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 관계
사우디아라비아 |
아랍에미리트 |
|---|---|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 관계는 정치적, 문화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공유하는 두 이웃 국가 간의 관계를 말한다. 두 나라는 외교 정책, 지정학적 이해관계, 경제적 이해관계, 군사 동맹 측면에서 긴밀한 동맹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1]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부다비에 대사관과 두바이에 총영사관을 두고 있으며, 아랍에미리트는 리야드에 대사관과 지다에 영사관을 두고 있다. 두 나라는 동아라비아 및 중동 지역에 속하며, 서로 긴 국경을 공유한다. 또한 두 나라는 아랍 연맹, 이슬람 협력 기구, 걸프 협력 회의의 회원국이다.
역사
[편집]아랍에미리트 독립 선언
[편집]1971년 아랍에미리트의 독립 선언 이후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부다비 토후국과 부라이미 분쟁에서 발생한 영토 분쟁을 근거로 사우디아라비아와 셰이크 자예드 빈 술탄 알 나흐얀의 대통령 인정을 보류하고 연방을 우회하는 개별 토후국 국가로서 토후국과 계속 거래했다. 1974년, 파이살 국왕은 셰이크 자예드로부터 UAE의 국가 인정을 위해 사우디아라비아의 협력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요청을 받고 국경 문제에 대한 협상을 열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파이살 국왕은 사우디 군대가 패배하고 강제로 철수한 부라이미 분쟁을 처리하는 것이 왕국에 대한 큰 모욕이며 복수해야 할 타격이라고 생각했다. 파이살 국왕은 1972년 7월, 타이프에서 자신을 방문한 UAE 대표단에게 사우디아라비아가 부라이미에서 굴욕을 당했으며, 아버지와 할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재산을 포기하지 않겠다고 다짐하며 사우디의 권리를 되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셰이크 자예드는 합의에 더 열망했지만 사우디아라비아의 요구는 비현실적이었으며, 그 중 일부는 유전이 포함된 아부다비 토후국의 광범위한 토지 합병을 주장했다.[2]
1974년 8월 21일, 셰이크 자예드와 파이살 국왕은 아부다비 토후국과 사우디아라비아 간 국경을 획정하는 제다 조약을 체결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즉시 아랍에미리트를 승인하고 대사를 파견했으며, 두바이에 있던 연락사무소를 총영사관으로 승격시켰다.[2]
카타르 외교 위기
[편집]아랍에미리트는 2017년 카타르의 테러 지원 혐의로 인해 사우디아라비아가 주도한 카타르와의 단교 연합에 참여하며 카타르 외교 위기를 초래했다.[3][4]
2017년 5월, 익명의 소식통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가 카타르에 대한 공동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 침공을 계획했으나, 미국의 반대로 결국 중단되었다고 주장했다.[5][6]
2020년 아랍에미리트-이스라엘 관계
[편집]사우디아라비아는 이스라엘과 아랍에미리트 간의 관계 수립 협정 (이스라엘이 요르단강 서안 지구 합병을 중단하는 조건으로 2020년에 체결)에 대해 침묵을 지켰다.[7] 이 협정은 사우디아라비아가 주도한 2002년 아랍 평화 구상과 상충되는 것으로 보였으며, 아랍 국가들과의 정상적인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이스라엘이 점령지 전체에서 철수해야 하는 조건을 요구하는 것이었다.[8]
경제 관계
[편집]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는 AI 및 반도체 분야에 모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으며, 지역 은행과 국가 지원 투자자들의 상당한 기여가 이루어지고 있다.[9]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Saudi Arabia and UAE launch new economic and military alliance”. 《Financial Times》. 2017년 12월 5일.
- ↑ 가 나 Taryam, Abdulla Omran (2019). 《The Establishment of the United Arab Emirates 1950-85》. Routledge. 194–195, 220쪽. ISBN 9781138225787.
- ↑ “A Saudi Prince's Quest to Remake the Middle East”. 《The New Yorker》. 2018년 4월 9일.
- ↑ “"Un-Brotherly" Saudi-Emirati Ties”. 《Middle East Forum》. 2018년 3월 1일.
- ↑ “A Saudi Prince's Quest to Remake the Middle East”. 《The New Yorker》. 2018년 4월 9일.
- ↑ “Saudi Arabia Planned to Invade Qatar Last Year. Rex Tillerson's Efforts to Stop It May Have Cost Him His Job”. 《The Intercept》. 2018년 8월 1일.
- ↑ Rami Ayyub (2020년 8월 14일). “UAE's Israel deal met with Arab dismay but quiet welcome in Gulf”. 《Reuters》.
- ↑ Maha El Dahan; Marwa Rashad (2020년 8월 14일). “As UAE hails Israel accord, silence from Saudi Arabia”. 《Reuters》.
- ↑ Nair, Adveith (2024년 7월 1일). “Saudi Arabia, UAE Bet on Semiconductor Chips to Power Post-Oil Future”. 《Bloomberg》. 2024년 7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 관계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