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스웨덴-핀란드 관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웨덴-핀란드 관계
스웨덴 및 핀란드의 위치
스웨덴의 국기
스웨덴
핀란드의 국기
핀란드
스웨덴 및 핀란드 국기

스웨덴핀란드는 오랜 역사, 유사한 법 체계, 그리고 경제 및 사회 모델을 공유한다. 핀란드는 약 1150년부터 1809년 핀란드 전쟁까지 거의 700년 동안 스웨덴의 일부였다. 그 이후 핀란드는 러시아 제국의 자치적인 일부로서 핀란드 대공국이 되었다. 1917년 핀란드가 러시아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획득한 이후, 스웨덴과 핀란드는 긴밀한 동반자가 되었으며, 특별한 관계를 누려왔다. 양국 간의 스웨덴-핀란드 연결의 수와 대부분의 정부 영역에서의 협력의 질은 양국이 관련된 다른 국제 관계와 비교할 때 독특하다. 스웨덴어는 핀란드에서 공식적인 지위를 가지며, 반대로 핀란드인은 스웨덴에서 가장 큰 소수 민족 집단을 형성하며, 약 67만 5천 명으로 추산된다.[1]

관계는 정기적으로 최고 정치 수준에서 유지되며, 공공 당국과 시민 사회 사이의 상호작용은 매우 강하다. 특별한 관계의 새로운 요소는 스웨덴에서 핀란드어가 공식적인 소수 언어 지위를 받은 것과, 두 나라 간의 기업 통합이다.[2] 스웨덴과 핀란드는 1995년 함께 유럽 연합에 가입하였다.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두 나라는 같은 해 5월, NATO 가입을 함께 신청하였다.[3] 러시아가 핀란드로의 전력 수출을 중단하자, 핀란드는 그 결과로 스웨덴으로부터 수입을 선택하였다.[4] 2022년 5월 18일, 두 나라가 공식적으로 나토 가입을 신청한 이후, 튀르키예는 두 나라의 가입 절차 개시를 공식적으로 막았다.[5] 2022년 6월 28일, 두 나라는 튀르키예와 삼자 양해각서를 체결하여 가입을 위한 길을 닦았고, 두 나라의 가입 절차가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핀란드는 2023년 4월 4일 나토 회원국이 되었고[6] , 스웨덴은 2024년 3월 7일, NATO 회원국이 되었다.

더 큰 범위에서, 핀란드와 스웨덴은 또한 다른 노르딕 국가들인 덴마크, 아이슬란드, 노르웨이와 특별한 관계를 공유하며, 이 다섯 나라는 북유럽 이사회의 회원국이다. 두 나라는 모두 유럽 평의회, 유럽 안보 협력 기구, 합동 원정군, 유럽 연합, 그리고 NATO의 정회원국이다.

역사

[편집]

바이킹 시대 및 스웨덴 십자군

[편집]

오늘날의 스웨덴과 오늘날의 핀란드 사이의 접촉은 기독교 이전 시대에도 상당했다. 바이킹은 상업에 참여했기 때문에, 그리고 약탈 때문에 핀란드인들에게 알려져 있었다. 핀란드 본토에 바이킹 정착지가 있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증거도 있다.[7]

11세기와 12세기 동안, 스웨덴은 점차 하나의 기독교 왕국으로 통합되었다.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기독교는 또한 11세기 동안 핀란드에서 처음으로 자리를 잡았다. 후대의 중세 전설들은 1150년대 중반 언젠가 제1차 스웨덴 십자군을 통해 스웨덴이 핀란드를 정복하고 '기독교화'하려 했다고 묘사한다. 13세기 초, 투오마스 주교가 핀란드의 첫 번째 주교가 되었다. 핀란드를 지배하려 한 여러 세속 권력들이 있었지만, 스웨덴 섭정 비르예르 얄제2차 스웨덴 십자군을 통해 핀란드에서 스웨덴의 지배를 확립했으며, 이 원정은 가장 흔히 1249년으로 날짜가 매겨진다.

