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스타임
센스타임 로고 | |
센스타임 홍콩 본사 | |
| 형태 | 공개 회사 |
|---|---|
| 설립 근거 | 케이맨 제도 법에 따른 면제 유한회사 (WVR 구조) |
약칭 | 센스타임 |
| 창립 | 2014년 10월 15일 |
| 창립자 | 탕샤오우(唐晓鸥) 쉬리(徐立) |
시장 정보 | 홍콩 증권거래소: 0020 (HKD), 80020 (RMB)[1] |
| 상장일 | 2021년 12월 30일[2][3] |
| 산업 분야 |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
| 서비스 |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와 응용 컴퓨터 비전 솔루션 스마트 시티·스마트 비즈니스·스마트 라이프·스마트 오토 |
| 본사 소재지 |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
사업 지역 | 중국 본토 홍콩 동남아시아 중동 |
| 대표자 | 쉬리(최고경영자) |
| 제품 | SenseNova(대규모/멀티모달 모델) SenseCore(AI 인프라·클라우드) SenseAuto(자동차용 솔루션) SenseFoundry(도시·산업 플랫폼) SenseME(모바일·임베디드 SDK) SenseCare(의료 영상) |
| 매출액 | 3,772.1백만 위안 (2024년)[4] |
| −4,306.6백만 위안 (2024년)[4] | |
| 결산기 | 매년 12월 31일 |
종업원 수 | 3,756명 (2024년 12월 31일 기준)[4] |
| 웹사이트 | https://www.sensetime.com/kr |
| SenseTime Group | |
|---|---|
| 한글 표기: | 센스타임 그룹 |
| 한자 표기: | 商湯集團股份有限公司 |
| 공식 로마자 표기: | SenseTime Group Inc. |
센스타임 그룹(영어: SenseTime Group Inc.)은 홍콩에 본사를 둔 중국의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2014년에 탕샤오우와 쉬리가 공동 설립하였으며, 생성형 인공지능과 컴퓨터 비전 기술을 핵심으로 산업·공공·소비 부문에 소프트웨어와 플랫폼을 제공한다.[5][6] 2021년 12월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했으며(주식 코드 0020과 위안화 결제 80020), 가중의결권(Weighted Voting Rights, WVR) 구조를 채택한다.[2][1][7] 안면인식·영상인식·사물검출·광학문자인식·의료영상분석·영상분석·자율주행·원격센싱 등의 기술을 개발·제공한다. 또한 중국 사이버관리국 산하 국영 기업인 중국 인터넷 투자 기금이 회사의 황금 지분(golden share)을 보유하고 있어, 일부에서는 국영 성격을 지닌 상장사로 분류하기도 한다.[6]
연혁
[편집]- 설립 배경
센스타임은 2014년 10월 15일 케이맨 제도에 설립된 지주회사로, 홍콩과 중국 본토의 연구 인력과 사업 조직을 기반으로 출범하였다. 공동창업자인 탕샤오우는 홍콩중문대학교에서 컴퓨터 비전을 연구했고, 같은 연구실 출신 인력과 함께 상용화를 추진했다.[5][8]
- 상장과 조직 재편
회사는 2021년 12월 30일 홍콩 증시에 상장하였다.[2][3] 2024년에는 생성형 AI 중심으로 사업 전환을 가속하기 위해 ‘1+X’ 조직 재편을 완료했다. 여기서 ‘1’은 생성형 AI와 컴퓨터 비전으로 구성된 핵심 사업, ‘X’는 각 수직 생태계(스마트 오토 등)를 뜻한다.[4][9]
- 연구·플랫폼 지정
2018년 중국 과학기술부는 센스타임을 차세대 인공지능 ‘지능 비전’ 국가 개방혁신플랫폼으로 지정하였다.[10] 같은 해 MIT와 인공지능 연구 동맹을 발표하고 공동 연구를 지원했다.[5]
