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Pudmaker/2008-1
Jormungand는 요르문간드가 맞습니다. 저그의 종족들은 고대 신화의 괴물들 이름인데, 요르문간드는 북유럽 신화의 거대한 뱀 이름이지요.--SALAMANDER 2008년 1월 25일 (금) 22:05 (KST)답변
- 스타크래프트의 제작지인 미국 발음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adidas 2008년 1월 26일 (토) 01:30 (KST)답변
풀뿌리 민주주의 문서의 같이 보기에 아나키즘을 기록해 두었더군요. 어떤 연유인지요? -- 리듬 2008년 2월 3일 (일) 21:30 (KST)답변
- 자치(自治)의 관점에서 상통한다고 본 것인가요? -- 리듬 2008년 2월 3일 (일) 21:35 (KST)답변
- 맞습니다. 둘이 전혀 같지 않습니다만, 상통하는 면은 분명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풀뿌리 민주주의 정신과 초기 아나키즘 운동(에스파냐 혁명 등)에서 '아래로부터의 민주주의'를 읽을 수 있습니다. adidas 2008년 2월 4일 (월) 09:11 (KST)답변
사랑방에도 말했지만 (위키백과:사랑방#틀:국기) 틀:국기나 틀:국기나라를 사용하면 틀:목록 축소가 안먹습니다. 제가 혹시 틀:목록 축소이 이상해서 그런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아니더군요.해결가능하신지?--위키아비 2008년 2월 11일 (월) 16:51 (KST)답변
- 글쎄요.. 틀이나 위키 문법은 저도 잘 모르는 부분이라..;; 해당 문서를 알려주시거나 예를 보여주시면 좀 도움이 될 수도 있을텐데요 adidas 2008년 2월 11일 (월) 17:01 (KST)답변
![]() |
안녕하세요. 그림:Stopwar119.JPG을 위키백과에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나 저작권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 문서는 삭제될지도 모릅니다. 이 주의를 받는 경우는 다음의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입니다.
만약 위의 사항에 대해 적절한 정보들을 밝히지 않는다면 이 문서는 곧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음 링크를 참고하여 빠른 시일 내에 미흡한 부분을 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
- 영어 위키의 'William M. Connolley'라는 사용자가 2003년 2월에 찍은 자료입니다. 라이센스에 이상이 없다고 등재되어 있기에 옮겨왔습니다. adidas 2008년 2월 13일 (수) 21:14 (KST)답변
- 예, 문제 없더군요. 원본 그림의 저작권이 GFDL이라서 무리없이 쓸수 있습니다. 물론 출처와 저작권을 표기했다면 말이죠. --크렌베리 2008년 2월 13일 (수) 21:40 (KST)답변
- 이런 저작권이 문제가 없으니 공용에 올려도 됩니다. 공용에 올리면 언어판과 상관없이 다 사용할 수 있습니다 --WaffenSS 2008년 2월 20일 (수) 22:32 (KST)답변
-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adidas 2008년 2월 20일 (수) 22:51 (KST)답변
- 이런 저작권이 문제가 없으니 공용에 올려도 됩니다. 공용에 올리면 언어판과 상관없이 다 사용할 수 있습니다 --WaffenSS 2008년 2월 20일 (수) 22:32 (KST)답변
- 예, 문제 없더군요. 원본 그림의 저작권이 GFDL이라서 무리없이 쓸수 있습니다. 물론 출처와 저작권을 표기했다면 말이죠. --크렌베리 2008년 2월 13일 (수) 21:40 (KST)답변
죄송하지만
New, paper notes for 5 to 100 tala were introduced in late 2005, making it unlikely that more polymer notes will be introduced in the near future.
문장 번역 가능하신지?--위키아비 2008년 2월 14일 (목) 18:13 (KST)답변
- 5 ~ 100 탈라 가치가 있는 새 종이 지폐는 2005년 말기에 도입되었다. 이로 인해 가까운 미래에 폴리머 지폐는 더 발행되지 않을 것 같다.
