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문화재단
보이기
형태 | 재단법인 |
---|---|
창립 | 1966년 8월 |
본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 77, 유남빌딩 5층 (옥인동) |
핵심 인물 | 김기영(이사장) |
삼일문화재단(三一文化財團)은 서울 종로구 옥인동에 있는 대한민국의 재단법인이다.
1959년에 대한양회공업주식회사가 3·1문화상을 창설한 것이 단체의 연원이다. 1960년부터 3·1절마다 문화 각 분야에 공헌한 사람에게 삼일문화상을 수여하였다. 1966년부터는 재단법인 삼일문화재단이 삼일문화상을 이관 받아 관장하였다.
3·1문화상
[편집]- 초기의 본상
- 학술상: 인문과학, 자연과학에서 업적을 기리는 부문
- 기술상: 산업 전 부분 건설 도상에서 획기적인 발명신안 등 창의성 발휘한 자
- 문화예술상: 문화, 예술에서 업적을 남긴 자
- 근로 건설상: 육체 노동자·직접 근로로서 농경에 종사하는 농민·국민학교 이하의 교직에 종사하는 교원 중에서 직책에 충실하고 뛰어난 창의적 발휘해 타의 모범을 보임으로써 인리향당에 봉사한 자[1]
- 학술상은 제7회 시상까지 인문과학상과 자연과학상으로 나누어 수여하다가, 이후 학술상으로 통합되었다. 1995년부터 다시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 분야로 분리되었다. 학술상과 예술상 외에 기술상과 근로상도 시상한다.
심사위원
[편집]- 창립 심사위원: 김병로, 김법린, 김윤경, 김동일, 김동성, 김팔봉. 백낙진, 박동길, 박종화, 안동혁, 이원혁, 이원처, 이인기, 이상은, 이병도, 이희승, 이종우, 정구충, 조백현, 최규남[2]
- 1기 심사위원장 이병도, 부위원장 안동혁. 인문과학부장 이희승, 자연과학부장 윤일선, 기술부장 윤일중, 예술부장 김팔봉, 근로건설부장 이관구[3]
- 2기 심사위원장 이희승, 부위원장 김두헌[4]
부문별 역대 수상자
[편집]같이 보기
[편집]유사 시상식
[편집]- 삼일가족(회장 홍상복)과 포항MBC가 공동 주최하는 삼일문화대상이 있다.[26]`
각주
[편집]- ↑ 1959.6.19 동아일보
- ↑ 1959.12.2 동아일보
- ↑ 1961.10.19 동아일보,
- ↑ 1975.2.1.매일경제
- ↑ 제41회 3.1문화상 수상자 발표
- ↑ 제43회 3.1 문화상 수상자 발표
- ↑ 유봉학 윤기현 교수·박석환 화백 ‘3·1문화상’학술·예술부문 수상
- ↑ 최재석씨 등 3·1문화상
- ↑ 동아일보, 삼일문화상 특별상 수상
- ↑ 고영근.변수일 교수 등 3.1 문화상 수상
- ↑ 3·1 문화상 이태진·이명철 교수 등 수상
- ↑ 3·1문화상’ 김두철·조수호·김문한씨 선정
- ↑ 3·1 문화상에 소설가 이호철씨 등 선정
- ↑ 한구·이기화 교수 등 3·1문화상 수상
- ↑ 삼일문화상 학술·예술부문 수상자 선정
- ↑ 3·1문화상에 오병남·박규택·나인용·이동호 교수
- ↑ 3·1문화상에 서진근·김화경·박만규
- ↑ 3·1문화상에 김인준·김대수·김백봉·서승우 교수
- ↑ “제59회 3·1문화상 수상자 발표”. 2018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6일에 확인함.