- 주요 사건
2019년 미국 상무부는 신장 지역 인권침해와 관련해 센스타임의 중국 법인을 수출 관리 규정의 엔티티 리스트에 추가했다.[11] 2021년 12월에는 미 재무부가 센스타임을 ‘중국 군산복합체 관련 기업(NS-CMIC)’ 명단에 올렸고, 회사는 해당 판단에 반대한다고 밝혔다.[12] 2023년 12월 공동창업자 탕샤오우가 별세했다(향년 55세).[13]
기업 구조
[편집]지배 구조
[편집]센스타임은 가중의결권 구조를 채택한다. A종 주식은 주당 10표, B종 주식은 주당 1표의 권리를 가지며, 일부 ‘보호된 사항(Reserved Matters)’에서는 1표 원칙이 적용된다.[7] 2023년 12월 15일 이후 회사는 최종 지배주주를 두지 않는다고 공시했다.[14] 또한 중국 사이버관리국 산하 국영 기업인 중국 인터넷 투자 기금이 회사의 일부 황금지분을 보유한다.[1]
경영진
[편집]최고경영자는 쉬리이며, 이사회와 집행경영진이 사업부별 책임 경영 체계를 운영한다.[4]
사업 모델
[편집]센스타임은 자체 AI 인프라인 ‘SenseCore’를 기반으로 대규모 모델의 학습·미세조정·추론을 서비스(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형태로 제공하고, 이를 산업별 응용 소프트웨어에 통합해 수익을 창출한다. 2024년 기준 매출 비중은 생성형 AI 63.7%, 컴퓨터 비전(전통 AI) 29.5%, 스마트 오토 6.8%였다.[4] 회사는 핵심 사업(생성형 AI·컴퓨터 비전)과 수직 생태계(스마트 오토 등)로 이원화한 ‘1+X’ 체계로 자원 배분과 상용화를 최적화하고 있다.[4][9]
사업 운영
[편집]사업 영역 및 산업 분야
[편집]- 스마트 비즈니스: 금융·통신·에너지 등에서 기업용 생성형 AI 도입과 마케팅·고객 응대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한다.[4]
- 스마트 시티: 도시 운영 플랫폼(SenseFoundry)과 지능형 컴퓨팅센터(AIDC) 운영 역량을 통해 교통·안전·거버넌스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지원한다.[15]
- 스마트 라이프: 모바일·IoT용 SDK(SenseME), 디지털 휴먼, 교육·헬스케어 소프트웨어(SenseCare) 등을 제공한다.[16]
- 스마트 오토: 운전자 보조·스마트 캐빈·엔드투엔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enseAuto)와 차량용 데이터·모델 서비스를 제공한다.[4]
- 보안·공공안전: 영상 기반 범죄자 탐지·추적에 활용되는 SenseTotem·SenseFace 등 공공안전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중국 일부 경찰서의 영상 수사·치안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바 있다.
글로벌 활동
[편집]2024년 매출은 중국 본토 32억 1,530만 위안, 동북아 3억 5,434만 위안, 동남아 5,211만 위안, 기타(홍콩·중동 등) 1억 6,413만 위안으로 공시되었다.[4]
제품과 서비스
[편집]- SenseNova: 2024년 4월 ‘SenseNova 5.0’을 공개했으며, 클라우드-엣지 전 구간 제품군으로 확장되었다.[17][18]
- SenseCore: 대규모 모델 연구·학습·추론을 위한 자체 AI 인프라/클라우드로, 상하이 링강 AIDC 등을 통해 대규모 연산 자원을 운영한다.[19][15]
- SenseAuto: 양산형 ADAS/스마트 캐빈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툴체인 제품군.[4]
- 소비자 앱 적용 : 중국의 인기 셀카 애플리케이션 메이투(Meitu) 등에서 얼굴 보정·변환 기능에 센스타임의 컴퓨터 비전/AR 기술이 활용된 바 있다.
