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림엔터테인먼트
보이기
	
	
| 형태 | 주식회사 | 
|---|---|
| 창립 | 2003년 10월 1일 | 
| 창립자 | 이중엽 | 
| 시장 정보 | 비상장 | 
| 산업 분야 | 매니저업 | 
| 서비스 | 매니저업 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 
| 본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23길 14 | 
사업 지역  | 대한민국 | 
핵심 인물  | 이중엽, 이지영 | 
| 매출액 | 78억2,891만원 (2017)[1] | 
영업이익  | 10,921,278,685원 (2023) | 
| -4,003,729,762원 (2023) | |
| 자산총액 | 7,458,398,820원 (2023) | 
| 주요 주주 | (주)울림홀딩스 (55%) 이중엽 (20%) 기타 (25%) (2023.4.3. 감사보고서)  | 
종업원 수  | 40명 (2020) | 
| 모기업 | (주)울림홀딩스 | 
| 자회사 | (주)블루웨일엔터테인먼트(*1)	100%	 (주)울림엔터테인먼트재팬(*1)	100%	  | 
| 자본금 | 2,650,490천원 (2023) | 
| 웹사이트 | http://www.woolliment.com/ | 
울림 엔터테인먼트(Woollim Entertainment)는 2003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23길 14에 있다.
2013년 8월, SM 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인 에스엠컬처앤콘텐츠(S.M. Culture & Contents, S.M. C&C)의 독립 레이블로 합병되었으나, 2016년 3월, 에스엠컬처앤콘텐츠에서 물적으로 분할되었다.[2]
인피니트, 러블리즈, 골든차일드, 권은비, 로켓펀치, 드리핀 등 다수의 가수들을 배출하였다.
현재 소속 연예인
[편집]| 직업 | 소속 연예인 | 구성원 | 리더 | 데뷔 | 이전 구성원 | 
|---|---|---|---|---|---|
| 가수 | |||||
| 이장준 | - | - | 2017년 | ||
| 홍주찬 | - | - | |||
| 권은비 | - | - | 2018년 | ||
| 수윤 | - | - | 2019년 | ||
| 드리핀 | 황윤성, 이협, 주창욱, 김동윤, 김민서, 차준호 | 황윤성 | 2020년 | 알렉스 | 
소속 프로듀서
[편집]| 소속 프로듀서 | 직업 | 데뷔 | 비고 | 
|---|---|---|---|
| BLSSD | 작곡가, 프로듀서 | 2011년 | 前 Rphabet 소속 | 
| Razer | |||
| 제이 윤 | 작곡가, 프로듀서, 가수 | 2000년 | 엠씨 더 맥스 소속 | 
과거 소속 연예인
[편집]| 소속 연예인 | 직업 | 데뷔 | 이적 소속사 | 
| 곽정욱 | 배우 | 1996년 | 투비 엔터테인먼트 | 
| 김민석 | 2012년 | 리스펙트엔터테인먼트 | |
| 이영유 | 2003년 | - | |
| 김동률 | 가수 | 1993년 | 뮤직팜 | 
| 넬 | 1999년 | 스페이스 보헤미안 | |
| 페니 | 2001년 | 트라이먼트 팩토리 | |
| 강균성 | 2002년 | YNB 엔터테인먼트 | |
| 지선 | 2003년 | - | |
| 에픽하이 | YG 엔터테인먼트 | ||
| 진보 | 2005년 | 슈퍼프릭레코드 | |
| 장우수 | - | ||
| 스트로베리 필즈 | 2008년 | - | |
| JOO | - | ||
| 이호원 | 2010년 | 글로리어스 엔터테인먼트 | |
| 테이스티 | 2012년 | - | |
| 오현민 | 2014년 | - | |