독립

[편집]

1917년,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핀란드는 독립을 선언하였다. 스웨덴은 독립을 승인했지만, 올란드 제도가 스웨덴의 일부가 될 것을 요구하였다. 1918년 핀란드 내전 동안, 스웨덴은 올란드를 점령하였다. 국제 연맹은 국경을 변경하지 않는 대신, 올란드에서 스웨덴어가 사용 언어로 남아 있어야 한다고 요구함으로써 이 분쟁을 해결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편집]
1941년 핀란드 항코에서 스웨덴 자원대대 대원들에게 인사하는 만네르하임 원수
1956년 스톡홀름에서 우르호 케코넨 대통령과 구스타프 6세 아돌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스웨덴은 중립을 선언했지만, 겨울 전쟁에서 스스로를 비교전국으로 선언하고 제한된 범위에서 핀란드의 대의를 지원하였다. 여기에는 8,000명 이상의 스웨덴 육군 및 공군 자원병이 포함되었다. 스웨덴은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다수의 핀란드 전쟁 아동들을 받아 돌보았다. 전쟁 이후, 스웨덴은 전쟁에서의 중립으로 인해 전후 경제 발전에서 뚜렷한 우위를 점하였다.

1944년 9월, 핀란드는 스텔라 폴라리스 작전의 일환으로 신호정보 능력의 일부를 스웨덴으로 이전하였으며, 그 대가로 핀란드가 다시 소련의 침공을 받을 경우의 안전을 보장받는 대신 스웨덴이 요격된 소련 통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8][9]

전후 시대

[편집]
스포츠에서의 핀란드와 스웨덴 사이의 애증 관계는 경쟁에 대한 특별한 추가 요소로 여겨진다.

새로 선출된 어느 한쪽 국가의 총리가 다른 나라를 첫 번째 공식 해외 방문지로 삼는 것은 오래된 전통이다. 그러나 2014년 6월, 새로 선출된 핀란드 총리 알렉산데르 스투브는 전통을 깨고 첫 번째 공식 해외 방문으로 에스토니아를 방문하였다.[10] 그 이후, 안티 린네 또한 첫 공식 방문으로 에스토니아를 선택했지만, 유하 시필래산나 마린은 모두 첫 공식 방문으로 스웨덴을 방문하였다.[11][12][13]

2014년, 양국은 쌍무적인 특별 방위 파트너십을 발표하였다.[14]

유럽에 코로나19 범유행이 닥쳤을 때, 핀란드와 스웨덴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대응하였다. 스웨덴은 전반적으로 더 느슨한 제한을 시행한 반면, 핀란드는 국경을 봉쇄하는 등 여러 조치를 취하였다. 이것은 두 나라의 서로 다른 역사 때문인데, 핀란드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의 외상적인 경험이 핀란드 사회에 흔적을 남겼고, 그 결과 위기에 대비한 더 큰 준비태세를 유지해 왔다. 반면, 스웨덴은 냉전이 끝난 이후 대비태세를 줄였으며 자금을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이것이 양국의 공식적인 국가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불분명하지만, 두 나라의 관료들은 각국 언론 매체에서 제기된 핀란드–스웨덴 관계에 관한 대중의 우려에 대해 언급해야만 했다.[15][16][17][18][19][20][21][22]

핀란드와 스웨덴은 2012년2013년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를 공동 개최하였다.

크바르켄 해협을 가로질러 스웨덴과 핀란드를 잇는 다리인 크바르켄 다리는 유럽 간선도로 E12의 일부로서 제안되었다.

두 나라는 1995년에 유럽 연합 회원국이 되었다.

NATO

[편집]

역사적으로, 두 나라는 중립을 유지했으며 NATO 가입을 추구하지 않았다. 그러나 2022년에 시작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두 나라가 5월 18일, NATO 가입을 신청하게 만들었다.[23] 핀란드는 2023년 4월 4일, 공식적으로 NATO에 가입하였고[24], 스웨덴은 2024년 3월 7일에 가입하였다.[25]

