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미래의학연구재단
보이기
김효수(金孝洙, 1959년~)는 대한민국의 의사이자 의학자이다. 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심혈관 질환의 줄기세포 치료 및 유전자 치료 분야의 권위자로 알려져 있다.
학력
[편집]- 1978.03 – 1984.0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예과-의학과 학사[1]
- 1985.03 – 1987.02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과대학원 석사[2]
- 1987.03 – 1994.08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과대학원 박사[3]
경력
[편집]- 2024년 9월 ~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연구교수[4]
- 2023년 1월 ~ 현재: Asia Pacific Society of Cardiology 회장[5]
- 2021년 1월 ~ 2022년 12월: 대한심장학회 이사장[6]
- 2020년 6월 ~ 2023년 3월: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의생명연구원장[7]
- 2016년 10월 ~ 2018년 10월: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이사장[8]
- 2016년 4월 ~ 2018년 4월: 대한심혈관중재학회 이사장[9]
- 2009년 1월 ~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세포유전자치료센터 센터장[10]
- 2012년 7월 ~ 2016년 6월: 서울대학교병원 심혈관센터장, 순환기내과장[11]
- 1994년 3월 –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12]
상훈
[편집]- 2021년, 2022년, 2023년: 함춘 창의 논문상 (서울대학교병원)[13]
- 2016년: 근정훈장 (대통령실)[14]
- 2014년: 제24회 분쉬의학상 본상 (대한의학회)[15]
- 2008년: 제1회 아산의학상 대상 (아산재단)[16]
활동 분야
[편집]김효수 교수는 다양한 연구 및 대외 활동을 통해 국내외 심혈관 분야 발전에 기여했다.
심혈관연구단
[편집]김효수 교수가 이끌었던 심혈관연구단의 활동과 연구 성과에 대한 기사를 아래에 첨부할 수 있습니다.[17]
- 관련 기사 링크 (1)
- 관련 기사 링크 (2)
- 관련 기사 링크 (3)
- ...
앙코르서울
[편집]앙코르서울 관련 고화질 사진을 아래에 삽입할 수 있습니다.
미래의연
[편집]미래의연 관련 사진을 아래에 삽입할 수 있습니다.
킴셀앤진
[편집]킴셀앤진 관련 사진을 아래에 삽입할 수 있습니다.
주요 논문
[편집]김효수 교수는 심혈관질환 분야의 다양한 연구를 선도하며 여러 권위 있는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했다.
Lancet 및 주요 저널 논문
[편집]- **HOST-BR Trial**: Jeehoon Kang, Kyung Woo Park, Jung-Kyu Han, Doyeon Hwang, Han-Mo Yang, Sungjoon Park, Hyo-Suk Ahn, Kyung-Kuk Hwang, Byung Gyu Kim, Jin-Ok Jeong, Jong-Hwa Ahn, Jay Young Rhew, Hanbit Park, Tae Soo Kang, Jin-Sin Koh, Kyung-Taek Park, Duk Won Bang, Choong-Won Goh, Hyuck-Jun Yoon, Sang-Ho Jo, Ji Yong Jang, Young Jin Choi, Sang Rok Lee, Young-Hyo Lim, Hyo-Soo Kim. "Dual Antiplatelet Therapy After PCI According To Bleeding Risk: The HOST-BR Trial". Lancet (in press)[18]
- Koo, B. K., Kang, J., Park, K. W., ... , Hyo-Soo Kim. "Aspirin versus clopidogrel for chronic maintenance monotherapy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HOST-EXAM)". Lancet. 2021년.[19]
- Kim, H. S., Kang, J., Hwang, D., ... , "Prasugrel-based de-escalation of dual antiplatelet therapy... (HOST-REDUCE-POLYTECH-ACS)". Lancet. 2020년.[20]
