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믈렛
간단한 오믈렛과 가니시  | |
| 종류 | 식사 | 
|---|---|
| 코스 | 아침밥, 브런치 | 
| 원산지 | |
| 서빙 온도 | 따듯함 | 
| 주요 재료 | 달걀, 버터 또는 식용유 | 
| 변형 | 다양함 | 
| [단위 변환: %s]%s | |
| 100 g (3.5 oz)당 영양가 | |
|---|---|
| 에너지 | 657 kJ (157 kcal) | 
0.7 g  | |
12 g  | |
10.6 g  | |
| 비타민 | 함량 %DV† | 
| 비타민 A (동등) | 22%  172 μg | 
| 티아민 (B1) | 9%  0.1 mg | 
| 리보플라빈 (B2) | 33%  0.4 mg | 
| 나이아신 (B3) | 1%  0.1 mg | 
| 판토테산 (B5) | 24%  1.2 mg | 
| 비타민 B6 | 8%  0.1 mg | 
| 엽산 (B9) | 10%  39 μg | 
| 비타민 B12 | 46%  1.1 μg | 
| 콜린 | 43%  212 mg | 
| 비타민 D | 5%  29 IU | 
| 비타민 E | 8%  1.2 mg | 
| 비타민 K | 4%  4.5 μg | 
| 무기질 | 함량 %DV† | 
| 칼슘 | 5%  47 mg | 
| 철분 | 12%  1.5 mg | 
| 마그네슘 | 3%  10 mg | 
| 인 | 23%  162 mg | 
| 칼륨 | 2%  114 mg | 
| 셀레늄 | 38%  26.7 μg | 
| 나트륨 | 11%  161 mg | 
| 아연 | 9%  0.9 mg | 
| 기타 성분 | 함량 | 
| 수분 | 75.9 g | 
| 콜레스테롤 | 356 mg | 
| †미국 국립학술원의 전문가 권고를 바탕으로 추정된 칼륨의 경우를 제외하고,[1] 모든 수치는 미국의 성인 권장량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임.[2] | |
오믈렛은 프랑스의 대표적인 요리의 한 가지이다. 달걀을 부친 음식으로, 달걀만 부친 것, 다른 재료에 달걀을 섞어 볶은 것, 다른 재료를 볶은 것을 푼 달걀로 싸듯이 부친 음식이다.
역사
[편집]오믈렛이란 단어는 16세기 프랑스어에도 사용되었으며, 이 단어는 14세기의 alemette에서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칼날'을 뜻하는 alemele에서 왔으며, '얇고 작은 접시'를 뜻하는 라틴어 lamella의 변형이다.[3]
조리
[편집]가장 기본적인 조리법은 달걀 3개를 풀어서 크림을 섞거나 소금, 후추로 간을 하고, 버터를 프라이팬에 녹여서 풀어 놓은 달걀을 붓는다. 어느 정도 굳었을 때 젓가락 등으로 저으면서 골고루 익혀낸다.
오믈렛은 전체적으로 표면이 약간의 갈색을 띄면서 속이 전체적으로 부드럽게 된 것을 최상으로 친다. 부드럽게 익히기 위해서는 좋은 프라이팬을 사용하고, 기름을 잘 두르고, 적절한 불 조절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리 과정 하나하나를 신중하고 정밀하게 해야하기 때문에 양식요리를 배울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종목 중 하나이다.
곁들이는 재료도 여러가지이다. 부쳐낸 달걀 하나만으로 오믈렛을 만들기도 하지만, 여러 재료를 오믈렛에 싸서 만들수도 있다. 오믈렛에 싸서 넣는 방법도 여러가지이며, 프라이팬 위에 달걀을 풀어서 바로 재료를 넣어 같이 부쳐낸 후 말아내는 방법과, 완성된 오믈렛에 칼집을 넣어 그 안에 재료를 넣는 방법, 오믈렛 위에 재료를 넣고 반으로 접는 방법 등이 있다. 소스의 경우도 오믈렛 위에 뿌려내거나 오믈렛 안에 집어넣기도 한다.
- 
			
			반으로 접힌 오믈렛
 
각주
[편집]- ↑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Health and Medicine Division; Food and Nutrition Board; Committee to Review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Sodium and Potassium (2019). 〈Chapter 4: Potassium: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Adequacy〉. Oria, Maria; Harrison, Meghan; Stallings, Virginia A. (편집).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Sodium and Potassium》. The National Academies Collection: Reports funded by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US). 120–121쪽. doi:10.17226/25353. ISBN 978-0-309-48834-1. PMID 30844154. 2024년 12월 5일에 확인함.
 - ↑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24). “Daily Value on the Nutrition and Supplement Facts Labels”. 《FDA》. 2024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3월 28일에 확인함.
 - ↑ http://www.etymonline.com/index.php?search=omelet&searchmode=none
 
같이 보기
[편집]| 이 글은 유럽 요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