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Zephyr1981/보존문서
![]() |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아래의 내용을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
~ 2008년 1월 (목차 번호 1~6) |
---|
전북대학교반갑습니다!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다른 곳에서 연혁을 가져오는 것을 금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부분은 삭제되어야 합니다. 또한 올리신 전북대학교 로고는 저작권 문제로 인하여 부득이 삭제될 것입니다. 끝으로 ‘미리 보기’ 버튼을 눌러서 결과를 미리 보시기를 권유합니다. 잦은 편집은 ‘최근 바뀜’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며, 문서의 편집 역사를 알아보기 힘들게 만듭니다. --정안영민 2007년 10월 16일 (화) 22:06 (KST)
넘겨주기툴라마린 국제공항 툴라마린 공항처럼 명칭 사용이 여러개가 가능한 경우에는 주문서외의 다른 문서는 넘겨주기문서로 만들면 됩니다. 사용법은 넘겨주기 문서의 편집으로 가서 편집창 아래 #REDIRECT[[]]를 누르시거나 직접 타이핑하시고 괄호안에 주문서의 이름을 넣어주면 됩니다. --촌철살견 2008년 1월 19일 (토) 22:56 (KST)
BreinigerbergIch habe gelesen, dass du Deutsch sprichst. Wärst du bereit, für mich einen kurzen Artikel über meinen Ort de:Breinigerberg in Koreanisch zu schreiben? Wenige Sätze wären bereits genug. Herzlichen Dank! Gruß --BBKurt 2008년 1월 20일 (일) 01:31 (KST)
Danke. 1 oder 2 Sätze würden mir schon reichen. --BBKurt 2008년 1월 22일 (화) 07:06 (KST)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항공사에 참가하세요Zephyr1981님의 관심사를 보니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항공사에 참가하신다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관심사를 타인과 공유하는 것과 함께 위키프로젝트의 활성화에 기여를 해보시는건 어떠신가요? BongGon 2008년 1월 23일 (수) 03:35 (KST)
한국어 위키백과에 그림을 올리실 때안녕하십니까. 그림을 올리실 때는 적절한 파일 이름을 정해주세요. 예를 들자면
한국어 위키백과에만 한국어 파일 이름을 올리실 수도 있습니다. -- LERK (의논 / 일지 / 편지 / 公 / 日辭 / 辭 / 漢字위키) 2008년 1월 28일 (월) 18:46 (KST)
그리고 올리신 그림에 출처를 표시해주시기를 부탁합니다. 스스로 찍으신 사진이라고 생각됩니다만 그렇다면 그 사실을 밝혀주시고 찍은 날짜를 적어 주시길 부탁합니다. 이는 나중에 라이선스 정보를 정확히 판단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귀찮게 하는것 같아 죄송합니다. -- 피첼 2008년 1월 28일 (월) 19:57 (KST)
직접 찍은 사진이라 하더라도 저작권자 및 라이선스 등의 관련 정보는 중복이라 생각하더라도 적어주세요. 그래야 다른 사람이 그 그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림 정보}}를 이용하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ChongDae 2008년 1월 29일 (화) 17:19 (KST)
안녕하세요, 위키백과토론:비자유 자료 인용 사용에 의견 정리 했으니 한번 봐주시길 바랍니다.--위키아비 2008년 1월 29일 (화) 17:07 (KST)
|
2008년 2월 (목차 번호 7~14) |
---|
분류는 반드시 해야합니다--위키아비 2008년 2월 2일 (토) 17:52 (KST)
{{환영}} 틀 사용 관련.안녕하세요? {{환영}} 틀 사용관련해 말씀드립니다. 환영틀은 보통 '1회 이상의 기여'가 있는 사용자분께 원칙적으로 달아드리고 있습니다. 이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수고하십니다. --해피해피 2008년 2월 3일 (일) 00:42 (KST)
