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타크래프트의 확장팩도 아니고, 배틀넷 채널에서 사용하는 봇 프로그램에 대한 문서입니다. 백과사전에 실릴 프로그램의 문서라면 그 역사, 배경, 미친 영향 등 여러 면이 고려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가령 예를 들어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애드온에 대한 문서라던가, 온라인 게임에서 사용되는 각종 도움 프로그램과 같은 문서는 "백과사전"의 성격상 다루기 어렵지 않을까합니다.--아들해 (토론) 2009년 1월 22일 (목) 00:17 (KST)[답변]
삭제 이게 유지된다면 워크래프트에 있는 네임핵등의 문서들도 추가해야 할듯 싶습니다. --개마리 (토론) 2009년 1월 22일 (목) 02:34 (KST)[답변]
스타크패프트에 병합 독립적으로 존속해야 할 성격의 문서는 아닌 듯 합니다. Bondage Boy 2009년 1월 22일 (목) 07:34 (KST)[답변]
병합 요즘 스타크래프트 관련 문서가 마구 쏟아져 나오는데 만약 그대로 유지하기가 힘들다면 병합하는 편이 나을 거 같습니다. S2 Lovely Boy♡ Happy 2009년 1월 22일 (목) 10:42 (KST)[답변]
의견 스타크래프트 봇은 각 채널마다 하나씩 있을 정도이고 핵과는 달리 눈에 보이는 점유율이 높습니다. 역사, 배경, 미친 영향을 문서에 추가하시기를 원하신다면 넣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스타크래프트 봇은 스타크래프트에서 채널 활동을 하는 사람들이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습니다. 운영이 되는 채널에 간다면 대부분이 봇이 등장해있고, 스타크래프트에서 제공하는 공식 채널에서조차도 봇이 가득합니다. 이러한 것을 네임핵과 동일시하는 것은 서드파티 프로그램이라는 동일한 관점에서 보신 듯 합니다. --Sotiale (토론) 2009년 1월 22일 (목) 13:17 (KST)[답변]
의견 배틀넷의 봇 프로그램을 다룬 문서입니다. 여러분이 생각하시는 네임핵과는 규모부터 천지차이입니다. 디아블로 2 확장팩에서는 배틀넷 인원 3분의 1이 봇이기도 하고 디아블로 유저들 대부분 봇을 모르는사람이 없습니다. 스타크래프트 또한 각종 채널, 심지어 블리자드에서 운영하는 블리자드 기술연락지원에서도 블리자드에서 사용하는 봇이 접속해있습니다. 채널관리봇은 각종 길드,1:1 옵채널 등 없는곳이 없고. 퀴즈봇 또한 길드채널, 옵채널, 유즈맵채널등에 대부분이 있습니다. 한국의 봇카페는 회원수가 5만6천명이 있고 외국 배틀넷 서버(USWest, USEast, Europe) 접속한 대부분이 채팅봇입니다. 제 생각에는 이런 프로그램이 위키백과에 수록되어도 문제되리라고 보진 않습니다.
참고로 저번 블럭사태에 약 30만개의 계정이 블럭되었다니.. 봇 유저가 약 30만명으로 보시면.. 될듯 합니다..^^ --Hex001 (토론) 2009년 1월 22일 (목) 14:29 (KST)[답변]
유지 위 두 분의 말씀을 들어 보니 유지해도 될 듯 생각됩니다. S2 Lovely Boy♡ Happy 2009년 1월 22일 (목) 14:34 (KST)[답변]
제한적 유지 다만 각각의 봇에 대한 문서는 생성 금지를 해야 하지 않을까요? --Knight2000 (토론) 2009년 1월 22일 (목) 19:26 (KST)[답변]
유지 --RedMosQ (토론) 2009년 1월 22일 (목) 19:26 (KST)[답변]
유지 adidas (토론) 2009년 1월 22일 (목) 19:37 (KST)[답변]
병합 스타크래프트의 부수적인 문서로 판단되어 유지보다는 병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봅니다. 디아블로2의 예를 들어셨는데, 저도 한때 유저였지만, 봇은 처음 들어봤습니다. 그저 게임만 즐기는 유저에는 봇의 존재를 모르는 분도 많이 있습니다. --Gwpei (토론) 2009년 1월 25일 (일) 11:02 (KST)[답변]
정보 토론 중에 오인이 생긴 것 같아 알려드립니다. 디아블로2 봇과 스타크래프트 봇은 스타크래프트 배틀넷을 중심으로 두었기 때문에 스타크래프트 배틀넷 '봇(Bot)'의 개념으로서는 동일할지 모르나 이 문서는 스타크래프트 봇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같은 블리자드 게임이고 같은 배틀넷 서버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이 문서는 스타크래프트만 설명하고 있습니다. --Sotiale (토론) 2009년 1월 25일 (일) 22:45 (KST)[답변]
의견 다시금 말씀드리는 것이지만, 먼저 스타크래프트 봇에 관련한 다음의 카페가 있습니다. 그 곳의 회원수는 5만명이 넘고, 운영 및 유지가 되는 채널과 심지어는 블리자드에서 공식적으로 생성한 공식채널까지 봇이 점유하고 있습니다. 스타크래프트에서 채널을 이동하지 않고 순수한 게임만 한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채널이동 없이 게임만 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모른다고 한다면 그것이 '봇(Bot)'임을 모르는 경우입니다.) 윈봇(Winbot)을 사용하여 전적이 높은 아이디들을 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일수도 있으나 스타크래프트 항목에 있는 유즈맵 항목들보다 훨씬 더 잘 알려져 있는 것이 봇이라고 생각합니다. 스타크래프트를 실제로 하시는 분이라면 채널의 '망치', 즉 채널장의 아이디가 디아블로2 클라이언트로 켜진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혹은 노란색으로 표기된 아이디들을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Sotiale (토론) 2009년 1월 25일 (일) 22:45 (KST)[답변]
정보 이 문서를 잘못 작성한 것에 대해서 대단히 죄송합니다. 이 문서는 스타크래프트 봇이라고 보기 어렵고 배틀넷 봇으로 보아야만 합니다. 스타크래프트 봇은 스타크래프트 전적과 관련된 윈봇(Winbot) 뿐이고, 전부 배틀넷의 모든 클라이언트를 지원하기 때문에 배틀넷 봇으로 보는것이 마땅합니다. 이 문서의 이름조차 잘못되었습니다. 이 문서를 배틀넷 봇으로 이동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Sotiale (토론) 2009년 1월 25일 (일) 23:02 (KST)[답변]
배틀넷 봇으로 이동 후 유지 이동이 완료되었네요. 적절한 이동이라고 생각합니다. --Enigma7 (토론하기) 2009년 2월 3일 (화) 15:27 (KST)[답변]
유지 이미 이동이 완료되었는데, 더 이상 토론을 진행해야 할 이유가 있을까요. ∫∫∫ (토론) 2009년 5월 30일 (토) 17:51 (KST)[답변]
배틀넷 봇으로 병합되었기 때문에 토론을 닫습니다. 다른 의견이 있으시다면 새 토론을 열어 주세요. --Puzzlet Chung (토론) 2009년 6월 2일 (화) 17:37 (KST)[답변]
※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