- ↑ 제60회 3·1문화상 수상자 발표
- ↑ 3·1문화상에 박희병·김정한·박정자·조동우
- ↑ 3·1문화상에 이성규·이효철·윤후명·안종현
- ↑ 3·1문화상에 심경호·김광수·구본창·이경무
- ↑ 조승우·김대진·송재복 제64회 3·1문화상
- ↑ 3·1문화상에 곽충구·김유수·김영재·안성훈
- ↑ [1]
외부 링크
[편집]횟수 | 연도 | 학술상(인문·사회과학부문) | 학술상(자연과학부문) | 예술상 | 기술상 | 기술·공학상 | 근로상 | 사회봉사상 | 특별상 |
---|---|---|---|---|---|---|---|---|---|
1 | 1960 | 이혜구(장려상); 서울대 음악대학 교수; 국악에 관한 연구 | 도상봉(본상); 예술원 회원; 명륜당 추경 | 최경열(장려상); 대한토목학회장, 학술원 회원; 토목관계 이종근(장려상); 중앙공업연구소 요업과장; 요업부문 연구 지철근(장려상); 서울공대 조교수; 전기공업 박춘명(장려상); 박춘명 건축연구소 소장; 건축문화발전 |
김창권; 독농; 영농계몽 김용태; 근로∙교원; 고도교육 김금도; 농촌領蒙; 문맹퇴치 외 김영호; 근로∙광부; 광산근로 |
||||
2 | 1961 | 이우주(본상); 연세대 의대 교수; 심장 생리 연구 | 윤석중(본상); 새싹회 대표; [엄마손] 등 창작 | 송계범(본상); 국립공업연구소 응용물리실 근무; [보류식 한글], [텔레타이프 발명] | 오정화; 근로∙교원; 교육공로 박문; 독농; 문맹퇴치 외 곽춘만; 근로∙등대수; 등대수 박춘세; 근로∙우편집배원; 우편배달 |
||||
3 | 1962 | 이숭녕(본상); 서울대 문리대 교수; 국문학논고 외 | 이문호(장려상); 서울대 의대내과학 조교수;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의학적 연구 이동녕(장려상); 서울대 문리대 조교수; 속 중성자 발생장치에 관한 연구 |
염상섭(본상); 예술원 종신회원; 얼룩진 시대풍경 외 | 이범순(장려상); 국립공업연구소 기감; 화학기술부냥의 제연구발명 및 기술지도 김만종(장려상); 무연탄고열공업주식회사 부사장; 무연탄의 와사화 연소법 |
이선신; 사회봉공∙대한적십자사; 사회사업 이영복; 근로∙대전보선사무소 조치원 재근보선원; 철로보수 외 정기준; 근로∙교통부 총무과 수위장; 수위근속 46년 강기수; 근로∙당인리 화력발전소 기기보수원; 발전소기기의 정상적 유지 장돈식; 독농; 농장건설 외 이순애; 생활개선∙에덴보육원 이사장; 생활개선 |
|||
4 | 1963 | 유홍렬(장려상); 서울대 문리대 교수; 한국천주교 회사 김형규(장려상); 서울대 사범대 교수; 국어사 연구 |
홍석기(본상); 연세대 의대 조교수; 해녀의 호흡생리학적 연구 | 이상범(본상); 홍익대 명예교수; 산은촌가 외 | 김유선(본상); 강원탄광소장; 수직항의 설계 외 | 김창기; 농촌지도·기곡리 농협협동조합장; 농촌지도 김필애; 사회봉공∙적십자사; 사회봉사 백근식; 근로∙철도기관사; 기관사근속 23년 송석도; 독농; 농촌지도 |
|||
5 | 1964 | 이성호(본상); 서울대 의대 교수; 심장판막증에 관한 연구 | 김경승(본상); 이화여대 미대 강사; 사월학생혁명 기념탑 제작 | 현신규(본상); 농촌진흥청장; 임목육종 연구 | 이재송; 대한해운공사; 항해사로 공헌 안인애; 사회봉사; 양로원건립 외 천두호; 부산부두화력발전소; 전력공급에 기여 김병렬; 농촌지도; 황무지 개간 외 조태호; 경성방직주식회사; 공장시설 개선 외 남상돈; 독농∙농촌지도; 다수확재배 외 |
||||
6 | 1965 | 김원용(본상); 서울대 문리대 교수; 울릉도의 고고학적 연구 | 김은호(본상); 수도여자사범대학 명예교수; 군선도 외 | 최형섭(장려상); 원자력원 원자력연구소 소장; 한국산 중사로 지르코늄 제련 | 김이만; 임업시험장 수목계 고문; 수목표본 작성 김복만; 대전 기관차사무소; 기관차수리 외 최종진; 인천공작창; 객화차생산 증대 임순도; 사회봉사; 고아 등 수용보호 사업 |