부탁죄송하지만 New, paper notes for 5 to 100 tala were introduced in late 2005, making it unlikely that more polymer notes will be introduced in the near future. 문장 번역 가능하신지?--위키아비 2008년 2월 14일 (목) 19:00 (KST)
만덕고등학교 문서 말인데요.학교 근처의 주요 건물을 적어뒀는데 이 내용을 삭제하는 설명이 'POV 내용 삭제'라는 설명을 잘 모르겠네요. POV를 위반했다는 건가요? 그렇다면 전 그렇게 보지 않습니다. 이유 설명 부탁합니다. --Hohonn 2008년 2월 16일 (토) 13:39 (KST)
네이버 백과사전 등에 올려진 표준 표기법에 의거하여 올렸습니다. 만약에 원어 발음대로 하시고자 하신다면 별도의 토론을 전개해주시고 그에 맞는 합당한 이유를 제시해주셨으면 해요. :) BongGon 2008년 2월 19일 (화) 00:55 (KST)
반달 행위수고하십니다! 그런데 ‘반달 행위’란 말은 쓰지 말자고 여러 번 이야기되었던 단어입니다. ‘문서 훼손’이나 그 밖에 상황에 따라 적절한 말로 바꿔서 사용하시면, 신규 사용자가 더 쉽게 내용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정안영민 2008년 2월 19일 (화) 02:00 (KST)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통화 정보 참가 가능 여부안녕하세요. 혹시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통화 정보에 관심있으세요?--위키아비 2008년 2월 20일 (수) 13:25 (KST)
엑스 재팬기존의 문서가 내용이 빈약하여 제작중인 문서로 링크를 걸었을 뿐입니다. 제가 아닌 다른 분이 엑스 재팬 문서를 미리 제작중이실 수도 있기에 제가 제작중이라는 것을 보여드리기 위해 이렇게 했습니다. --月兒 2008년 2월 23일 (토) 13:55 (KST)
|
2008년 3월 (목차 번호 15~30) |
---|
프랭크 더프의 글에 관하여안녕하세요. 지적해 주신 말씀 잘 보았습니다. 그런데 좀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어서요. 어떤 곳의 글을 옮긴다는 것만으로 저작권 침해가 되는지요? 제가 글을 인용한 것은 사실이지만 해당 사이트는 저작권에 관한 이야기가 없었으며 상업적인 이용이 아닌 다음에는 복사를 허용하는 사이트인 것을 제가 잘 알기에 좀 인용을 했습니다. 더구나 신앙에 관한 글은 적대감이나 상업적인 목적이 아닌 선의의 목적이라면 굳이 저작권을 운운할 이유는 없다고 보아지는데요. 우선 제가 글을 복사한 사이트(서울 세나뚜스)는 저 스스로가 잘 알고 있는 사이트이고 해서 크게 무리가 없다는 판단하에 한 것인데 .... 이 곳 위키에서의 방침에 어떤 장애가 되는지 잘 몰라 한 번 여쭙고 싶습니다. 단지 글 몇 줄 옮긴 것이 저작권 침해라면 (다른 이유 없이) 이 곳의 방문을 앞으로 할 이유가 없겠네요. 이 곳에서 글을 옮겨 가는 것도 저작권 침해가 될테니까요. 자료의 완성을 위한 목적이라면 좀 이해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요. 속 시원하게 저의 궁금증을 풀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송남술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내용은 잘 보았습니다. 제가 귀하로부터 삭제 요청을 당한 글의 내용은 우선 반야심경과 지금의 프랭크 더프의 글입니다. 지난 번 반야심경의 글을 통해 삭제된 것을 보고 생각한 것은 .. 우선 경전은 (물론 그 해석을 한 사람의 저작권 문제는 있을 수 있지만) 모두에게 허락된 글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편적인 생각이라고 하면 좀 어거지라 하실 건가요? 원문과 한글역과 해설을 함께 실었는데 혹여 저작권 침해의 우려가 있다면 그저 원문만이라도 살려 주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기분이 나쁜 것은 아니고 무척 서운하더라고요. 그리고 프랭크 더프의 글은 ... 물론 명시적인 내용은 없습니다만 ... 이 세나뚜스 사이트의 내용은 어찌 보면 거의가 교육의 목적 내지는 홍보의 목적이 다분히 있는 사이트이기 때문에 저 나름대로의 판단하에 글을 수정하여 올린 것입니다.(아직 일부분이라서 좀 그렇지만 ...) 그리고 이 글은 모두에게 유용하다는 판단이 나름대로 서 있어서 작업을 시작한 것이고요. 프랭크 더프는 레지오 창설자입니다. 