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제로 사용되지 않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hyolee2♪/H.L.LEE 2007년 11월 9일 (금) 11:34 (KST)[답변]
- 효리님. 한국어명나?? 무슨 말씀이신지요? 이해 불능이네요. 다시 한 번 설명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리듬 2007년 11월 9일 (금) 12:06 (KST)[답변]
- 한국어에서 뭐라고 부르는가는 뜻입니다.----hyolee2♪/H.L.LEE 2007년 11월 9일 (금) 13:19 (KST)[답변]
- 그럼 '그러면 한국어로 된 이름이 있을 것입니다'라고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토론:굴절차를 봐서는, 애초에 이의를 제기하신 분이 '그런 용어는 쓰이지 않는다'라고 말씀하신 것으로 생각됩니다만.. 관련 지식이 있는 분이 적절한 용어를 알려주시면 좋겠네요.(그러고보니 정안영민님이 관련 전공을 하셨지요? ^.^) -- tiens 2007년 11월 9일 (금) 13:23 (KST)[답변]
- 효리님. 그런 뜻이었군요. OTL 한컴국어사전을 살펴보니 "대기차(大氣差)"라는 용어로 설명되어 있군요. 구글링해보니 "대기차"라는 단어는 보여도, "굴절차"라는 단어는 찾기 힘드네요.(대부분이 소방 사다리차가 검색되는군요) -- 리듬 2007년 11월 9일 (금) 13:33 (KST)[답변]
- 국어사전에 ‘대기차’라는 말이 있었군요. 사실 저는 둘 다 처음 듣는 말이라, ‘대기 굴절’이라는 말로 바꾸고 싶습니다만, 국어사전에 있는 말이라면 대기차 쪽으로 해도 괜찮겠습니다. :) --정안영민 2007년 11월 9일 (금) 13:46 (KST)[답변]
- 애초에 제가 제기했었던 내용은 '굴절차' 항목에서 틀린 내용이 있고, 또 용어 자체가 한번도 들어본 바가 없는 용어라서 삭제를 제안했었습니다. 그런데, 정안영민님의 일본어 위키피디어 페이지로부터 추적해보니 영어의 Atmospheric Refraction에 해당하는 내용이군요. -_- Atmospheric Refraction에 대한 공식적인 천문 용어는 없는 것으로 압니다만, 보통 '대기 굴절 효과' 내지는 '대기 효과' 정도로 쓰이고 있습니다. '대기차'라는 용어는 저 역시 처음 들어보지만 일단 국어 사전에 그렇게 나와있다니 그렇게 용어를 바꾸고 내용을 고친다면, 제가 처음 생각했던 삭제까지는 할 필요는 없다고 보이는군요. --Wkpark 2007년 11월 9일 (금) 14:08 (KST)[답변]
- 참고로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명」『천』 천체(天體)에서 오는 빛이 지구 대기층을 지나며 굴절하는 현상 때문에 생기는 천체의 겉보기 방향과 실제 방향과의 차이.라고 '대기차'(大氣差)를 설명하고 있군요. 이 부분과 상치한다면, 제목을 '대기차'로 바꾸고, 이 용어를 써서 관련 내용을 설명하는 근거를 조금이라도 보강하는 식으로 매듭지으면 어떨까요? -- tiens 2007년 11월 9일 (금) 14:15 (KST)[답변]
※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