- 네이버 영어사전이나 dictionary.com 을 이용하시면 더 좋은 번역을 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정확한 번역인지 모르겠네요 ^^ 폴리머 지폐가 먼지도 모르겠고요.. adidas 2008년 2월 18일 (월) 15:27 (KST)답변
- 폴리머 지폐는 호주등지에서 사용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재질 지폐(종이는 아니지만요-_-;;)라고 알고 있습니다 - HiMarx 2008년 4월 5일 (토) 00:52 (KST)답변
- 그냥 저 문장만 놓고 보면 새로운 종이 지폐 때문에 폴리머가 더 안생길거 같다는 것은 같은데 폴리머 지폐가 뭔지도 모르겠고 해서 정확히는 모르겠네요 adidas 2008년 4월 5일 (토) 12:53 (KST)답변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위키백과토론:비자유 자료의 인용 토론이 몇주째 이루어 지지 않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좋은 의견 바랍니다.--위키아비 2008년 2월 15일 (금) 21:03 (KST)답변
Starting from 2004, the existing denominations, except 50,000 guaraníes, underwent small but easily noticeable changes, such as a more sophisticated and borderless underprint and enhanced security features. Giesecke & Devrient print the new 20,000 guaraní note, while De La Rue prints the rest. New 50,000 guaraníes bills have been printed with the date of 2005, but as they obviously reached circulation by criminal ways before being launched officially, this series has been declared void and worthless by the central bank
이 문장 번역해주실수 있나요? 폐만 끼치는 것 같네요.--위키아비 2008년 2월 18일 (월) 17:36 (KST)답변
고려대 서양사 전공이라. 후배로군요. 반갑습니다. 전 91학번입니다. 물론 서양사학과고. 05학번 아니면 04학번인가요? 오늘에서야 사용자 페이지 보고 알았군요. 대학원 박사과정에 고대 지중해 문명을 하고 있을 고경주가 동기인데, 대학원 선배들을 모른다면..... ..음... 뭐 암튼 반갑습니다. 앞으로 많은 기여 기대하겠습니다. 그리고, 한국 정당들 얘기인데, 그 친구들이 정치 이념을 가지고 있어야 정치 이념 서술이 가능할텐데, 불가능한 꿈을 꾸고 있는 건 아닌가 모르겠습니다. --WaffenSS 2008년 2월 20일 (수) 22:28 (KST)답변
- 반갑습니다. 03학번입니다^^... 서양사쪽으로 계속 공부하고 싶은데 우연찮게 좋은 분 만났네요^^... 사실 현재 정당들이 가지고 있는 '이념'을 가지고 서술하자면 뭐... 그냥 '보수주의'겠지요 adidas 2008년 2월 20일 (수) 22:52 (KST)답변
- 지금 저 정당들을 보수주의로 규정하면, 진짜 보수주의자들을 모욕하는 게 됩니다. --WaffenSS 2008년 2월 21일 (목) 23:35 (KST)답변
- 사실 그렇게 정확히 따져보면 전세계에 보수주의 정당은 아예 없을수도... 정당 이념 부분은 잘 판단이 안됩니다. adidas 2008년 2월 22일 (금) 01:11 (KST)답변
님을 위한 행진곡의 가사는 저작권 침해를 이유로 되돌려진 적[1]이 있습니다만.. -- 리듬 2008년 3월 8일 (토) 09:22 (KST)답변
