 (1995년 4월 12일). “91년 入寂(입적) 중국스님 등신불 공개 화제”. 동아일보. 2024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 김석종 (2007년 3월 15일). “혜능의 가르침 조계종 꽃피우다”. 경향신문. 2024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 김봉규 (2013년 6월 12일). “‘頭骨 봉안’ 진실일까 각색일까”. 영남일보. 2024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 강시일 (2023년 3월 6일). “신라사람들<49>김교각”. 대구일보. 2024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이 글은 불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