저는 지금 레지오 마리애 관련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글을 작업할 때 저작권 문제를 제가 잘 몰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그런 것으로 인하여 작업이 원할하게 되어지지 않는다면 좀 그렇네요. 우선 서울 세나뚜스에서 항의를 할 이유는 없을 것입니다. 다만 이러한 제재를 계속 당하게 되면 이러한 작업을 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좀 어려움이 많겠다 싶네요. 저 나름대로 구체적인 게획하에 작업을 하는데 번번히 제재를 당하면 좀 시간낭비도 있고 ... 무슨 의미가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 아직 여기의 스타일을 잘 몰라서 제가 그러는지는 몰라도 시작부터 좀 그러네요. 그럼 ... --작은이 2008년 3월 2일 (일) 21:11 (KST)--
호주에 관심이 있으신가요?안녕하세요, 기여하시는 문서를 보니 호주 여행한 것을 좋아하신것 같습니다. 재미있으셨나요?--위키아비 2008년 3월 3일 (월) 00:20 (KST)
넘겨주기단순히 원어에서 표제어로의 넘겨주기는 만들지 않고 있습니다. :) --퇴프 2008년 3월 9일 (일) 02:54 (KST)
블랙잭 관련 문서 삭제 신청에 관하여.??한국 WIKI에서는 제품에 대한 언급및 사용법에 관한 게시자체가 금지 대상인가요?? 위키가 기존의 모여진 자료를 정리하는 편하다고 생각하여 이용할려고 했는데 처음 사용자라,,,작성 시작한지 몇분 되지도 않아 삭제 신청이라고 뜨니 당황스럽습니다. 외국 사이트에 같은 기종의 영문 메뉴얼 및 트윅방법 및 기타 자세한 정보가 있길래 한국 사이트에 작성을 하려고 한건데요. 한국은 정보에 대한 기준이 협의적인것 같습니다. 일개 제품 관련 정보를 올려 죄송합니다. 삭제는 어떻게 하는지....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Jtloveu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논산천안고속도로'고속국도 노선 지정령'에 해당 고속도로는 논산천안고속도로입니다. 운영주체가 사용한다는 주장은 도로명으로써 사용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회사명으로써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잘못된 주장입니다. 어찌 생각하시는지? 지명이 들어간 도로명은 원칙적으로 동에서 서로, 남에서 북으로 이름짓습니다. 역시 대구부산고속도로도 잘못된 표현이나,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에서는 이도로를 중앙고속도로로만 규정하고 있기에, 도로명을 굳이 구별하자면 회사명인 대구부산고속도로라고 쓰는 것이 무방하리라 봅니다. 하지만 논산천안고속도로는 대통령령으로 규정된 바, 논산천안고속도로로 칭함이 옳습니다. Jonsoh 2008년 3월 14일 (금) 02:29 (KST)
괴물 그림말입니다..[1]에서 가져온 그림입니다. 김중갈 2008년 3월 14일 (금) 16:32 (KST)김중갈
대단하십니다.호주에 관심있으신 산들바람님, 호주 관련 문서를 많이 올리신 것, 대단하십니다. 주로 영어를 번역해서 문서를 만드시나요?--A. W. Roland 2008년 3월 16일 (일) 20:44 (KST)
인물 사전 등록시 프로필 사진에 관하여...안녕하세요. 산들바람님! 본론으로 바로 들어가서, 제가 올린 인물 사전 등록(민효린)에 쓰인 이미지에 대하여 저작권을 이유로 삭제요청을 하셨더군요. 이 사진에 대해서는 카페 정보 프로필에도 쓰여진 사진이라, 간단한 출처 표시와 함께 사용허락이 되는줄 알았습니다. 이에 대해 어떠한 절차가 필요한지 정확하게 알려주십시오. 어떻게 해야 저작권으로 인한 삭제요청이 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후에 이미지 재업로드시 반영할 것입니다. 이번 조치에 대해 조금은 혼란스럽군요. 빠른 시일내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 이 의견을 2008년 3월 24일 (월) 00:35에 작성한 사용자는 Sudal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제가 안내소에 올린 질문 대답해주실수 있으세요?--A. W. Roland 2008년 3월 24일 (월) 16:10 (KST)
자바 애플릿의 문제가 아니었네요. 틀이 꽤 복잡하군요. style css의 경우 잘 모르는 부분이라서 도움을 드리기가... -- 산들바람 2008년 3월 24일 (월) 19:36 (KST)