- 제가 올린 가사는 원가사에서 따온 일종의 '구전된 가사'이기에 저작권과 무관하리라 생각됩니다. 또한 가사의 경우 이곳에 게시하는 것 자체가 저작권 침해인지도 의문입니다. 위의 토론을 보아도 가사를 게시하는 행위가 저작권 침해는 아니라는 쪽으로 결론이 났다고 판단해 게재했습니다 adidas 2008년 3월 9일 (일) 00:23 (KST)답변
오호십육국을 중국학계의 의견에 따라 십육국이라 표기하셨는데 관련 근거 부탁드립니다. 또한 국내에선 그시기를 일컬어오호십육국이라 표기합니다. 근거 '교육과학기술부 외국어표기용례집 참고'--Kim Kyung Min
- 음 조만간 중국 학계의 연구를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중국학계가 동북공정 등의 문제점은 있지만 받아들여야 할 부분도 많이 있으니까요. 참고로 인터위키를 보시면 일어 위키를 제외한 모든 인터위키가 표제어로 '십육국'이라고 쓰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여전히 '오호십육국'을 쓰고 있지만, 국제적인 기준으로 볼 때 '십육국'이 정확합니다. 이 곳이 '한국어 위키'이지, '한국인 위키'가 아니라는 점을 참고하셨으면 합니다. adidas 2008년 3월 10일 (월) 11:04 (KST)답변
- 제 의견에 답변글적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적어주신 '중국 역사학계의 연구'와 함께 일본어 위키를 제외한 언어의 위키백과에서 그 시기를 일컬어 '십육국'으로 표기하므로 우리 한글 위키에서도 그 시기를 일컬어 '십육국'이라 표기해야 정확한표기이다. 라고 의견 주신것 같습니다. 허나 타언어권 위키백과에서 그 시기를 일컬어 '십육국'이라 일컫는다하여 그것이 국제표준인지? 매우 의문스럽습니다. 글적어주신것보면 '그 시기에대한 국제적표준'이 마련되어 있는듯 한데 '근거 부탁드리겠습니다'. 또한 '한국어 위키이지, 한국인 위키가 아니라는 점을 참고하셨으면 합니다.'라고 말씀 주셨는데, 한글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위키백과라는 사실에는 동의합니다. 다면 개념상으론 무슨 말씀인지 도통이해가 되지 않네요. 제가 국내 교육기관의 자료를 인용해서인가요? 제 생각대로라면 제 생각이 틀리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Pudmaker'분께서 뭔가 잘못생각하시는듯한 느낌이드네요. 말씀해주신대로 한글 위키백과이지 한국인의 위키백과는 아니죠. 다만 '한글 위키백과'는 '한국어'(남한어)가 주된 언어입니다. 그렇다면 '한국어는 어느정부의 지휘를 받나요?' 제 개념이 옳다면 '북한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지휘를 받고. '남한어'(이하 한글)는 대한민국정부의 지휘를 받고있습니다. 관련기관은 국립국어원과 교육과학기술부 등이 있겠죠? 허면 '五胡十六國時代'를 한글로 표기할때는 '오호십육국시대'이라고 표기해야한다는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 외국어표기용례집 잘못 된건가요? 이것은 한글을 지휘하는 정부에서 정한것인데 이것을 따르지 않는다면 과연 한글은 누가정한 규정을 따르나요? 제 의견에 답변주신 글에 대해 매우 의문감이 듭니다.--Kim Kyung Min 2008년 3월 10일 (월) 22:06 (KST)답변
네. 현재 미국에서 고 2(sophomore)죠. 님도 역사를 좋아하시는군요. 아는게 역사밖에 없어서 역사 문서에서 자주 기웃거립니다. 님 말씀대로 역사 전공해서 역사 교사나 교수 되는게 제 꿈이랍니다 ^^ 주로 어느 역사에 강하다고 생각하시나요? -- 윤성현 2008년 3월 11일 (화) 10:19 (KST)답변
- 강한건 없고 중국사랑 근현대 유럽사를 좋아합니다^^ 꼭 꿈 이루시길 기원합니다! adidas 2008년 3월 11일 (화) 14:17 (KST)답변