- Koo, B. K., Kim, Y. S., Park, K. W., ... , Kim, H. S.. "Effect of celecoxib on restenosis after coronary angioplasty with a Taxus stent (COREA-TAXUS trial)". Lancet. 2007년.[21]
- Kang, H. J., Kim, H. S., Zhang, S. Y., ... , "Effects of intracoronary infusion of peripheral blood stem-cells...on left ventricular systolic function... (MAGIC cell randomised clinical trial)". Lancet. 2004년.[22]
리지스틴, 캪1, PCSK9 분야 논문
[편집]- Lee, S., Lee, H. C., Kwon, Y. W., ... , Kim, H. S. "Adenylyl cyclase-associated protein 1 is a receptor for human resistin...". Cell Metabolism. 2014년.[23]
- Hur, J., Choi, J. I., Lee, H., ... , Kim, H. S. "CD82/KAI1 Maintains the Dormancy of Long-Term Hematopoietic Stem Cells...". Cell Stem Cell. 2016년.[24]
- 논문 제목: PCSK9 관련 논문 제목 (1)[25]
- 논문 제목: PCSK9 관련 논문 제목 (2)[26]
- 논문 제목: PCSK9 관련 논문 제목 (3)[27]
- 논문 제목: PCSK9 관련 논문 제목 (4)[28]
- ↑ https://medieus.com/sub_detail/doctor_detail.asp?doc_num=30283 출처: 서울대학교 동문 정보 또는 공식 이력
- ↑ https://medieus.com/sub_detail/doctor_detail.asp?doc_num=30283 출처: 서울대학교 동문 정보 또는 공식 이력
- ↑ https://medieus.com/sub_detail/doctor_detail.asp?doc_num=30283 출처: 서울대학교 동문 정보 또는 공식 이력
- ↑ https://www.snuh.org/board/B003/view.do?bbs_no=7177 출처: 서울대학교병원 공식 발표 또는 언론 기사
- ↑ https://www.apscardio.org/about-apsc.html 출처: 해당 학회 공식 웹사이트
- ↑ https://www.circulation.or.kr/about/index.php?sub_num=5 출처: 대한심장학회 연혁 또는 언론 기사
- ↑ https://www.mediapen.com/news/view/529536 출처: 서울대학교병원 공식 발표
- ↑ https://www.lipid.or.kr/conferences_journals/executives3.php 출처: 학회 공식 웹사이트
- ↑ https://www.kscvi.org/kr/conference/executive.php 출처: 학회 공식 웹사이트
- ↑ https://bri.snuh.org/bris001/bris001_3/_/singlecont/view.do 출처: 서울대학교병원 공식 웹사이트
- ↑ https://www.kookje.co.kr/mobile/view.asp?gbn=v&key=20210419.22014005033 출처: 서울대학교병원 공식 웹사이트
- ↑ https://medicine.snu.ac.kr/fnt/bbm/sbbs/selectBbsSmpleDetail.do?bbsId=BBSMSTR_000000000020&nttId=27974 출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공식 이력
- ↑ 출처: 서울대학교병원 시상 내역
- ↑ https://www.medicaltimes.com/News/1108923 출처: 정부 시상 기록 또는 언론 기사
- ↑ https://www.fnnews.com/news/201411200955479378 출처: 대한의학회 공식 발표
- ↑ https://www.munhwa.com/article/10623570 출처: 아산재단 공식 발표
- ↑ 출처: 관련 기사 링크
- ↑ 출처: 논문 링크 (DOI) 또는 공식 발표
- ↑ 출처: 논문 링크 (DOI)
- ↑ 출처: 논문 링크 (DOI)
- ↑ 출처: 논문 링크 (DOI)
- ↑ 출처: 논문 링크 (DOI)
- ↑ 출처: 논문 링크 (DOI)
- ↑ 출처: 논문 링크 (DOI)
- ↑ 출처: 논문 링크 (DOI)
- ↑ 출처: 논문 링크 (DOI)
- ↑ 출처: 논문 링크 (DOI)
- ↑ 출처: 논문 링크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