margin 값이 공간을 의미하는 것이라 크기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늘려줘야 하는거더군요. -- 산들바람 2008년 3월 24일 (월) 19:51 (KST)
끝난 토론에 대한 어처구니 없는 태클위키백과토론:위키프로젝트 대한민국의 교육에서 이미 결론난 사항에 왜 이의 다십니까? 대한민국에는 대구대건고등학교라는 학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Jonsoh 2008년 3월 25일 (화) 15:01 (KST)
두산에 관하여안녕하세요, 두산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박승직 상점에 관한 저작권은 wikipedia.com에서 해결을 하였는데 무슨 말씀을 하시는건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대부분의 현장 사진은 제가 찍은 사진이며, 정확한 tag를 몰랐기 때문에 wikipedia.com에 다시 정정하면 사진을 전부 revert 하여 업로드 하였습니다. 삭제된 사진들은 두산 건설에 관련된 사진이었으며, wikipedia.com의 Doosan페이지에 올라간 박승직 상점 사진및 다른 사진들은 문제가 없으니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빠른 답변 부탁드립니다. 혹시 제가 하고 있는 방법이 잘못된것이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을 확인한 후에 다시 사진을 올릴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cindy Mar 36, 2008 -- 이 의견을 2008년 3월 26일 (수) 09:56에 작성한 사용자는 Cindylove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제가 두산그룹에 허락을 받았다는것은 어떻게 보여드려야하나요? 두산그룹에서 사용과 배포를 허락한다는 확인을 받았는데, 어떻게 보여드려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이 의견을 2008년 3월 26일 (수) 13:38에 작성한 사용자는 203.226.142.31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그림:Wikisgw.JPG 의 삭제신청에 관하여제가 직접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저작권에 대해 문의하였습니다. 그 결과, 출처를 명기하면 사용할 수 있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원하신다면 그 답변을 보여드릴수도 있습니다. 삭제 신청을 철회해주세요. 장현창 2008년 3월 26일 (수) 17:52 (KST)
서명에 관하여몰랐던점 지적 감사드립니다 Coy'sDelight 2008년 3월 27일 (목) 23:26 (KST)
안녕하세요~ 한강미디어고 사전 집필자입니다.현재 다른 특성화고등학교 정보에 비해 저희 학교 정보가 매우 부족하며, 일반적으로 다른 고등학교 모두가 전화번호 및 자세한 학과 소개와 홈페이지의 연혁을 그대로 인용하고 있습니다.. 학교 홍보차 내용을 수시로 수정하고자 유동성 있는 내용같은 경우도 모두 이용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양해 부탁드리며, 실례합니다만 편집 취소를 하겠습니다. (__) --Noelneul 2008년 3월 28일 (금) 21:38 (KST)
http://ko.wikipedia.org/wiki/%EC%84%A0%EB%A6%B0%EC%9D%B8%ED%84%B0%EB%84%B7%EA%B3%A0%EB%93%B1%ED%95%99%EA%B5%90 http://ko.wikipedia.org/wiki/%ED%95%9C%EA%B5%AD%EB%94%94%EC%A7%80%ED%84%B8%EB%AF%B8%EB%94%94%EC%96%B4%EA%B3%A0%EB%93%B1%ED%95%99%EA%B5%90 위 학교 모두 학교에서 이용하는 연혁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으며, 역시 학교 차원에서 홍보물을 제작한 것입니다. 만약 문제가 있다면, 해당 부분에 대해서도 처리해주셔야 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Noelneul 2008년 3월 28일 (금) 21:46 (KST)