각주

[편집]
  1. “Kahdenväliset suhteet Ruotsiin (Bilateral Relations to Sweden)” (핀란드어). 《finland.se/》. Embassy of Finland, Stockholm. 2013년 9월 16일. 2015년 2월 21일에 확인함. 
  2. “Suomesta virallinen vähemmistökieli Ruotsissa (Finnish becomes an official minority language in Sweden)” (핀란드어). 《kielikello.fi/》. The Institute for the Languages of Finland (KOTUS). 2000. 2015년 2월 21일에 확인함. 
  3. “Finland and Sweden submit applications to join NATO”. 《NATO》. 2022년 5월 18일. 2023년 4월 7일에 확인함. 
  4. “Russian operator to suspend electricity supply to Finland” (영국 영어). 《BBC News》. 2022년 5월 13일. 2022년 5월 15일에 확인함. 
  5. Rauhala, Emily (2022년 5월 18일). “Turkey blocks start of NATO talks on Finland's and Sweden's applications”. 《The Washington Post》. 2024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4월 28일에 확인함. 
  6. “Finnish President Niinisto says Turkey has agreed to back Finnish and Swedish NATO membership” (영어). 《Reuters》. 2022년 6월 28일. 2022년 12월 27일에 확인함. 
  7. [Viklund, K. & Gullberg, K. (red.): Från romartid until vikingatid. Pörnullbacken – en järnålderstida bosättning i Österbotten, Vasa, Scriptum, 2002, 264 pages. Series: Acta antiqua Ostrobotniensia, ISSN 0783-6678 ; nr 5, and Studia archaeologica universitatis Umensis, ISSN 1100-7028; nr 15, ISBN 951-8902-91-7.]
  8. Bengt Beckman (2002). 《Codebreakers: Arne Beurling and the Swedish Crypto Program During World War II》. American Mathematical Soc. 173쪽. ISBN 978-0-8218-2889-2. 
  9. Nigel West (2007년 11월 12일). 《Historical Dictionary of World War II Intelligence》. Scarecrow Press. 81–83쪽. ISBN 978-0-8108-6421-4. 
  10. Stubb Makes First Foreign Visit to Estonia, ERR Estonian Public Broadcasting, 30 June 2014.
  11. Hakala, Heidi. “Kort men kärt möte mellan Rinne och Löfven: "Vi är gamla vänner". Hufvudstadsbladet. 2021년 1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13일에 확인함. 
  12. “Sipilä besöker Sverige”. Vasabladet. 2020년 9월 13일에 확인함. 
  13. Andelin, Jan-Erik. “Sanna Marin på sitt första statsbesök till Sverige: Tas trupper hem från Irak sker det i samarbete med andra aktörer”. Hufvudstadsbladet. 2021년 1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13일에 확인함. 
  14. O’DWYER, GERARD (2014년 1월 24일). “Finland, Sweden Eye Non-NATO Defense Partnership”. 《www.defensenews.com》. Gannett Government Media Corporation. 2014년 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26일에 확인함. 
  15. “Finland is ready to defend itself at war as against pandemic. Interview with Finnish ambassador to Vilnius”. 2020년 8월 6일. 
  16. Guardians of the North: The Finnish Army Improves Readiness and Mobility to Counter Hybrid Threats, by Dr Michael Jonsson & Dr Johan Engvall
  17. “Ei valmiuslakeja, ei valmiusvarastoja – Korona paljasti Ruotsin "Ikea-syndrooman". 
  18. “Huoltovarmuusvarastojen ovet ovat auenneet vain muutaman kerran tällä vuosituhannella – mitä kaikkea varastot pitävät sisällään?”. 2020년 3월 24일. 
  19. “Sverige stängde beredskapslagren och brände miljoner ansiktsmasker”. 
  20. “Finlands president: Det är inte mot Sverige”. 
  21. “Korona Ruotsissa”. 2021년 1월 11일. 
  22. El-Shanti, Lubna (2020년 5월 22일). “Sverige används som skräckexempel i Finland - Godmorgon världen”. 《Sveriges Radio》. 
  23. Browne, Ronan (2022년 5월 18일). “Turkey blocks accession talks as Finland, Sweden formally submit application letters to Nato”. 《Yle》. 2023년 4월 7일에 확인함. 
  24. “Finland joins NATO as 31st Ally” (보도 자료). 2023년 4월 4일. 2023년 4월 4일에 확인함. 
  25. NATO. “Sweden officially joins NATO” (영어). 《NATO》. 2024년 3월 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