||||
7 | 1966 | 김동욱(장려상); 연세대 문리대 교수; 춘향전 연구 | 박병희(장려상); 농촌진흥청 잠업시험장장; 양잠사육법 연구 전종휘(장려상); 가톨릭대 의학부 교수; 급성전염병 연구 |
황순원(본상); 경희대 문리대 교수; 너와 나만의 시간 외 | 복태봉; 농촌지도, 대산면 운교리 농업협동조합장; 농촌재건 외 김정주; 독농; 다각영농방법 외 김영서; 간척, (사)한국정착사업개발흥업회 회장; 대간척지조성 외 공민길; 한국전력주식회사; 전력난 해소에 기여 |
||||
8 | 1967 | 유창균; 대구대학 국문학 부교수; 동국정음 연구 | 김동리; 서라벌예술대학 교수; 창작 까치소리 외 | ||||||
9 | 1968 | 권이혁; 서울대 의대 교수; 도시인구 연구 | 김인승; 이화여대 미대 학장; 제4회 개인전 | 김로수; (주)한국기계공업 부사장; 기중기 설계 제작 | 김귀근; 금일동국민학교 장도분교; 장도개발 | ||||
10 | 1969 | 백운하; 서울대 농대 교수; 한국의 진딧물류에 관한 연구 | 박영선; 서라벌예술대 교수; 하일의 연작 외 | 김재근; 서울대 공대 교수; 고속정의 설계 외 | 박영래; 부산 재활촌 회장; 재활촌 건립 | ||||
11 | 1970 | 국립박물관; 한국 지석묘 | 박두진; 우석대 부교수; 청록집 기타 | 김성근; 양주군 노숙자보호소장; 노숙자 및 부랑아 보호 선도 | |||||
12 | 1971 | 김종오;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우주선 및 고에너지원자핵 반응에 관한 연구 | 김기창; 수도여자사범대 미술학과 교수; 군마 및 부엉이 | (주)한국유리공업 기술팀; 판유리 제조기술의 개혁 | 배처자; 김제여자중고등학교 교장; 선유도 개발 | ||||
13 | 1972 | 남광우; 중앙대 교수; "조선", "이조", "한자음의 연구" | 조연현; 동국대 교수; 한국현대문학사 | 박달조; 콜로라도대 교수; 불소화학공업의 개척 | 장재진; 농산물종합냉동냉장제빙소 창설; 영농방법개선에 의한 수익증대 김기호; 농업, 아주문화관 총무부장; 모범산림의 조성 |
||||
14 | 1973 | 권영대; 서울대 문리대 교수; 광증폭장치의 전계발광에 관한 연구 | 안수길; 소설가; "통로, 부교" | 최성덕; 대한기독교여자절제회 서울시 이사; 사회봉사 | |||||
15 | 1974 | 고광욱; 서울대 의대 교수; 칼슘 및 단백질 대사에 관한 연구 | 김동진; 경희대 음대 교수; 가곡집 [내마음] | 안병성; 한국과학기술연구소; 탁자전자계산기의 개발 | 민동기; 농업, (사)전국농업기술자협회 이사; 마을양곡 은행창설 김대호; 농업, 새마을 지도자; 새농촌 건설 |
||||
16 | 1975 | 김재관; 한국과학원 수학 및 물리학과 교수; 소립자에 관한 연구 | 천경자; 화가; "꽃무리, 이탈리아 기행" | 박현우; (주)한국주철관공업 전무이사; 닥타일주철관 개발생산 | 유윤걸; 부안경찰서 위도 지서장; 지역사회 개발 | ||||
17 | 1976 | 김병철; 중앙대 교수; 한국근대번역문학사 연구 | 백철;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회장; 진리와 현실 | ||||||
18 | 1977 | 이용각; 가톨릭의대 주임교수; 혈관외과 및 신장이식에 관한 연구 | 백성희; 국립극단 단원; "헨리입센작", "페르귄트" 외 6편 출연 | 정만영;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제2연구담당 부소장; V.V.C. 다이오드의 이용개발 연구 | 홍종식; 인천소년연구소 교감; 행형에 보이스카우트를 창설운영하여 교도 이병린; 인천제철 압연부 제3소형공장 직장; 작업개선 및 공장새마을운동 |