안녕하세요~ 남겨주신 글에 대한 의견 또 답니다.산들바람님이 남겨주신 의견 잘 보았습니다. 참고적으로 우선 야구부 내용은 홈페이지에 그대로 명시된 내용을 몇가지만 잘라서 올렸다는 것을 알립니다. (선린인터넷고 홈페이지 - 동아리 - 야구부 - 야구역사에 명시된 내용이며, 학교 홍보 책자에도 나와있음) 그 내용을 삭제한 것은, 산들바람님이 제시하신 의견에 따라 편집한 것이지, 다른 감정 이입이나 스타일에 문제가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문제가 되면 삭제 취소를 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겠습니다. '공적'인 내용이자 사실 그대로인 내용을 단순히 학교 홈페이지 내용을 인용했다는 이유로 삭제했다는 것은 정도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해당 학교 학생으로써 그 연혁을 직접 체험한 사람이, 사전에 해당 내용을 썼다면, 그것을 저작권이 있다고 바꾸네 안 바꾸네 하는 것은 문제가 있는 것 아닙니까? + 유동성을 따진다면 임기가 있는 교장을 쓰는 것도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 이 의견을 2008년 3월 28일 (금) 22:29에 작성한 사용자는 Noelneul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다중계정 아니에요..제가 문씨의 남자입니다.. 서명 만들다 헷갈렸나보네요. 문군이란 님이 있었나 보네요.. 꺽..--SPY_YH (토론) 2008년 3월 30일 (일) 09:41 (KST)
|
2008년 4월 (목차 번호 31~36) |
---|
두산과 두산그룹두산페이지가 (주)두산을 의미하는것이라고 하셨는데, 그러면 공식명칭인 (주)두산으로 제목을 바꾸어야할 것 같습니다. '두산'이라고 키워드를 쳤을때는 두산그룹 전체소개가 있는 '두산그룹'페이지로 넘어오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 어떠신지요? CindyloveCindy
대구과학고등학교처음 뵙겠습니다. 가입 후 기여할 곳이 있나 여기저기 들여다보다 학교 연혁이 2007년도 입학 이후로 기록되지 않은 것을 발견했었습니다. 기존에 있던 문서를 참고하여 비슷한 형식으로 2007년도 내용을 추가했었습니다. 연혁 전체가 삭제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기존의 문서도 비자유 자료의 인용으로 보시는 것 같습니다. 아니면 제가 새로 추가한 부분에 문제가 있어서 전체를 삭제하신 것인지요? 그런데 제가 해당 사이트에 게시된 내용을 직접 보고 적은 것은 사실입니다만, 직접 취사 선택하여 간추렸습니다. 게다가 수상 실적 및 입학 사실의 경우 학교 홈페이지를 통하지 않더라도 알 수 있는 사실이고 학교의 사이트에 귀속되어있는 정보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혹시 구두점까지 똑같은 것이 문제인가요?헤르
국립인쇄국주식회사 등의 표제어에서의 생략과 같이 국립인쇄국에서도 우편저금·간이생명보험 관리기구와 마찬가지로 생략하고 있습니다. 서울우유도 참조. 천/어 2008년 4월 11일 (금) 23:04 (KST)
귀찮으시지 않으면In their view,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 in the EMU have surrendered their sovereign abilities to conduct monetary policy. The European Central Bank is required to pursue a policy that might be at odds with national interests and there is no guarantee of extra-national assistance from their more fortunate neighbours should local conditions necessitate some sort of economic stimulus package. Many critics of the EMU believe the benefits to joining the organisation are outweighed by the loss of sovereignty over local policy that accompanies membership. The euro is underpinned by the Stability and Growth Pact, which is designed to ensure even fiscal policy across the Eurozone. The SGP has been criticised for removing the ability of national governments to stimulate their own economies to a certain extent, in the only way left to them now that monetary policy is determined supranationally. The failure of some member states to observe the Stability and Growth Pact, and its inherent problems have led to minor reforms, and further reforms are likely. 좀 번역 부탁 드립니다. --A. W. Roland 2008년 4월 12일 (토) 17:45 (KST)
