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유하 얀후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하 얀후넨
Juha Janhunen
출생1952년 2월 12일
핀란드
성별남성
국적핀란드
경력헬싱키 대학교 동아시아학연구실 교수
직업언어학자

유하 얀후넨(핀란드어: Juha Janhunen, 1952년 2월 12일 ~ )은 핀란드의 언어학자로, 우랄어족, 알타이어족을 포함한 넓은 분야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1994년부터 헬싱키 대학교 동아시아학 연구실의 교수로 있다. 사모예드어함니간 몽골어의 현장 작업을 수행한 바 있다.[1] 최근 요나라 비문에서 발견된 거란소자(영어판)에 관한 저작을 중국의 Wu Yingzhe와 공동 출판했으며, Ekaterina Gruzdeva와 함께 니브흐어 부흥을 위한 작업을 진행했다. 또한 그는 알타이어족 가설의 비판론자이다[2].

일본어의 기원에 대해서, 선일본조어(Pre-Proto Japanese)는 중국어파와 유사한 언어유형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던 산동반도 근처 연안의 동이족의 언어로서, 한반도에 들어와 고구려어 같은 언어와 접촉하여 알타이어적인 유형론적 특징을 획득한 후 규슈를 통해 일본에 들어왔다는 가설을 주장하였다.[3]

주요 연구

[편집]
  • Juha Janhunen(ed.) (2003). The Mongolic languages. London: Routledge.
  • Juha Janhunen(2005). Khamnigan Mongol. Munich: Lincom Europa.
  • Wu Yingzhe and Juha Janhunen(2010). New Materials on the Khitan Small Script: A Critical Edition of Xiao Dilu and Yelü Xiangwen. Folkestone, Kent: Global Oriental.
  • Juha A.Janhunen(2012). Mongolian. Amsterdam/Philadelphia: John Benjamins.

각주

[편집]
  1. Hyytiäinen, Tiina; Jalava, Lotta; Saarikivi, Janne; Sandman, Erika, 편집. (2012). “Bibliography of the Publications of Juha Janhunen” (PDF). 《Suomalais-Ugrilaisen Seuran Toimituksia》 264. ISBN 978-952-5667-34-9. 
  2. Janhunen, Juha (1996). "Prolegomena to a comparative analysis of Mongolic and Tungusic". In Giovanni Stary (ed.), Proceedings of the 38th Permanent International Altaistic Conference, pp. 209–218.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3. 유하 얀후넨 (2003). 〈A Framework for the Study of Japanese Language Origins〉 (PDF). 《일본어계통론의 현재》 (pdf). 京都: 국제일본문화센터. 477–490쪽. 2015년 7월 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1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