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모트레카과
보이기
|
| ||
|---|---|---|
| 화석 범위: 마이오세–현대 | ||
Chinchippus peruvianus | ||
| 생물 분류ℹ️ | ||
| 계: | 동물계 | |
| 문: | 절지동물문 | |
| 아문: | 협각아문 | |
| 강: | 거미강 | |
| 목: | 낙타거미목 | |
| 속: | 암모트레카과 Rower, 1934 | |
| 향명 | ||
| ||
| 속 | ||
|
본문 참조
| ||
암모트레카과(Ammotrechidae)는 아메리카 대륙과 카리브 제도에 분포하는 낙타거미목의 과이다. 26속, 95종이 하위로 분류되어 있다.
특징
[편집]과의 구성원은 첫번째 다리의 발목마디에서 발톱의 부재, 발목마디들의 1-2-2-(2-4) 구획화, 옆쪽와 아랫쪽에 여러 쌍의 돌기가 있는 더듬이다리, 수컷들이 가지는 각 협각의 위쪽에 움직일수 없는 편모로 다른 과와 구별할 수 있다. 암모트레카과의 프로펠티듐(protpeltidium)은 뒤쪽으로 휘어있다.[1]
북아메리카에 있는 종들은 서·남서아메리카에서도 발견되며 몸길이 5.08㎝보다 큰 종은 드물다.[2]
생태
[편집]모래언덕과 바위 지대 같은 건조한 지역에서 생활하며, 주로 다른 무척추동물을 먹이로 삼는다. 암모트레카는 비교적 높은 기초대사율 때문에 게걸스러운 포식자가 되었다.[3] 먹이는 씹어 액체 상태로 만든 뒤 섭취한다.[4] 이들은 척추동물의 먹이가 될 수도 있다. 암모트레카과에 속하는 종들은 동족포식 성향이 보인다.[5] 수컷과 암컷은 은신처 또는 둥지를 만들기 위해 얕은 굴을 판다.[6]
암모트레카과는 해충이 될 수도 있으나 전갈, 거미, 흰개미를 잡아먹어 익충 역할도 할 것으로 여겨진다.[2]
하위 속
[편집]2023년 2월 8일 기준, 세계 낙타거미 목록 (World Solifugae Catalog)은 이하의 26속을 인정한다.[7]
- Ammotrecha Banks, 1900
- Ammotrechella Roewer, 1934
- Ammotrechesta Roewer, 1934
- Ammotrechinus Roewer, 1934
- Ammotrechula Roewer, 1934
- Antillotrecha Armas, 1994
- Branchia Muma, 1951
- Campostrecha Mello-Leitão, 1937
- Chileotrecha Maury, 1987
- Chinchippus Chamberlin, 1920
- Cuyanopuga Iuri, 2021
- Dasycleobis Mello-Leitão, 1940
- Eutrecha Maury, 1982
- Innesa Roewer, 1934
- Mortola Mello-Leitão, 1938
- Mummuciona Roewer, 1934
- Neocleobis Roewer, 1934
- Nothopuga Maury, 1976
- Oltacola Roewer, 1934
- Procleobis Kraepelin, 1899
- Pseudocleobis Pocock, 1900
- Saronomus Kraepelin, 1900
- Sedna Muma, 1971
- Titanopuga Iuri, 2021
- Xenotrecha Maury, 1982
- †Happlodontus Poinar & Santiago-Blay, 1989
각주
[편집]- ↑ Carl Friedrich Roewer (1934). 〈Solifuga, Palpigrada〉. H. G. Bronn (편집). 《Klassen und Ordnungen des Tierreichs. Fünfter Band: Arthropoda; IV. Abeitlung: Arachnoidea und kleinere ihnen nahegestellte Arthropodengruppen》 4. Leipzig: Akademische Verlagsgesellschaft m.b.H. 1–723쪽.
- ↑ 가 나 Mike Quinn (2007년 1월 18일). “Curve-faced Solifugid. Class Arachnida - Order Solifugae - Family Ammotrechidae”. 《Texas Entomology》. 2023년 2월 8일에 확인함.
- ↑ Martin H. Muma (1966). “Burrowing habits of North American Solpugida (Arachnida)”. 《Psyche》 73 (4): 251–260. doi:10.1155/1966/36510.
- ↑ Fred Punzo (1998). 《The Biology of Camel-spiders (Arachnida, Solifugae)》.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 ↑ Martin H. Muma (1967). “Basic behavior of North American Solpugida”. 《Florida Entomologist》 50 (2): 115–123. doi:10.2307/3493620. JSTOR 3493620.
- ↑ Martin H. Muma. “Feeding behavior of North American Solpugida (Arachnida)”. 《Florida Entomologist》 49 (3): 199–216. doi:10.2307/3493444. JSTOR 3493444. 2017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2월 8일에 확인함.
- ↑ “Ammotrechidae Roewer, 1934”. 《World Solifugae Catalog》. Natural History Museum Bern. 2022. 2023년 2월 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