||||
19 | 1978 | 정문기; 문공부 문화재위원회 부위원장; 한국어도보 | 이준; 이화여대 미술대학장; 작품 [하늘-B] 외 | 정장섭; 전국농업기술자협회 전무이사; 농민 계몽운동 | |||||
20 | 1979 | 이영균; 서울대 의대 교수; 심장질환의 외과적요법에 관한 연구 | 권순형; 서울대 미대 교수; [황금 유화기] 외 | 김춘수;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식품, 생물공학 연구부장; 누에 인공사료 개발연구 외 | 가산협동마을; 가산협동마을 건설 | ||||
21 | 1980 | 정병욱; 서울대 인문대 교수; [한국고전시가론] 및 [한국고전의 재인식] | 모윤숙; 한국펜클럽 회장; 영운 모윤숙전집 중 [황룡사구층탑] 및 [논개] | 채영복;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응용화학연구부장; 농약국산화를 위한 연구 및 산업화 | 박도현; 한협가금육종농장 대표; 종계육종개발 | ||||
22 | 1981 | 이승원; 원자력산업회의 이사; 전동차주전동기 개발 연구 외 | 김성태; 서울대 명예교수; 축전교정곡 [빛나라 내조국]중 1. 영원한 보금자리 2. 오늘도 탑을 쌓고 3. 우렁찬 나팔소리 | (주)동양시멘트공업 남기동 기술팀; 시멘트공장에서의 소성연료대체를위한 기술개발 | 정계훈; 학교법인 계훈학원 이사장; 교육을 통한 사회봉사 | ||||
23 | 1982 | 송희성; 서울대 자연과학대 교수; 입자물리학 연구 | 김달성; 단국대 사범대 교수; 교성곡 [남해찬가] 외 | 민계식; (주)대우조선공업 기술담당 이사; 선형개발 및 추진성능 연구 | 홍윤화; 한국전력공사; 전력손실방지 및 수용가봉사에 기여 | ||||
24 | 1983 | 신용하; 서울대 사회과학대 교수; 한국근대사회사상사 연구 | 최정희; '삼천리'지 사원; 창작 [화투기] 외 | 장성도; 한국과학기술원 요업재료연구실장; 요업재료에 관한 연구 | 최정호; 한글활자서체연구소 개설(동아출판사 내); 한글활자원도 제작 | ||||
25 | 1984 | 조규철; 가톨릭의대 교수; 신장약리학 연구 | 박화성; 예술원 원로회원; 단편 [미로] 외 | 이재숙; (주)코오롱종합전기 전무이사; 송전철탑제작기술개발로 국산화 및 수출 촉진 | 신석균; 한국발명학회 회장; 줄기찬 노력에 의한 다수 실용적 발명 | ||||
26 | 1985 | 이기문; 서울대 인문대 교수; 국어음운사 연구 | 유경채; 서울대 미대 교수; [날] 시리즈 외 | 안수한; 서울대 공대 교수; 한강하류부 수리모형실험 외 | 변재락; (주)현대중공업 기원; 조선기계가공치공구 개발 및 건조 공정개선 | ||||
27 | 1986 | 윤탁구; 원자력병원장; 홍삼의 암 예방효과에 관한 연구 | 김원; 홍익대 미대 명예교수; [설봉] 외 | 이세중; (주)대우조선공업 전무이사; 해수처리 해상공장건설 기술개발 및 해상구조물 프로젝트 해외시장 개척 | 유원상; (주)동원탄좌개발 사북광업소 사음갱장; 탄광개발기술의 정예화 | ||||
28 | 1987 | 이광린; 서강대 사학과 교수; 한국개화사의 제문제 | 故이주홍; 부산수산대학 명예교수; 중편소설 [깃발이 가는 곳을 향하여] | 양재규; (주)삼성전자 생산기술연구소 소장; 생산기술력제고및 원가절감을 위한 설비 개발 | 김영수; (주)대우전자 구미전자공장 품질관리부 검사과 조장; 독창적인 각종 치구개발로 생산성 향상과 공정개선에 기여 | ||||
