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민저빌
보이기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쥐목 | |
과: | 쥐과 | |
아과: | 황무지쥐아과 | |
족: | 작은민발바닥저빌족 | |
속: | 작은민발바닥저빌속 | |
종: | 에민저빌 (T. emini) | |
학명 | ||
Taterillus emini | ||
(Thomas, 1892) | ||
아종 | ||
| ||
보전상태 | ||
|
에민저빌 또는 에민테터릴(Taterillus emini)은 쥐과에 속하는 저빌의 일종이다.[2] 콩고민주공화국과 에티오피아, 케냐, 수단, 우간다에서 발견된다. 자연 서식지는 건조 사바나 지대와 아열대 또는 열대 기후 지역의 건조 저지대 초원과 농경지이다.[1]
특징
[편집]작은 설치류로 몸통 길이는 99~130mm, 꼬리 길이는 145~160mm이다. 발 길이는 31~34mm, 귀 길이는 17~19mm이다.[3] 등 쪽은 황갈색을 띠고 거무스레한 털이 섞여 있다. 엉덩이는 좀더 밝은 색을 띠고 배 쪽과 다리는 희다.
생태
[편집]땅 위에서 주로 생활하는 육상성 동물이다.
분포 및 서식지
[편집]콩고 민주 공화국 북동부 지역부터 케냐 북서부 지역까지 아프리카 중동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건조 사바나 지대와 초원, 건조 지역에서 서식한다. 농경지에서도 발견된다.
아종
[편집]4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2]
- T. e. emini - 우간다, 콩고민주공화국 북동부, 케냐 북서부, 에티오피아 남서부, 남수단 남중부
- T. e. anthonyi (Hatt, 1934) - 수단 남동부
- T. e. butleri (Wroughton, 1910) - 수단 남서부
- T. e. gyas (Thomas, 1918) - 수단 동부
각주
[편집]- ↑ 가 나 Granjon, L. 2016. Taterillus emini (errata version published in 2017).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21523A115162568. https://dx.doi.org/10.2305/IUCN.UK.2016-3.RLTS.T21523A22416971.en. Downloaded on 26 October 2020.
- ↑ 가 나 Musser, G.G.; Carleton, M.D. (2005). “SPECIES Taterillus emini”.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94–153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Henry W. Setzer, Mammals of the Anglo-Egyptian Sudan, in Proceedings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vol. 106, 1956, pp. 447-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