- 그러세요? 지금 제가 고등학교에서 배우고 있는게 근현대 유럽사인데.... 기원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윤성현 2008년 3월 11일 (화) 14:40 (KST)답변
안녕하세요, 사용자 문서에 영어수준이 en-4라고 하신 것을 보고 물어보는것인데 혹시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화폐에 참여 가능하신가요? 번역위주라서 반드시 화폐에 대해 안 알으셔도 됩니다.--A. W. Roland 2008년 3월 17일 (월) 19:18 (KST)답변
- 개인시간이 많지 않고, 화폐에 관심이 없어서 시간 날 때만 가끔 도와드리겠습니다. adidas 2008년 3월 17일 (월) 19:19 (KST)답변
- 감사합니다. 혹시 사용자:이형주/번역장 1문서 지금 도와주실수 있는지?--A. W. Roland 2008년 3월 17일 (월) 19:23 (KST)답변
- 여유가 되는대로 도와드리겠습니다 adidas 2008년 3월 25일 (화) 01:45 (KST)답변
안녕하세요, Pudmaker님. 십육국시대문서 토론이 이어지고 있었는데, Pudmaker님의 견해도 듣고 싶습니다 :) 특히 동서한과 전후한의 문제는 어떻게 보시는지요--Hun99 2008년 3월 19일 (수) 01:27 (KST)답변
- 일차적으로는 한글 사용권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보아야 겠지요. 하지만 십육국 같은 경우는 '오호'라는 차별적인 언어를 사용해 다른 나라에서 쓰지 않는 반면, '전후한'과 '동서한'은 잘못이라기보다는 학계의 일반적인 표현 차이이기 때문에 한국 학계의 현실에 따라 사용해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나중에 한국 학계에서도 다른 나라의 표현을 따라간다면 문제는 달라지겠지요.
- 한국 학계의 일반적인 표현이 맞다는 말은 아닙니다. 이 곳은 '한국어 위키'이지 '대한민국 위키'가 아니니까요. 다만 일부러 바꿀 필요는 있을지 토론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adidas 2008년 3월 19일 (수) 01:29 (KST)답변
안녕하세요. 중국사 프로젝트에 참여자로 이름을 올린 초코벌레입니다. 역시나 오호십육국의 명칭문제가 계속 이어지고 있군요. 저도 어느쪽이 맞는지 모르겠네요. 둘다 맞는 의견이니...보니깐 서양사를 전공하시고 계시는군요. 영어 레벨이 무려 4 이시라니...부럽습니다. 그렇다면 차라리 서양의 근현대사 부문에서 활약하셔도 충분하실텐데, 30년 전쟁, 스페인 왕위계승전쟁, 오스트리아 왕위계승전쟁, 7년 전쟁, 9년 전쟁, 프랑스 혁명 전쟁, 대북방 전쟁, 나폴레옹 전쟁....영어 잘하시는 분이 꼭 도와 주셨으면 하는 전쟁분야가 너무 많습니다. ^^ 할 맘이 있으시면 좋겠네요. 인사하러 왔다가 잔뜩 부탁한다는 말만 하고 가네요. 초코벌레 2008년 3월 21일 (금) 10:05 (KST)답변
- 전쟁에도 관심이 많긴 합니다~ 4월부터는 개인시간이 많으므로 최대한 기여하겠습니다. adidas 2008년 3월 22일 (토) 13:59 (KST)답변
혹시 현재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에 제안된 정치학 쪽에 대해서는 별 관심이 없으신가요? 사랑방에서도 그렇고 평소 편집 부분도 그렇고 정치 쪽에 관심이 많으신 듯 보여서 말이죠. :) BongGon 2008년 3월 28일 (금) 03:05 (KST)답변
- 관심은 많습니다^^.. 정치 쪽이 저의 다른 관심분야인 역사나 경제에 비해서는 그냥 '아는 대로' 혹은 구글링으로 편집하기에는 좋아서이기도 하고요. 물론 명확한 사실관계는 참고문헌을 뒤적어야겠지만요. 위의 제안도 확인해보겠습니다. adidas 2008년 3월 28일 (금) 03:13 (KST)답변
