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여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여진족에서 넘어옴)
여진족
15세기에 그려진 사냥하는 여진족
15세기에 그려진 사냥하는 여진족
언어
여진어
종교
샤머니즘, 불교, 조상 및 하늘숭배
민족계통
퉁구스족
기원·발상 말갈
후예 만주족

여진(여진어: , 만주어: ᠵᡠᡧᡝᠨ Jušen, 문화어: 녀진, 중국어 정체자: 女眞, 간체자: 女真, 병음: nǚzhēn)은 중국의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과 한반도의 함경도, 러시아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 아무르주에서 거주했던 퉁구스계 민족이다.

여진족의 분파

[편집]

명나라 여진족을 세 분파로 구분하였는데, 훨운국(呼倫, 忽溫, 만주어: Hūlun Gurun)을 해서여진, 건주위지휘사와 건주좌위지휘사 그리고 건주우위지휘사가 관할하는 세력을 건주여진(만주어: Giyanju Jušen), 여진족들이 장백산부와 동해여진이라 일컫던 모련위 등을 야인여진(野人女眞, 만주어: Udige Niyalma Jušen)으로 구분했다.

이들은 농업과 유목을 병행했다. 명나라는 여진족들을 달래기 위해 반독립적인 지위를 주었으며 여진족들은 한족들이 적은 지역에서 살고 있어 한족들과의 접촉이 적어 반목이 일어나지 않았다. 하지만 이후 1586년 건주 여진의 우두머리였던 누르하치가 여진의 세 부족을 통합하고 연합된 부족을 만주족으로 개명한다. 누르하치는 법령을 통합하여 강력한 제도를 만드는데, 이후 중국과 한족들을 정복하여 한족들이 사는 곳에 많은 여진인들을 두었다. 여진인들이 반독립적으로 살고 있던 만주를 비우고 중국으로 이동하였고 이후 한족들이 가난을 피해 여진족이 사라진 만주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문화와 사회

[편집]

여진족은 발해의 농업기술, 도기 제조업 및 기타 여러 수공업 기술을 차용하였고, 이와 같은 영향은 동일한 형태의 도구나 무장도구들을 통해 확인된다고 한다. 그들은 샤먼 의식을 행하였으며 샤먼의 신통력에 널리 이용되었던 태양신을 상징하는 하늘 신을 믿었다.[1]

초기 여진 문자는 1120년 완안아골타(完顔阿骨打, 만주어: Wanggiya Agūda)의 명에 따라 완안희윤(完顔希尹)에 의하여 발명되었다. 여진 문자는 금나라가 멸망하자 급속히 사라졌고, 여진어만 잔존하게 된다. 이후 16세기 말까지 여진족은 몽골어를 이용해서 문자생활을 하다가 만주어가 문어로 정리되기 시작하면서는 만주어를 이용한 문자생활을 하게 된다.

여진 사회와 언어 그리고 문화 한민족의 고구려에 많은 영향을 받았었다. 여진족(만주족)은 정치적 지도자에게 "한"(汗, 만주어: Han)[2]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왕이든 부족장이든 가리지 않고 사용되었다. 금나라는 각종 관직에 버기러(勃極烈, Begile)라는 칭호를 붙였다.

명나라 시대 동안 여진족은 고대적인 씨족(姓: 哈拉, 만주어: Hala)의 소규모 씨족(氏: 穆昆, 만주어: Mukūn, 哈拉穆昆, 만주어: Hala Mukūn)적인 사회 단위에서 생활했다. 여진족 씨족의 일원들은 동일 조상에 대한 인식을 공유했으며 단일한 장(만주어: Mukūnda, 만주어: Halada)의 통치를 받아들였다. 모든 씨족들이 혈연으로 얽혀져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는 자주 분쟁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Э. В. Шавкунов, А. Л. Ивлиев, Т. А. Васильева и др.(1996), 《Государство Бохай (698-926 гг.)》и племена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России, 172~204쪽
  2. >(Khan: 문어 몽골어로는 'Qaɣan', 터키어로는 'Khān', 금대 여진어로는 'Ha-(g)an' 만주어로는 'Han'으로 표기한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