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루크 훈련소

알파루크 훈련소(파슈토어: د الفاروق معسکر də al-Faruq muaskar, 파슈토어: د الفاروق عسکري او تدریبي کمپ də al-Faruq askari aw tadribi kamp)는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 근처에 있었던 알카에다의 훈련소였다. 훈련병들은 약 한 달간 소화기 사용법과 독도법, 방향 표정법, 폭발물 사용법 등을 배웠다. 관타나모만 수용소에 수용된 수용자 가운데 알파루크 훈련소를 거친 수용자 수가 다른 훈련소를 거친 수용자보다 많다.[1]
미국 정보 분석가들에 따르면 알파루크 훈련소의 훈련소장은 사우디아라비아인 압둘 쿠두스로, 나중에 토라보라 전투에 지휘관으로 참전했다.[2][3][4]
1980년대에 아프가니스탄에서 소련과 맞서 싸웠던 의용군 출신 아부 왈리드 알마스리는 소련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한 뒤에도 아프가니스탄에 남았고, 1990년대 중반에 약 50세의 나이로 알파루크 훈련소의 교관을 지냈다.[5] 이 시기에 아프가니스탄의 다양한 파벌들이 권력 다툼을 벌였고, 곧 탈레반이 주도권을 잡았다.
알파루크 훈련소의 교관이었던 관타나모만 수용소 수용자의 증언에 따르면 훈련소에서는 더 전문적인 교관을 '쿠와디르'라고 불렀고, 오사마 빈라덴은 '쿠와디르' 가운데 그의 경호원을 뽑았다.[6] 다른 수용자는 알파루크 훈련소에서 오사마 빈라덴을 보았고 그가 정치와 종교에 관한 강의를 했다고 증언했다.[7]
1998년 8월 20일 미국은 1998년 미국 대사관 폭탄 테러에 대한 보복으로 알파루크 훈련소를 순항유도탄으로 공격했다.[8] 알파루크 훈련소는 2001년 8월까지 운영됐지만 이후로 교관들이 훈련소를 폐쇄했다.[9] 2001년 10월 10일 미국은 다시 알파루크 훈련소를 폭격했다.[10]
알파루크 훈련소 출신 인물
[편집]- 존 워커 린드[11]: 이른바 '미국인 탈레반'
- 데이비드 매튜 힉스[12]: 이른바 '오스트레일리아인 탈레반'
- 사이드 알감디[12]: 9.11 테러 범인
- 아흐메드 알나미[12]: 9.11 테러 범인
- 와일 알셰흐리[12]: 9.11 테러 범인
- 왈레드 알셰흐리[12]: 9.11 테러 범인
- 유세프 알아예리[13]: 오사마 빈라덴의 경호원이자 알파루크 훈련소 교관, 알카에다 아라비아반도 지부 초대 지도자
- 아부 오마르 알쿠와이티[14]: 캅카스 일대에서 활동하던 쿠웨이트인 알카에다 테러리스트
각주
[편집]- ↑ Brachman, J. (2008). "Countering terrorism". 2008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ce and Security Informatics. IEEE: xxiv.
- ↑ OARDEC. (2005). Unclassified Summary of Evidence for Administrative Review Board in the case of Al Dayi, Omar Said Salim.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pp. 1–2.
- ↑ OARDEC. (2006). Unclassified Summary of Evidence for Administrative Review Board in the case of Adayn, Omar Said Salem.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pp. 27–28.
- ↑ OARDEC. (2007). Unclassified Summary of Evidence for Administrative Review Board in the case of Omar Said Salem Aday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pp. 59–60.
- ↑ Leah Farrall (2011년 11월 14일). “Interview with a Taliban Insider: Iran's Game in Afghanistan”. 《The Atlantic》.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
- ↑ “Muieen A Deen Jamal A Deen Abd Al Fusal Abd Al Sattar's Combatant Status Review Tribunal” (PDF). 2004년 10월 12일. 199쪽. 2006년 7월 3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
- ↑ “Ravil Mingazov's Combatant Status Review Tribunal” (PDF). 2004년 10월 6일. 178쪽. 2006년 7월 3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
- ↑ Shephard, M. (2008). Guantanamo's Child. Wiley.
- ↑ Temple-Raston, D. (2007). The Jihad Next Door. Perseus Books Group.
- ↑ Judith Miller (2001년 10월 10일). “A NATION CHALLENGED: THE DAMAGE; Pentagon Says Bombs Destroy Terror Camps”. 《The New York Times》.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
- ↑ “STATEMENT OF FACT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Justice》.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9/11 Commission”. 《National Commission on Terrorist Attacks Upon the United States》.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
- ↑ Bill Roggio (2011년 12월 31일). “Shabaab leader recounts al Qaeda’s role in Somalia in the 1990s”. 《Long War Journal》.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
- ↑ Murad Batal al-Shishani (2005년 5월 18일). “IS THE SALAFI-JIHADIST WAY STILL AN OBSTACLE TO RUSSIA IN CHECHNYA?”. 《Central Asia-Caucasus Institute》. 2007년 9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