현재 한나라당 쪽이 속한 부분을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통합민주당 쪽이 속한 부분을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이라고 하고 있는데 제가 보기에는 보수정당/중도보수 정당 Or 공화당계/민주당계 가 되어야 정석이 아닐까 싶습니다만... 이에 대해서 Pudmaker님은 어떤 의견이신지 궁금합니다. BongGon 2008년 4월 1일 (화) 17:40 (KST)답변
- 공화당계 / 민주당계도 괜찮은 것 같습니다. 보수, 중도보수로 하는 것은 어느정도 독자연구의 냄새가 있어서.. 토론을 해보는게 좋겠네요 adidas 2008년 4월 1일 (화) 17:43 (KST)답변
- 제가 오래전에 토론: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에서 이의를 제기한 바 있습나다만 흐지부지 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여기 오셔서 논의에 참가해주신다면 이보다 더 감사할 수는 없을겁니다. :) BongGon 2008년 4월 1일 (화) 17:45 (KST)답변
- 알겠습니다. 아울러 사랑방에서도 논의해보죠 adidas 2008년 4월 1일 (화) 17:48 (KST)답변
사용자 문서에 Political Compass 결과를 써두신 것을 보고 질문드립니다. 제가 그 문서를 번역하려고 시도는 해봤습니다만, 한정된 시간과 영단어 때문에 번역장에 옮겨만 놓고 건들지도 못한 상황이라서요... 만일 도와주실 의향이 있으시다면 사용자:Cbarom/번역장/정치 나침반(?)으로 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barom 2008년 4월 5일 (토) 00:43 (KST)답변
- 네이버에 잘 찾아보시면 한글로 번역된 버전이 있습니다. 저도 처음엔 영어판만 가지고 했었는데 한글 번역도 돌아다니는 것 같습니다. 참고해서 하시고 저도 시간되는 대로 도와드리겠습니다. adidas 2008년 4월 5일 (토) 12:52 (KST)답변
- 감사합니다^^ HiMarx 2008년 4월 5일 (토) 21:02 (KST)답변
- 다른 분께서 번역해서 정치 나침반이라는 이름으로 올려주셨습니다. 관심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HiMarx 2008년 4월 7일 (월) 02:40 (KST)답변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HiMarx 2008년 4월 7일 (월) 02:40 (KST)답변
비록 아직 저와 Pudmaker님만이 참가하고는 있습니다만 이제 누군가가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곧 본 궤도에 오를것이라고 봅니다. 여기서 말씀드리고 싶은 건 본 궤도에 오르기 전에 미리 프로젝트가 추구하는 방향 정도는 잡고 갔으면 합니다. 주로 어느 부분에 치중해야 할까요? 말 그대로 정치 시스템에 중점을 둬야 하는지 아니면 시민들의 정치 문화,의식이나 정당 등에 중점을 두고 편집을 해야 되는지 등...... 저는 아직 고등학생일 뿐더러 정보도 많지 않으니 Pudmaker님께 많은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BongGon 2008년 4월 10일 (목) 18:02 (KST)답변
- 특별한 방향보다는 기본적인 문서들부터 충실하게 했으면 합니다. 기본적인 정당, 정치인도 문서가 없거나 지나치게 부실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제가 대학생이라고는 하나 정치 분야는 전공도 아니고 이론적인 부분은 문외한입니다. adidas 2008년 4월 11일 (금) 12:39 (KST)답변
사용자:Heros256라는 분이 경제학 프로젝트에 참가하셨는데 갑자기 활동이 없더라고요. 사용자:Heros256님이 사용자:Heros256/작업장을 번역하시다가 그만두신것 같아서요. 마무리 가능하신지?--A. W. Roland 2008년 4월 11일 (금) 12:56 (KST)답변