29 | 1988 | 심상철;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유기화합물의 광화확 반응에 대한 연구 | 정한숙; 고려대 교수; 단편 [안개거리] 외 | 장낙용; (주)현대자동차 울산공장 공장장; 자동차공장 자동화 및 생산성 향상 | 양기호; (주)한국중공업 주조부 반장; 발전소 및 제철소용 핵심 주강품 소재생산 | ||||
30 | 1989 | 최상수; 한국민속학연구소장; 한국민속학연구전서 전12권 | 한무숙;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창작집 [생인손] 외 | 이주형; (주)삼성전자 정보통신부문 종합연구소 소장; 고부가가치의 전전자식 대용량교환기 및 각종 통신기기 개발 | 故김우현; 사회복지법인 명휘원 이사장 | ||||
31 | 1990 | 조성호;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자기공명방법에 의한 결정고체의 연구 | 조병화; 한국문인협회 이사장; 조병화 시 문학전집(10권) | 장세창; (주)이천전기공업 사장; 초대형 고속 고압전동기의 개발 | 김윤동; 사회복지법인 안동재활원 원장; 장애자의 재활 및 복지사업에 헌신 | ||||
32 | 1991 | 조성식; 고려대 명예교수; 영문법 연구 | 최덕휴; 경희대 명예교수; [향원정의 설경] 외 | 박성규; (주)대우통신 사장; 고부가가치의 개인용 컴퓨터 및 각종 통신기기 개발 | 이경재; 신부 聖라자로마을 원장; "노약, 불구나환자 수용 및 구나사업에 헌신" | ||||
33 | 1992 | 이재영;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재료의 열적,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김남조; 숙명여대 교수; [목숨] 등 20여권의 시집 외 수필 다수 | 유건희; 금성사 금성생산기술연구소장; 유연생산 시스템에 대응한 범용조립 CELL 개발 | 이태영; 한국가정법률 상담소장; 법률구조사업 | ||||
34 | 1993 | 조기준; 고려대 명예교수; 한국자본주의 발전사 | 김순애; 예술원 회원; 오페라 [직녀직녀여], [관현악을 위한 비곡] 외 | 최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신내열합금의 개발 | 김오곤; 대한노인회 충청북도 연합회장; 청소년 선도 및 지역사회발전에 헌신 | ||||
35 | 1994 | 이충희; 한국표준과학연구소 연구위원; 온도측정표준연구 | 권옥연; 예술원 회원; [달맞이 꽃] 외 | 이충구; (주)현대자동차 기술개발담당 부사장; 자동차 산업의 핵심기술 독자 개발 | |||||
36 | 1995 | 이우영; 서울대 화학과 교수; 유기화학의 신분야 개척과 신물질 합성 | 김동원; 예술원 회원; 전통민족연극의 발전에 공헌 | 이승규; (주)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제조본부장; 세계 최초 반도체 8Inch wafer 양산라인 및 16M DRAM 양산 공정기술 개발 | |||||
37 | 1996 | 안병희; 서울대 교수; 국어사 연구 | 최종술; 연세대 교수; 철강상변태와 방진합금에 관한 연구 | 박연희; 예술원 회원; 장편소설 [왕도] 외 | 박건유; 한국과학기술연구소 환경CFC연구원장; 불화탄소 제조공정개발과 기본설계 기술 향상 | ||||
38 | 1997 | 김용직; 서울대 교수; 현국현대시사 | 박춘식; 울산대 교수; Renin 분비조절기전에 관한 연구 | 강신재; 예술원 회원; 역사소설 [광해의 날들] 외 | |||||
39 | 1998 | 유동식; 전 연세대 교수; 풍류도와 한국의 종교사상 | 김화택; 전남대 교수; 반도체의 광학적 특성 연구 | 박민종; 예술원 회원; 바이올린 연주 및 작곡 활동 | 정영태; (주)대한유화공업 기술연구소장; HDPE [고밀도 폴리에틸렌]용 고활성 촉매 및 중합공정 개발 | ||||
