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평파
보이기
유평파
| |
---|---|
![]() | |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부 경위대 대부 | |
임기 | 1941년 10월 7일~1945년 11월 23일 |
주석 | 김구 대한 임정 총수반 |
부수상 | 김규식 대한 임정 부수반 |
장관 | 신익희 대한 임정 내무총장 |
차관 | 김성숙 대한 임정 내무차장 권양무 대한 임정 내무차장 |
신상정보 | |
출생일 | 1910년 10월 5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평안남도 강서군 함종면 안석리 |
사망일 | 1947년 5월 9일 | (36세)
사망지 | 중화민국 장쑤성 상하이 |
국적 | 대한민국 |
경력 |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 대원 한국국민당 당무위원 한국독립당 당무위원 임시정부 경위대 대부 |
정당 | 한국독립당 |
본관 | 강릉(江陵) |
형제자매 | 유진동(형)[1] |
배우자 | 송정헌[2] |
자녀 | 장남:유수송(예화원 대표) |
친인척 | 장손자:유승남(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민족대표)[3] 외증손녀: 량 자쉬안(梁嘉璇, 양가선, Cara Leung) |
웹사이트 | 유평파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
군사 경력 | |
![]() | |
복무 | 한국 광복군 |
복무기간 | 1940년 9월 17일 ~ 1941년 10월 1일 |
최종계급 | 광복군 군경관 |
주요 참전 | 2차 대전 |
상훈 |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
유평파(劉平波, 1910년 10월 5일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다.
~1947년 5월 9일 )는이명(異名)은 유병무(劉炳武)이고 호(號)는 백선(白仙)이다.
생애
[편집]주요 이력
[편집]1910년 평안남도 강서(江西)군 출신으로 1936년 중국 상해(上海)에서 활동하던 형 유진동을 권유로 중국에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38년 10월 류저우(柳州)에서 광복군의 전신이라 할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韓國光復陣線靑年工作隊)에 입대하여 정보수집 및 초모(招募) 공작활동을 하다가 김구 주석에게 발탁되어 한국독립당원이 됐다.[4][5][6][7][8] 이후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에 입학하여 과정을 마치고[9] 1941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특수경찰기구로서 경위대를 조직하는데 공헌하였다.[4]
1944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부 경위대 대부로 임명되어 김구 주석의 경호에 전념하는 한편 각종 공작과 요인간의 비밀연락 업무를 맡았다.[4][6]
임시정부 귀국때 고국에 온 선생은 다시 김구 선생의 특별지시를 받고 중국에 재입국한 뒤 1947년 5월 9일 상해에서 38세의 나이로 별세했다.[4]
사후
[편집]대한민국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고자 1990년 3월 1일을 기하여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6]
참고 자료
[편집]- 日帝侵略下韓國36年史(國史編纂委員會) 第13卷 608·613面
- 韓國臨時政府職員 眷屬僑民名冊
-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 第6卷 405面
- 韓國獨立運動史(秋憲樹) 第1輯 312·317面
- 獨立有功者後孫證言
각주
[편집]- ↑ 유평파 선생의 형(兄)인 유진동 前 교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김구의 주치의, 광복군 총사령부 군의처장,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 의원 등을 지냈으며 건국훈장 애국장 수여됨.
- ↑ 유평파 선생의 부인(夫人)인 송정헌 여사는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 대원, 한국독립당 당무위원, 한국혁명여성동맹 창립요원 등을 지냈으며 건국훈장 애족장 수여됨.
- ↑ 유평파 선생의 장손자(長孫子)인 유승남 선생은 (사)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이사 역임, 경교장 복원범민족추진위원회 공동집행위원장,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민족대표.
- ↑ 가 나 다 라 경찰청 (2019.12.18). “대한민국 경찰정신의 표상 참경찰 인물열전”. 《경찰청 역사자료실》.
- ↑ 가 나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가 유주를 떠나면서 중국의 각 단체대표들과 기념촬영(1939년 4월 4일)”. 2020년 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다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록”.
- ↑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한국독립당 당원명단(1944. 3. 15)”.
- ↑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한국독립당 黨員 名簿(174人) -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獨立運動史資料集』 趙素昻篇(四), 1997, 71~73쪽.”.
- ↑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중앙군교 18기 1총대 제8대 전체 관생 임별기념촬영”.[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
[편집]-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록 - 001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정보시스템 - 002 보관됨 2020-02-23 - 웨이백 머신
- 국사편찬위원회 - 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