- 음.. 지금 주요 경제학자들을 번역하는 중인데 위에 올리신 것도 최선을 다해 보겠습니다. 담당해서 할 수 있으리란 장담은 못드리겠네요. 아울러 저님 말고도 프로젝트 참가만 하고 요새 활동이 뜸하신 분들을 찾아가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adidas 2008년 4월 11일 (금) 14:17 (KST)답변
일단 프로젝트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개설을 해 두었습니다. 차차 내용을 채워주시길 바랍니다. 그럼 프로젝트가 잘 돌아가기를 기원합니다! BongGon 2008년 4월 13일 (일) 19:55 (KST)답변
- 많은 수고 부탁드립니다. 저도 열심히 할게요^^ adidas 2008년 4월 14일 (월) 00:16 (KST)답변
아이콘을 일단 주로 당을 상징하는 색(빨강, 초록, 파랑)이 합쳐진 걸로 해두긴 했습니다만, 이보다 더 좋은 것은 없을까요? 정치를 상징할 만한 그런 아이콘이 떠오르지가 않습니다. BongGon 2008년 4월 14일 (월) 00:30 (KST)답변
- 투표함이나 연설하는 모습을 담은 사진은 어떨까요? adidas 2008년 4월 14일 (월) 01:47 (KST)답변
- 지나가다 끼었습니다(활동 안 하겠다며?). 국회의사당 사진은 어떤가요? 저작권에 걸립니까? HiMarx 2008년 4월 14일 (월) 02:07 (KST)답변
- 사진은 있겠지만 아이콘으로 사용이 적절할 지도 의문이고 특정 국가의 정치만을 다루는 것으로 오해를 사지 않을까 합니다.(잠 자야될 시간인데...;-오늘도 공부 포기했습니다) BongGon 2008년 4월 14일 (월) 02:15 (KST)답변
이번에 제가 새로이 프로젝트를 만들었습니다. 흥미있으시면 참여해주시기 바랍니다. -- 윤성현 2008년 4월 16일 (수) 07:31 (KST)답변
- 그렇게 의욕적으로 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참가합니다! adidas 2008년 4월 16일 (수) 08:43 (KST)답변
제가 지금 사용자:이형주/마다가스카르 아리아리를 번역하고 있는데 쉬운듯 어렵네요. 조금이라도 도와주실수 있으세요?--A. W. Roland 2008년 4월 28일 (월) 22:18 (KST)답변
- 음.. 일단 최대한 도와드려봤는데 도움이 잘 되었을련지 모르겠네요. 아리아리화라.. 처음 들어보는 것이라 모르고 번역해서 어색한 뜻이 되었을 수도 있고, 소개한 사이트에 가보니 지폐에 아리아리 가치와 프랑 가치를 함께 써놨군요. 나름 그것도 참고로 해서 번역했습니다. 중간중간 의역도 있고 어떻게 번역해야 적절할지 몰라 지나친 것도 있는데, 확인하면서 채워넣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adidas 2008년 4월 28일 (월) 22:54 (KST)답변
- 님이 문장 뜻 이해가 안되는 부분 원래 글은
These notes also bear the franc denominations (500, 1000, 2500, 5000, 10,000, 25,000 and 50,000) in very small numerals.\
입니다. --A. W. Roland 2008년 4월 28일 (월) 23:00 (KST)답변
- 그 지폐들은 (아리아리 표시뿐만 아니라) 작은 숫자로 프랑화 표시도 되어 있다. 아리아리화 표시를 강조하면서 프랑화 표시를 작게 줄였다는 뜻으로 생각됩니다. adidas 2008년 4월 28일 (월) 23:03 (KST)답변
- 감사합니다. 나중에 제가 작성다하고 나서 시간있으시면 문서 다시 체크해주실수 있으세요?--A. W. Roland 2008년 4월 28일 (월) 23:06 (KST)답변
- 네 또 물어보세요~ 시간되는대로 도와드리겠습니다~ adidas 2008년 4월 28일 (월) 23:40 (KST)답변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