40 | 1999 | 윤기중; 연세대 명예교수; 한국경제의 불평등 분석 | 김종진; 한국과학기술원 석좌교수; 강유전체 상전이와 쌍극자 유리상 | 유현목; 예술원 회원; 한국영화미학의 선구적 개척 | 김정엽;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 용해성합성금속과 발광고분자의 개발 | ||||
41[5] | 2000 | 이기동; 동국대 사학과 교수; 신라사회사 연구 | 정경훈;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연소제어 및 유관물질의 입체반응 동력학 | 박노수; 예술원 회원; [수하 백마] 작품의 세계 | 김호기;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전자세라믹스 부품의 개발 및 국산화 | ||||
42 | 2001 | 김영모; 중앙대 교수; 한국 중산층 연구 | 김용해;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해테로원자 유기화학에 관한 연구 | 홍윤숙; 예술원 회원; "[조선의 꽃], [마지막 공부]" 외 | 박항구; (주)현대전자산업 부사장; 세계 최초 CDMA 이동통신 시스템 개발 | ||||
43[6] | 2002 | 남기심; 국립국어연구원장; 현대국어 통사론 | 엄정인; 고려대 교수; 감쇠조화진동자의 양자역학적 연구 | 안형일; 서울대 명예교수; 한국 오페라 활성화 운동의 선구적 역할 | 이덕출; 인하대 교수; 기상성장법을 이용한 고분자박막과 반도체 제조공정 개발 | ||||
44 | 2003 | 전숙희; 예술원 회원; 한국 문학의 활성화에 선구적 역할 | 손욱; 삼성종합기술원장; 제4세대 연구혁신을 통한 세계 최초의 4컬러 원천기술 개발 | ||||||
45[7] | 2004 | 유봉학; 한신대 교수; 조선후기 학계와 지식인 | 윤기현; 연세대 교수; 마이크로파 유전체의 유전기구 규명 | 박석환; 화가; 아름다운 서울 | |||||
46[8] | 2005 | 최재석; 고려대 명예교수; 고대 한일관계사 연구 | 차범석; 예술원 회원; 희곡 창작과 민족연극예술의 선구적 역할 | 김영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생체의료용 고분자기술 연구 및 첨단 의료제품의 개발 | |||||
47 | 2006 | 김광순; 경북대 명예교수; 한국고전문학연구 | 이해웅;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다가오는 양자정보시대를 위한 연구 | 장혜원; 이화여대 명예교수; 피아노연주 및 음반활동 | |||||
48 | 2007 | 유성준; 한국외대 중국어과 교수; 당시연구 및 한중시 비교연구 | 황병국; 고려대 교수; 식물병저항성장물질 및 무공해 천연살균제 개발을 위한 연구 | 이어령; 중앙일보 상임고문; 문화 창달의 선두주자 | 안규홍;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하폐수 초고도 처리용 Nano-Bio 분리막 공정 및 KIKEA 공정의 개발 | 이원범; 3·1운동기념 사업회 이사장; 3·1정신 선양과 미래세대의 육성을 위해 평생 헌신 | |||
49[9] | 2008 | 박우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경제학의 기본원리 분석 | 조봉래; 고려대 교수; 팔중극자 비선형과학물질과 이광자 염료에 대한 연구 | 유희영; 이화여대 명예교수; "생면추상작품", "작품 95-1, 작품 2000-R" | 권익현; (주)효성기술원 상용화연구소 연구소장; PEN(Poly Ethlene Naphthalate)의 원료인 NDA 제조공정 개발 | 동아일보사; 3·1정신 선양과 대국민 계몽에 크게 공헌 | |||
