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Jdlrobson/mainpagetest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Scope your styles inside a media query. This means they will only apply on tablet or desktop.  */
@media all and ( min-width: 720px ) {
.leftbox {float: left; overflow: hidden;}
#mp_contents { float: left; width: 62.99%; height: 100%; }
#mp_contentsR { width: 36.99%; height: 100%; float: right;}
.language-box,
.sister-box,
.mp_contentsboxtitle > div {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

.mp_header_left {float: left; width: 0em; height: 0em; margin: -0.5em 0em 0em -2.5em; overflow: visible;}
.mp_header_left_2 {float: left; margin-left:115px;}


}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위키백과는 전 세계 여러 언어로 만들어 나가는 자유 백과사전으로, 누구나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에는 문서 726,695개가 실려 있습니다.

프리츠 야코프 하버(독일어: Fritz Jakob Haber, 1868년 12월 9일 ~ 1934년 1월 29일)는 암모니아의 합성법인 하버법을 개발하여 191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화학자이다. 이온결합성 고체의 격자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막스 보른과 함께 개발하여 현재 본-하버 사이클이라 불린다.

제1차 세계 대전염소가스를 비롯한 여러 독가스를 개발 및 합성했던 일로 인해 "화학전의 아버지"로 불리기도 한다. 이처럼 화학 무기 개발에 앞장선 것에 대한 죄책감이 부인을 자살하게 만들었다고도 전해진다.

하버는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공헌했음에도 불구하고 유대인이라는 이유 때문에 1934년 나치당에 의해 홀대받고 하버는 자발적으로 독일을 떠난다. 친척 중 여러 사람이 나치의 집단수용소에서 죽음을 당했는데, 이 때 하버가 만든 독가스인 치클론 B가 사용되었다. 프리츠 하버는 피란 도중 스위스 바젤에서 사망하였다.

뒤러의 코뿔소(Dürer's Rhinoceros)는 알브레히트 뒤러르네상스 시대인 1515년에 제작한 목판화이다. 그림은 1515년 초 리스본에 도착한 인도코뿔소를 보고 어느 화가가 묘사한 글과 간단한 스케치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뒤러의 목판화는 코뿔소의 정확한 모습을 묘사하지 못했다. 뒤러는 코뿔소를 목에는 고지트, 가슴 쪽에는 흉갑, 그 사이를 잇는 리벳이 있는 갑옷같이 딱딱한 판으로 몸이 둘러싸인 동물로 묘사하였다. 또, 코뿔소의 등에 뒤틀린 작은 뿔을 그렸고, 비늘로 뒤덮어진 다리와 톱과 같이 뾰족한 엉덩이도 그렸다. 하지만 실제로 이러한 특징은 코뿔소에서 찾아 볼 수 없다. 이런 구조적 오류에도 불구하고, 뒤러의 코뿔소는 유럽에서 매우 유명해졌고, 그 후 3세기 동안 많은 복사본들이 판매되었다. 서양인들은 18세기 후반이 될 때까지 그것을 진짜 코뿔소의 모습으로 생각했다. 결국은 1740년대에서 1750년대 사이에 유럽을 돌아다닌 클라라라는 코뿔소를 그린 그림과 같은 더 현실적이고 세밀한 그림들이 뒤러의 코뿔소를 대신하게 되었다. 뒤러의 목판화는 "아마 어떤 동물 그림도 예술에 이 정도로 큰 영향을 끼친 적이 없을 것이다."라고 평가된다.

빌 클린턴
빌 클린턴

11월 3일: 파나마·도미니카 연방·미크로네시아 연방독립기념일, 일본문화의 날

다른 날짜: 11월 2일 - 11월 3일 - 11월 4일
  • 사나다 마사유키(그림)는 일생을 살며 자신의 주군을 7차례나 바꾼 장수로 유명합니다. 그 중에서도 덴쇼 진고의 난에서 사나다 마사유키는 주군을 세 번이나 바꿨습니다. 이런 그의 처세술에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겉과 속이 다른 자'라고 평가했습니다.
  • 미국 독립 전쟁 당시 영국 편에서 섰던 독일인에 대해 미국인들은 "헤센병"이라고 불렀습니다. 이는 미군이 싸웠던 주요 군인들의 국적이 헤센카셀 방백국헤센하나우 백국에서 왔기 때문입니다.
  • 을축년 대홍수는 1925년 발생한 대홍수이지만, 이 홍수를 통해 현재 서울 동부의 여러 역사 유적이 발견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 때 발견된 유적에는 풍납토성암사동 선사주거지 등이 있습니다.
  • 남양주시의 지명은 양주군의 남쪽이라는 뜻에서 유래했습니다. 양주목이 설치된 1506년부터 1980년 남양주군 분리 때까지 양주와 남양주는 하나의 행정 체계인 양주로 묶여 있었습니다.
  • 남성용 소변기와 같이 여성이 소변을 빠르게 볼 수 있도록 디자인된 여성용 소변기도 출시되고 있습니다.

위키백과위키를 이용하여 전 세계 사람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웹 기반의 다언어 백과사전입니다. 위키백과는 중립적이고 검증 가능자유 콘텐츠 백과사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젝트로, 누구나 참여하여 문서를 수정하고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는 다섯 가지 기본 원칙에 따라 운영됩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복사, 수정과 배포가 자유롭고 상업적 목적의 사용도 가능합니다.

위키백과 참여하기

모든 사용자는 위키백과에 직접 참여해 확인 가능 지침문서 등재 기준 지침, 편집 지침 등 위키백과의 기본적인 규칙을 준수하여 문서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문서 편집은 과감하게 해주세요.

위키백과에는 여러분을 돕기 위해 많은 문서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인 길라잡이부터 새 문서를 만드는 방법, 그림 사용 방법 등이 친절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나 사용법에 대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FAQ을 참고하시고 질문방에 질문하는 것을 주저하지 마세요. 요청을 남기면 다른 사용자들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Bluespotted ribbontail ray (Taeniura lymma), Red Sea, Egy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