배구에 관심이 많으신가요??2007~2008 V-리그에 저 혼자 기여를 하다시피 했는데, 요즘 기여를 많이 하시는 모습을 보니까 굉장히 기분이 좋네요~:) 앞으로도 많은 기여 부탁드립니다!-Kaitak89 2008년 4월 13일 (일) 01:37 (KST)
축구 선수 소속팀수고하십니다. 이런 편집을 하셨던데, 이전 소속팀의 경우에도 전부 분류하고 있는 것으로 압니다. 해당 편집은 제가 되돌리겠습니다만, 혹시 이와 비슷한 다른 편집을 하셨다면 수정을 부탁드립니다. :) --정안영민 2008년 4월 14일 (월) 09:20 (KST)
|
2008년 5월 (목차 번호 37~47) |
---|
불암고등학교단순사실이 저작권범주에 포함되나요? -- 이 의견을 2008년 5월 5일 (월) 20:58에 작성한 사용자는 Staryly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Handong Global University처음이라 모르는게 많이 있네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tirano 2008년 5월 5일 (월) 22:11 (KST)
전사적 자원 관리'전사적 자원 관리'가 일반적이긴 합니다만, 그것만이 중요한 것은 아니고 (1)이해하기 쉬운 것, (2)원문과 통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Enterprise Resource Planning을 처음 번역하는 사람이 전사적 자원 관리라고 하였겠지요. 그것을 다시 영어로 옮기면 Total Resource Management가 되는데요, 이런 식으로 원문과 동떨어진 용어가 많이 생길수록, 한글판 전공서적을 보기 보다는 영문판을 보게 되지요. 이것은 결국에는 일반인들이 언어장벽으로 인해 전공지식을 쌓기 힘들어지는 원인이 되지요. 다시 말해서, 국가적 차원에서 한국인이 상대적으로 영어 원어민이 불리하게 됩니다. 결론은 이것입니다. 표제어를 '기업 자원 계획'으로 하는 게 어떻겠습니까? 김정민 2008년 5월 5일 (월) 22:34 (KST)
굳이 사용자:Jmkim dot com님 말씀대로 직역을 해야 하는 필요성을 느끼지 못합니다. 전사적자원관리를 한자로 써보면 全社的資源管理가 됩니다. 전사적을 Total의 의미로만 보셨는데 全社的은 Total의 의미보다 Enterprise의 의미가 더 강합니다. '온전할 全' 한 글자만이 Total의 의미를 담고 있을 뿐입니다. 굳이 보편적이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단어를 직역이 아니라 해서 바꿔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ERP의 경우 1960년대 BOMP에서 부터 시작하여 90년대에 이르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그 역사가 짧다고 볼 수 있으나 전사적 자원관리라는 표현은 짧은 기간동안 이미 광범위하게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그 뜻도 영어의 표현과 큰 차이가 없어 굳이 새로운 표기가 필요하다 생각지 않습니다. -- 산들바람 2008년 5월 5일 (월) 23:34 (KST)
굳이 바꿔야 하느냐 굳이 바꾸지 않아도 되느냐 이것이 문제인데요. 둘 다 어느 정도의 설득력이 있습니다. 그러나, 보편성을 이유로 옛 것을 고수하는 것은 일종의 경직성이라 봅니다. 보다 중요한 것은 본질이니까요. 대학 교수들이 왜 전공 용어를 영어로 얘기할까요? 한글로 하면 의미를 제대로 알기가 더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비전공자는 각종 용어들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더욱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합니다. 기업 자원 계획이라고 하면 중학생도 얼른 감이 올 정도의 쉽고 원문에 충실한 단어를, 굳이 어렵게 번역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결국 언어적 차원의 정보불균형으로 이어지는 것도 사실입니다. 영어 원어민보다 한국인의 학문에 대한 진입장벽이 높다고 할까요? 원서를 보지 않고서는 용어들의 이미가 쉽게 와닿지 않으니까, 아예 원서를 보게 되는 것이지요. 하지만, 님의 견해도 충분히 합당한 이유가 있으므로, 판단을 존중하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앞에서 말씀드린 내용을 좀 이해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수고하세요.^^ 김정민 2008년 5월 6일 (화) 10:29 (KST)