50[10] | 2009 | 고영근;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민족어의 수호와 발전 | 변수일; 한국과학기술원 명예교수; 기능성 전기화학 재료에 관한 통섭 반응 모델 확립 | 이영자; 한국여성작곡가회 명예회장; 작곡 및 연주 활동 | 박중현; 서울대 명예교수; 급속여과의 공기발생에 관한 연구 외 | 재일본대한민국민단; 3·1정신 선양과 재외국민 역량 결집에 크게 공헌 | |||
51[11] | 2010 | 이태진; 서울대 명예교수; 일제식민주의로 왜곡된 민족사 바로잡기 | 이명철; 서울대 교수; 핵의학의 선구적 및 세계적 리더십 확보 | 이인영; 서울대 명예교수; 오페라와 성악교육의 선구적 역할 | 신동식; (주)한국해사기술 회장; 해양특수선 개발 및 상용화 | 3·1절기념봉화제추진위원회; 3·1운동과 유관순의 비폭력평화주의를 지역축제·국민 축제로 승화 | |||
52[12] | 2011 | 김두철; 고등과학원 원장; 통계물리학연구의 중추적 역할 | 조수호;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한국서예교육의 선도자 국제화 선봉 | 김문한; 서울대 명예교수; 건설기술의 개발과 건설산업 발전의 선구자 | 조선일보사; 3·1정신 현대화와 민족단결에 크게 공헌 | ||||
53[13] | 2012 | 최종고; 서울대 법대 교수; 세계화시대의 한국과 동아시아법철학의 성립 | 이익춘; 인하대 명예교수; 화학반응 메커니즘의 새 판별법 설정 | 이호철;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한국분단문학의 큰 산 | 이창건; 한국원자력문화진흥원 원장; 원자력기술자립 추진과 전력산업기술기준 제정 책임 | ||||
54[14] | 2013 | 이한구; 성균관대 명예교수; 객관주의 역사학의 정당화를 통해 현대 역사철학의 새로운 장을 열다 | 이기화; 서울대 명예교수; 국내 지구물리학의 개척과 한반도 지진 연구 | 민경갑; 단국대 예대 석좌교수; 오늘도 자연에 길을 묻는다 | 구민세; 인하대 명예교수; 경제적이며 장지간화 된 거더 교량 건설기술 개발 | (사)재독한인총연합회; 국가발전에 기여하고 3·1정신의 선양에 앞장서다 | |||
55[15] | 2014 | 남풍현; 단국대 명예교수; 구결, 이두, 향찰, 자료를 발굴 해독 | 김수봉; 서울대 교수; 국내 최초의 소립자 검출시설 구축 | 원정수; 인하대 건축공학과 명예교수; 건축문화발전에 기여 | |||||
56[16] | 2015 | 오병남; 서울대 명예교수; 한국 미학 연구의 방향 제시 | 박규택;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520여 신종 나방 발견 | 나인용; 연세대 명예교수; 전통음악에 뿌리 둔 현대음악을 작곡 | 이동호; 경북대 명예교수; 폴리올레핀 중합 촉매 개발 | ||||
57[17] | 2016 | 김화경; 영남대 명예교수; 일본 사료를 통한 독도의 영유권 연구 | 서진근; 연세대 교수; 수학적 이론으로 생체 저항률 단층 촬영기법 개발 | 박만규; 한국뮤지컬협회 고문; 한국 뮤지컬의 개척과 국제화 | |||||
58[18] | 2017 | 김인준; 서울대 명예교수; 경제위기에 관한 거시경제적 실증연구 | 김대수;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뇌질환 치료를 위한 신경회로 조절 기술 개발 | 김백봉;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한국무용의 고유한 예술적 가치 및 교육체계 정립 | 서승우; 서울대 교수; 자율주행자동차를 위한 3차원 고정밀지도 제작기술 등 핵심기술 개발 | ||||
