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달린과일먹는박쥐
보이기
![]() | |
---|---|
![]() 술달린과일먹는박쥐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박쥐목 |
과: | 주걱박쥐과 |
아과: | 스테노데르마아과 |
속: | 신열대구과일박쥐속 |
종: | 술달린과일먹는박쥐 (A. fimbriatus) |
학명 | |
Artibeus fimbriatus | |
Gray, 1838 | |
보전상태 | |
|
술달린과일먹는박쥐(Artibeus fimbriatus)는 주걱박쥐과(신세계잎코박쥐과)에 속하는 남아메리카 박쥐의 일종이다.[2]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파라과이에서 발견된다.[1]
특징
[편집]보통 크기의 박쥐로 몸통 길이가 95.2mm이고 전완장이 59.4~71mm이다. 발 길이는 23.5mm, 귀 길이는 18mm, 몸무게는 최대 54g이다.[3] 털이 길고 부드럽다. 등 쪽은 흑갈색이고 배 쪽은 좀더 밝은 색을 띤다. 주둥이는 짧고 넓다. 잎코가 잘 발달해 있고 피침형 모양이다.
생태
[편집]먹이는 케크로피아속, 박과, 무화과나무속, 후추속, 가지속, 바소비아속을 포함하는 식물의 열매이다. 두 번의 번식기를 갖고 있다. 파라과이에서 1월에 수컷 새끼가 7월에 새끼를 밴 암컷이 발견되는 반면에 브라질 파라나주에서 3월에 암컷 새끼가 4월에 수컷 새끼가 포획된다.
분포 및 서식지
[편집]브라질 동부 바이아주부터 히우그란지두술주까지, 파라과이 남동부, 아르헨티나 북동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해발 최대 530m 이하의 습윤 열대 숲에서 서식한다.
각주
[편집]- ↑ 가 나 Barquez, R. & Diaz, M. 2015. Artibeus fimbriatu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5: e.T2126A21999829. https://dx.doi.org/10.2305/IUCN.UK.2015-4.RLTS.T2126A21999829.en. Downloaded on 11 January 2021.
- ↑ Simmons, N.B. (2005). “Artibeus (Artibeus) fimbriatus”.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312–529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Nelio R.dos Reis & Al., Morcegos do Brasil, Londrina, 2007. ISBN 978-85-90639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