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배과학재단
보이기
서경배과학재단(徐慶培科學財團, 영어: SUH Foundation)은 대한민국의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이 기초생명과학 발전을 위해 2016년 사재 3천억 원을 출연해 설립한 비영리 기초과학재단이다. 2021년 기준 20 명의 생명과학자를 선정하여 총 485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했다. 국내에서는 개인 자금으로 출범한 첫 번째 기초과학재단이다.[1]
역사
[편집]2016년 ‘눈으로 보는 하늘 밖에도 무궁무진한 하늘이 있다’는 천외유천(天外有天)을 기조로 설립되었다[2]. 미국 하워드휴즈 의학연구소(HHMI)를 벤치마킹했다. 혁신적인 연구를 선정하고, 연구자에게 결과의 성패를 묻지 않는 자유로운 연구 환경을 표방한다.
2017년 신진과학자 연구지원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2020년부터 해마다 선정한 연구자의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SUHF Symposium 을 개최하고 있다.
신진과학자 연구지원 프로그램
[편집]서경배과학재단은 신진과학자 연구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생명과학 분야 임용 5년 이하의 한국인 신진 과학자를 대상으로 연간 최대 5억원을 5년 간 지원한다. 매년 1월에서 3월 사이에 공개 접수하며, 국내외 석학들을 심사위원으로 위촉하여 당해 8월 3-5명의 과학자를 선정한다.
2020년 이래 증여세 과세 문제로 해외 주재 과학자에 대한 지원을 보류 중이다.
역대 선정자 목록
[편집]선정연도 | 성명 | 소속 | 연구 주제 |
2017 | 강찬희 | 서울대학교 | Genetic Dissection of the GATA4-Senescence Associated Secretory Phenotype (SASP) pathway in Aging (노화유도 분비인자의 제어를 통한 노화 및 노화연관 질환 연구) |
김도훈 | UMass Chan Medical School | Invisible killers: Investigating the role that endogenous toxic metabolites play in pathology (보이지 않는 킬러: 체내에서 생성되는 독성 대사물이 질병에 미치는 역할 연구) | |
이정호 | KAIST | Deciphering of low-level somatic mutations disrupting neuronal circuits in human brain (후천적 뇌 돌연 변이로 인한 신경 회로 이상 및 신경정신질환 발병 연구) | |
임정훈 | UNIST | Decoding Non-Canonical Translation (비표준적 단백질 번역에 의한 유전암호 해독의 새로운 원리 규명) | |
최규하 | 포항공과대학교 | Genetic and genomic dissection of plant meiotic recombination (식물 유전체 재조합 연구) | |
2018 | 김진홍 | 서울대학교 | The origin of generation signal from damaged connective tissue that specifies endogenous stem cell differentiation (근골격계 퇴행성 재생치료 기전 규명) |
박현우 | 연세대학교 | The Biology of Epithelial-Hematopoietic Conversion (세포탈부착성 재프로그래밍 연구) | |
우재성 | 고려대학교 | Molecular structures and mechanisms of Cx43 and Cx36 gap junction channels (간극연접채널의 구조와 메커니즘 연구) | |
정인경 | KAIST | Unraveling a principle of 3D chromatin dynamics in gene regulation (삼차원 지놈 구조의 원리 규명) | |
주영석 | KAIST | Origins and functional consequences of complex genomic rearrangements in cancer cells (암세포에서 복잡 유전체 구조변이의 발생 기전 및 기능적 영향) | |
2019 | 박주홍 | 서울대학교 | Role of adaptive immunity in the evolution of symbiotic bacteria (공생세균의 진화에 있어서 적응 면역의 역할에 대한 연구) |
윤기준 | KAIST | Deciphering the neural epitranscriptome using mouse and human brain organoid (생쥐 모델과 인간 뇌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신경 후성전사체의 역할 규명 연구) | |
이유리 | 서울대학교 | Unveiling associations of cellular architecture and cell fate specification in plants(세포 특이적 운명 결정과 세포 구조와의 상관성 연구) | |
이은정 | Boston Children's Hospital | Systematic investigation of reactivated endogenous retroelements and their functional consequences in human soma (인체 조직에서의 RNA 이동성 유전인자의 재활성화와 그 기능적 영향에 대한 연구) | |
2020 | 노성훈 | 서울대학교 | Developing integrated Cryo-EM platforms to study cells at molecular resolution (Cryo-EM 이미징을 이용한 세포 노화 및 질병 발생 기전 연구) |
이주현 | Wellcome–MRC Cambridge Stem Cell Institute | Unveiling injury-driven remodeling of lung stem cells and niche cells in lung regeneration and pulmonary fibrosis (폐의 재생과 섬유화에 관한 줄기세포와 주변세포의 유용성 연구) | |
조원기 | KAIST | 4-dimensional gene expression regulation by real-time single-cell imaging (실시간 단일 세포 이미징을 통한 4차원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 | |
2021 | 구태윤 | KAIST | Connectomic investigation of the mammalian brain at the single-neuron level (단일신경세포 연결체 분석을 통한 포유류 뇌 규명) |
양한슬 | KAIST | A comparative study deciphering the key principles of scar-free and complete skin regeneration in mammals (비교생물학적 연구를 통한 흉터 없는 완벽한 피부 재생의 핵심 원리 규명) | |
현유봉 | 서울대학교 | Molecular and Systemic Dissection of Innovations in Water-use and the Plant Reproduction in Motion (식물의 혁신적 물 활용과 생식과정에서의 고착생활 한계 극복 메커니즘의 분자 그리고 시스템 수준 연구) |
각주
[편집]- ↑ 최은미 (2016년 9월 2일). “3천억 출연해 '서경배과학재단' 설립 ″노벨상 기대″”. 2022년 2월 4일에 확인함.
- ↑ “ABOUT|서경배과학재단”. 2022년 2월 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