Nash가 내시로 잘못 표기한 경우가 있어 고치다보니 Zephyr1981님께서 도와주시고 있는 것 같아 이왕 한가지 더 부탁드릴려고 왔습니다. 제가 아직 초보라서 편집에 익숙치 않은게 많거든요^^; 내시 문서에 보면 우리말 내시와 사람이름 Nash가 같이 편집되어 있습니다. 사람이름에 관한 것은 모두 "내쉬"로 수정을 해야 할 것 같거든요. 그리고 내시에 있는 동음이의어 표시도 지워야 할 것 같고.. 제가 함부로 손대면 편집 역사도 엉망이 될 것 같고 해서 이렇게 번거롭지만 작업을 부탁드리고 싶은데요..기분 나쁜 부탁은 아니었길 바랍니다. 그럼 수고하세요^^--tirano 2008년 5월 7일 (수) 14:59 (KST)
표제어는 외래어 한글 변환 표기법에 의거 내시로 하되 일반적 표현인 내쉬 표현을 함께 병기하는 것을 제안합니다. 예를들어 《존 내시 혹은 존 내쉬》 와 같이 말입니다. -- 산들바람 2008년 5월 7일 (수) 15:08 (KST)
혹시제가 봉곤님께 부탁드렸습니다만 봉곤님이 바쁘다고 해서 산들바람님에게 부탁드려도 될까요? 가능하시다면 탄자니아 실링 문서를 남아있는 번역투나 오역같은 것을 체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원문은 en:Tanzanian shilling입니다.--A. W. Roland(토론) 2008년 5월 12일 (월) 15:53 (KST)
객관적 기준김양은 문서에 대한 지명도 저하의 문제가 된 객관적 기준에 대해서 알려주시겠습니까? 이러한 문서의 객관적기준의 사문화가 되지 않으면 이분이나 이분보다 지명도가 낮은 모든 사람에 대해 이러한 객관적 기준을 도입해도 된다고 해석할수 있습니다--송호영 (토론) 2008년 5월 14일 (수) 20:39 (KST)
유현,겜블러유현유현 문서에 대한 삭제 요청에 대해 이의가 있습니다. 백:아님#인물을 참고해 보았습니다. 비록 이 인물은 아니지만 몇몇 한국의 유명 비보이들이 영문 위키백과에 이미 등재되어있습니다. 그리고 국적을 불문하고 모든 검색엔진에 'bboy born'을 치시면 많은 검색결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인지도 면에서도 전세계 모든 비보이들중 대부분이 알고 있고 또 알아야할, 이 문화에서는 선구자적인 역할을 하신 분입니다. 백:아님#인물에서 제시한 요건을 갖추었다고 생각합니다.
겜블러겜블러 문서에 대한 삭제 요청에 대해 이의가 있습니다. 해당 팀은 이미 영문 위키백과를 비롯, 다수의 포탈 인물사전에 기록되어있습니다. 백:아님#인물에서 제시한 요건을 충분히 갖추었다고 생각합니다. --dosan2000 (토론) 2008년 5월 22일 (목) 22:18 (KST)
CGTool광고성 없습니다. http://search.daum.net/search?nil_suggest=btn&nil_ch=&rtupcoll=&w=tot&m=&lpp=&q=%B9%DA%BA%B8%BC%AE 여기 보시면 주소는 다르지만 똑같은 홈페이지 이고 분명히 프랙탈 2위 입니다. 사용자:kmh018 (토론) 2008년 5월 23일 (금) 09:26 (KST)
프랙탈은 우리나라에 홈페이지가 별로 없습니다. 네이버에서도 검색해보면은 3개밖에 없습니다. 사용자:kmh018 (토론) 2008년 5월 23일 (금) 09:32 (KST)
항공 사고 관련 글관례적으로 편명을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대형 사고가 난 경우에도 편명이 재사용되나요? -- ChongDae (토론) 2008년 5월 24일 (토) 01:12 (KST)
이러한 단순 사실의 기술까지 저작권 침해라고 봅니까? 사실만 담긴 신문기사는 저작권을 인정받지도 못하는데. 백과사전 항목이라는 점이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이것도 거의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Dus|Adrenalin (토론) 2008년 5월 24일 (토) 14:10 (KST)