59[19] | 2018 | 이승재; 서울대 교수; 고대 국어 연구의 선도적 업적 | 이호영; 서울대 교수; 분자표적 항암제 내성 기전연구를 통한 만성 폐쇄성 폐질환 및 폐암의 예방/치료용 복합항암요법 개발 | 성영철; 포항공대 교수·(주)제넥신 회장; Bio의약품 연구 개발 및 기술 수출 | |||||
60[20] | 2019 | 김병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교수; 광섬유 소자의 기초연구와 응용의 신개념 개척 | 박수길;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한국 오페라 위상 제고에 헌신한 대표적 바리톤 | 서진호; 서울대학교 교수; 식품 소재의 친환경적 생산이 가능한 미생물 공장화 기술 개발 | 이건영, 이석영, 이철영, 이회영, 이시영, 이호영 가문; 독립운동에 헌신한 최재형 가문; 러시아 연해주를 근거로 한 항일 독립운동의 선구자 | ||||
61[21] | 2020 | 박희병; 서울대학교 교수; 통합인문학으로써 한국학 연구의 선도적 업적 | 김정한; 고등과학원 교수; 조합론과 전산수학의 난제 해결 등 세계적 업적 | 박정자;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연극배우로서 한국 연극의 발전에 헌신 | 조동우;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조직 특이적 바이오 잉크 최초 개발 및 실용 기술 구현 | ||||
62[22] | 2021 | 이성규;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중국 고대국가의 통치와 문명을 창의적으로 해석 | 이효철;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화학반응에서의 분자 내 화학결합 형성의 근본적 원리 규명 | 윤후명; 소설가; 집요한 절대 자아의 추구와 독보적인 개인주체의 발견 | 안종현; 연세대학교 교수; 이차원 나노소재 개발 및 플렉서블 웨어러블 전자소자 적용 기술 구현 | ||||
63[23] | 2022 | 심경호;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소학을 바탕으로 한 심도깊은 한문학 연구 | 김광수; 하버드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환자 유래 역분화 줄기세포를 통한 파킨슨병 치료 | 구본창; 사진작가; 사진을 현대미술의 한 장르로 개척한 작가 겸 전시기획자 | 이경무; 서울대학교 교수; 인공지능 연구를 선도하는 세계적 석학 | ||||
64[24] | 2023 | 조승우; 연세대학교 교수; 줄기세포와 조직공학 기반 인공 뇌 구현 |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 한국 클래식 음악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린 연주가·예술행정가·교육자 | 송재복; 고려대학교 교수; 세계적 수준의 로봇 기술 개발 및 기술 이전을 통한 국내 로봇 산업 발전에 기여 | |||||
65[25] | 2024 | 곽충구; 서강대학교 교수; 아시아 전역 이주 한인의 한국어를 집대성한 연구 | 김유수; 도쿄대학교 교수; 에너지 이동 및 변환 과정을 이용한 단분자 분광법의 개발 | 김영재; 국악인; 전통음악의 올바른 전승·발전과 교육에 헌신 | 안성훈; 서울대학교 교수; 적정 스마트 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공학 문제 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