- 기타 : 모바일·임베디드 SDK(SenseME), 의료 영상 소프트웨어(SenseCare), 도시·산업 운영 플랫폼(SenseFoundry) 등.[16]
재무 성과
[편집]2024년 매출은 37억 7,21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10.8% 증가했고, 총이익률은 42.9%였다. 당기순손실은 43억 66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적자 폭이 축소되었다.[4]
브랜딩 및 마케팅
[편집]회사는 ‘테크 데이(Tech Day)’ 등 기술 행사에서 신제품·업그레이드를 공개하며 대규모 모델 제품군(SenseNova)과 AI 인프라(SenseCore)의 성능·상용화를 알리고 있다.[17][18]
기업의 사회적 책임
[편집]지속가능성 보고서와 기후 정보 공시를 통해 AI 인프라 운영의 에너지 효율과 데이터·윤리 가이드라인을 공개한다.[6]
비판과 논란
[편집]미 상무부 엔티티 리스트 추가(2019)와 재무부 NS-CMIC 지정(2021)으로 대(對)미국 기술·투자 제한이 부과되었고, 회사는 관련 의혹을 부인했다.[11][12] 상장 당시에는 미국 투자자의 참여 제한과 공모 지연·재개 과정이 있었다.[20][21]
외부 링크
[편집]- 센스타임 - 공식 웹사이트
- 한국어 사이트: www
.sensetime .com /kr
각주
[편집]- ↑ 가 나 다 “Placing of New Class B Shares — Definitions (Dual Counters)” (PDF) (중국어). HKEXnews (SenseTime Group Inc.). 2024년 12월 11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SenseTime shares jump as much as 23% on debut after $740 mln Hong Kong IPO” (영어). 로이터. 2021년 12월 30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SenseTime Successfully Listed on the Main Board of HKEX” (영어). SenseTime 보도자료. 2021년 12월 30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Annual Results Announcement for the Year Ended 31 December 2024” (PDF) (영어). SenseTime Group Inc. (HKEX 공시). 2025년 3월 26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MIT and SenseTime announce effort to advance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영어). MIT News. 2018년 2월 28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About Us” (영어). SenseTime.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Restricted Share Unit Scheme — Definitions (Class A/B and WVR)” (PDF) (영어). HKEXnews (SenseTime Group Inc.). 2024년 6월 3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Global Offering (Prospectus)” (PDF) (영어). HKEXnews (SenseTime Group Inc.). 2021년 12월 7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China's SenseTime reshapes to focus on generative AI growth” (영어). 로이터. 2024년 12월 4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Beijing recruits Hong Kong AI start-up SenseTime to lead tech drive” (영어). South China Morning Post. 2018년 9월 20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Addition of Certain Entities to the Entity List” (영어). U.S. Federal Register. 2019년 10월 9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Treasury Sanctions for Human Rights Abuse on International Human Rights Day” (영어). U.S. Department of the Treasury. 2021년 12월 10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Founder of China AI software developer SenseTime, Tang Xiao'ou, dies” (영어). 로이터. 2023년 12월 16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年報附註 — 最終控股公司及控股股東不存在(공시 요지)” (PDF) (중국어). HKEXnews (SenseTime Group Inc.). 2024년 4월 25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SenseTime opens massive AI data center, aligns with Beijing’s vision” (영어). Biometric Update. 2022년 1월 27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Artificial Intelligence Core Technologies” (영어). SenseTime.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SenseTime launches SenseNova 5.0” (영어). SenseTime. 2024년 4월 23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Chinese AI giant SenseTime suspends trading as shares surge after LLM launch” (영어). South China Morning Post. 2024년 4월 24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SenseCore AI Cloud” (영어). SenseTime.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SenseTime relaunches $767m Hong Kong IPO after U.S. investment ban” (영어). 로이터. 2021년 12월 19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China's SenseTime postpones $767m Hong Kong IPO after U.S. ban” (영어). 로이터. 2021년 12월 13일. 2025년 10월 2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