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로퓨리놀
보이기
![]() | |
![]() |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1H-Pyrazolo[3,4-d']pyrimidin-4(2H)-on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315-30-0 |
ATC 코드 | M04AA01 |
PubChem | 2094 |
드러그뱅크 | DB00437 |
ChemSpider | 2010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5H4N4O |
분자량 | ?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78±20% |
단백질 결합 | Negligible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liver (80% en:oxipurinol, 10% allopurinol ribosides) |
생물학적 반감기 | 2 h (oxipurinol 18–30 h) |
배출 | ? |
처방 주의사항 | |
임부투여안전성 | C(USA)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by mouth (tablet), IV |
알로퓨리놀(allopurinol, 상표명: Zyloprim 등)은 고요산혈증을 대상으로 사용되는 약물이다.[1] 특히 통풍을 예방하고, 특정한 유형의 신장결석을 예방하며 화학요법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고요산혈증에 대항하여 사용된다.[2][3] 구강 또는 정맥 주사를 통해 투여된다.[3]
구강으로 복용 시 나타나는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가려움과 발진이 있다.[3] 주사를 통한 투여로 인한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구토와 신부전이 포함된다.[3] 역사적으로 권장된 것은 아니지만 통풍 발발 중에 알로퓨리놀의 복용을 시작하는 것은 안전한 것으로 간주된다.[4] 이 약물을 이미 투여받고 있는 사람의 경우 급성 통풍 시에도 계속하는 것이 좋다.[4][2] 임신 중 위험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잘 이루어져 있지 않다.[5] 알로퓨리놀은 크산틴 옥시다제 억제제계 약물에 속한다.[3]
알로퓨리놀은 1966년 미국에서 의학용으로 승인되었다.[3] 의료제도에 필수적인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약품 목록인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6] 알로퓨리놀은 제네릭 의약품으로 구매가 가능하다.[3] 개발도상국의 도매가는 1개월 기준 약 US$0.81–3.42이다.[7] 같은 기간 기준으로 미국의 치료 비용은 $25 미만이다.[8] 2016년, 이 의약품은 15백만 건 이상의 처방과 더불어 미국에서 52번째로 많이 처방을 받은 약물이었다.[9]
각주
[편집]- ↑ Pacher, P.; Nivorozhkin, A; Szabó, C (2006). “Therapeutic Effects of Xanthine Oxidase Inhibitors: Renaissance Half a Century after the Discovery of Allopurinol”. 《Pharmacological Reviews》 58 (1): 87–114. doi:10.1124/pr.58.1.6. PMC 2233605. PMID 16507884.
- ↑ 가 나 《WHO Model Formulary 2008》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39쪽. ISBN 9789241547659. 13 December 2016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6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Allopurinol”.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9 April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6에 확인함.
- ↑ 가 나 Robinson, PC; Stamp, LK (May 2016). “The management of gout: Much has changed.”. 《Australian Family Physician》 45 (5): 299–302. PMID 27166465.
- ↑ “Allopurinol Use During Pregnancy | Drugs.com”. 《www.drugs.com》. 20 August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 December 2016에 확인함.
- ↑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19th List)”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April 2015. 13 December 2016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6에 확인함.
- ↑ “Allopurinol”. 《International Drug Price Indicator Guide》. 22 January 2018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6에 확인함.
- ↑ Hamilton, Richart (2015). 《Tarascon Pocket Pharmacopoeia 2015 Deluxe Lab-Coat Edition》. Jones & Bartlett Learning. 465쪽. ISBN 9781284057560.
- ↑ “The Top 300 of 2019”. 《clincalc.com》. 2018년 12월 2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Zyloprim (patient information)
- Allopurinol pathway on PharmGK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