| 인피니트 | 2010년 | 인피니트컴퍼니 | |
| 박재석 | 2017년 | - | |
| 김채원 | 2018년 | 쏘스뮤직 | |
| 러블리즈 | 2014년 | - | |
| 알렉스 | 2020년 | - | |
| 쥬리 | 2019년 | - | |
| TAG | 2017년 | - | |
| 김지범 | 2017년 | - | |
| 최보민 | 2017년 | - | |
| 이대열 | 2017년 | - | |
| Y | 2017년 | - | |
| 배승민 | 2017년 | - | |
| 봉재현 | 2017년 | - | |
| 김동현 | 2017년 | - | |
| 연희 | 2019년 | - | |
| 윤경 | 2019년 | - | |
| 소희 | 2019년 | - | |
| 다현 | 2019년 | - | 
연도별 배출 아티스트
[편집]| 연도 | 아티스트 | 형태 | 구성원 | 데뷔연도 | 풍선색 | 팬클럽 | 리더 | 
|---|---|---|---|---|---|---|---|
| 2003 | 에픽하이 | 그룹 | 타블로, DJ 투컷, 미쓰라 | 2003 | 검정 | High Skool | 타블로 | 
| 김동률 | 솔로 | 본인 | 1993 | 없음 | 없음 | 없음 | |
| 곽정욱 | 1996 | ||||||
| 페니 | 2001 | ||||||
| 2005 | 진보 | 2005 | |||||
| 장우수 | |||||||
| 2006 | 지선 | 2003 | |||||
| 넬 | 그룹 | 김종완, 이재경, 이정훈, 정재원 | 1999 | 김종완 | |||
| 2007 | 강균성 | 솔로 | 본인 | 2002 | 노랑, 주황 | 노을빛 | 없음 | 
| 2008 | 스트로베리 필즈 | 사이퍼 | 2008 | 없음 | 없음 | ||
| 2010 | 인피니트 | 그룹 | 김성규, 장동우, 남우현, 호야, 이성열, 엘, 이성종 | 2010 | 펄 메탈 골드 | Inspirit | 김성규 | 
| 2011 | Rphabet | 듀오 | BEE, Razer | 2011 | 없음 | 없음 | BEE | 
| 2012 | 테이스티 | 대룡, 소룡 | 2012 | Twings | 대룡 | ||
| 김민석 | 솔로 | 본인 | 없음 | 없음 | |||
| 2014 | 러블리즈 | 그룹 | 이수정, 유지애, 서지수, 이미주, Kei, JIN, 류수정, 정예인 | 2014 | 푸치샤 | Lovelinus | 이수정 | 
| 2015 | JOO | 솔로 | 본인 | 2008 | 없음 | Pygmalion | 없음 | 
| 2016 | 이영유 | 2003 | 없음 | ||||
| 제이 윤 | 2000 | 아이보리 색 | 월아 | ||||
| 2017 | 오현민 | 2014 | 없음 | 없음 | |||
| 골든차일드 | 그룹 | 이대열, Y, 이장준, TAG, 배승민, 봉재현, 김지범, 김동현, 홍주찬, 최보민 | 2017 | 미정 | Goldenness | 이대열 | |
| 2018 | 권은비 | 프로젝트 그룹 | - | 2014 | 없음 | Rubi | 없음 | 
| 김채원 | 2018 | 없음 | |||||
| 2019 | 로켓펀치 | 그룹 | 연희, 쥬리, 수윤, 윤경, 소희, 다현 | 2019 | 미정 | Ketchy | 연희 | 
| 2020 | 드리핀 | 황윤성, 이협, 주창욱, 김동윤, 김민서, 차준호, 알렉스 | 2020 | 미정 | DREAMIN' | 황윤성 | 
디스코그래피
[편집]각주
[편집]- ↑ “보관된 사본”. 2016년 4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6일에 확인함.
 - ↑ 남우정 기자 (2016년 3월 22일). “‘인피니트 소속’ 울림엔터, SM C&C에서 분리”. MBN. 2016년 3월 2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