Camp Rock 삭제 신청에 대해..아직 삭제 하기에는 이르다고 봅니다. 벌써 개봉 날짜가 약 30일 밖에 남지 않았고 제가 더 내용을 보충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봅니다. 이미 많은 정보가 미국에 알려 졌고 미리 정보 (줄거리)를 적어서 관객들에게 정보 주는 것도 좋을 거라 생각 합니다. JenniferkimlovesKevinjonas (토론) 2008년 5월 30일 (금) 13:46 (KST)
|
2008년 6월 (목차 번호 48~50) | ||||
---|---|---|---|---|
Alter Bridge 발음 관련[발음기호]
San Diego 한글표기는 샌디에고산들바람님 San Diego의 한글표기를 한국에서는 "샌디에이고"로 표준화해서 쓰고 계신다고 알려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San Diego 한글표기 문제로 어떻게 해서 "샌디에이고"라고 하는 지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여기 샌디에고의 거의 대부분의 언론사나 단체 그리고 교민들께서 San Diego를 "샌디에고"로 표기하고 있는 사실입니다. 제가 1990년부터 샌디에고에 살기시작했는데 "샌디에이고"라고 표기한 글을 한번도 본적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2002년 후반부터 샌디에고에 있는 중앙일보 지국에서 처음으로 샌디에고를 "샌디에이고"로 바꿔쓰기 시작했습니다. 알아봤더니 2002년에 중앙일보 미주본사에서 1986년 1월7일에 발표된 문교부 고시 제85호-11호에 따라 "미주 한인들을 위한 English 올바른 한글표기"라는 책자를 발간했습니다. 그 책자가 나오고 나서도 중앙일보를 제외한 모든 샌디에고의 언론사, 단체 및 교민들은 샌디에고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샌디에고의 한인을 대표하는 한인회는 1974년에 창립되었습니다. 당연히 "샌디에고 한인회"( http://www.sdhanin.com )라고 부르고 표기합니다. 제가 회장으로 일하고 있는 재미한인 과학자 협회 "샌디에고" 지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2000년에 창립한 협회 정관을 비롯하여 모든 공문서에 "샌디에고 지부"로 되있습니다. 다시한번 말씀드리면, San Diego에 살고 있는 대한민국의 교민들은 "샌디에고"라고 표기하고 살고 있습니다. 즉, "샌디에고"라고 표기하는 것은 관용이요 범용인 것입니다.
시간이 되면 나중에 "샌디에고"가 "샌디에이고"보다 더 원음에 가깝다는 글을 올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스타 수여
-- THEOTERYI 2008년 6월 15일 (일) 20:10 (KST)
|
2008년 8월 (목차 번호 51~52) |
---|
IP 사용자의 토론 페이지에 대해서..IP 사용자의 토론 페이지에 대해서 제한을 가한다는 규정이 있나요? 사용자 문서만 잠금을 가하고, 사용자 토론 페이지는 누구나 이용가능하지 않나요? --해피해피 (토론) 2008년 8월 3일 (일) 19:00 (KST)
{{사용자 통합계정}}Hello (or good evening), I just wanted to know how this template work? I have made commons:Template:User SUL, I think this template could be more useful. With this we could know where is the main account of the user's SUL. Does someone could create a new version here? Otourly (토론) 2008년 8월 24일 (일) 17:35 (KST)
|
2009년 3월 (목차 번호 53) |
---|
'위키프로젝트:항공'으로 초대합니다.안녕하세요. 201KEI입니다.
|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사용자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백과사전의 항목이 아닙니다. 지금 보고 계시는 문서가 한국어 위키백과가 아닌 다른 웹 사이트에 있다면, 귀하는 위키백과의 미러 사이트를 보고 계십니다. 이 문서는 원본에 비해 오래 되었을 수 있으며, 이 문서를 작성한 사용자는 위키백과를 제외한 다른 웹사이트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을 수 있습니다. 이 문서의 원본은 https://ko.wikipedia.org/wiki/사용자토론:Zephyr1981/보존문서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