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파란악마
새 주제파란악마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위키백과는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입니다.
각종 사용법과 규칙이 어려울 수 있지만, 차근차근 익히며 과감하게 기여하세요. 아래에 나열된 문서들이 위키백과 사용 및 편집에 도움을 줄 것입니다.
![]() |
길라잡이 위키백과에 대한 기본적인 길라잡이입니다. |
![]() |
사랑방 위키백과의 다른 사용자와 의견을 교환하는 장소! |
![]() |
정책과 지침 위키백과의 정책은? 편집하시기 전에 한번 읽어주세요! |
![]() |
사용자 모임 위키백과의 다양한 분야를 다루는 게시판 및 프로젝트가 모여 있습니다. |
![]() |
질문방 위키백과를 사용하는 방법이나 내용에 대해 질문합니다. |
![]() |
지원 단체 위키백과 커뮤니티를 지원하는 단체는? |
![]() ![]() |
![]() |
![]() ![]() ![]() |
![]() |
--~~~~
)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6년 10월 6일 (토) 16:26 (KST)
br 태그
[편집]<br>태그는 될 수 있으면 사용하지 말아주세요. 엔터 키 두 번 누르는 것으로 대체 가능합니다.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6년 10월 8일 (월) 15:51 (KST)
에리히 호네커
[편집]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내용을 무단으로 전재한 것이군요. 위키백과는 저작권 문제에서 자유로운 공개된 백과사전을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저작권이 있는 다른 자료의 무단 "펌질"은 삼가해주세요. -- ChongDae 2006년 10월 8일 (월) 17:49 (KST)
년도/날짜 문서의 링크
[편집]년도/날짜 문서에는 보통 그 연도/날짜와 직접 연관되는 문서만 연결합니다. 예를 들어서 연도 문서에서 사람들의 국적에 링크를 모두 걸면 역링크(여기를 가리키는 글)를 확인했을 때 그 연도가 실제로 그 나라와 연관되었는지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일단 링크는 모두 빼 두었습니다.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10월 9일 (화) 20:41 (KST)
옮겼습니다. 지금 확인해 보세요
[편집]66 Quotation Marks. 99 2006년 10월 14일 (일) 19:25 (KST)
카를/칼
[편집]독일어 표기법과 용례집에 따라 옮기는게 맞겠죠? 발음이야 사람에 따라서 다르게 들릴 수 있습니다. -- ChongDae 2006년 10월 18일 (목) 23:44 (KST)
번역
[편집]저는 번역을 잘 못하니 나중에 같이 번역해요. --루스 2006년 10월 22일 (월) 15:39 (KST)
분류
[편집]분류는 {{}}로 묶는 것이 아니라, [[ 하고 ]]로 묶습니다. -- 파란로봇군 (토론) 2006년 10월 28일 (일) 17:56 (KST)
언어 바벨
[편집]언어 바벨에는 해당언어만 표기합니다. 따라서 편집하신 내용을 rv하였습니다. 언어 바벨은 다른 언어판에서 온 (예를 들어 한국어를 모르는 중국어 사용자가) 그 언어로 말할 수 있는 사용자에게 쉽게 도움을 받게 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Allen 2006년 10월 29일 (월) 17:46 (KST)
더 쓰실 말이 많이 있나요? 만주국에 있는 내용과 동일한데, 특별히 더 자세히 소개할 내용이 없다면 따로 분리해서 만들 필요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 --정안영민 2006년 11월 5일 (월) 20:20 (KST)
Kuba
[편집]en:Kuba가 동음이의어 문서인 것을 확인하고 붙인 것입니다. 쿠바 왕국에 대한 내용은 en:Kuba Kingdom에 있네요. --Puzzlet Chung 2006년 11월 5일 (월) 20:23 (KST)
광명역 (경부고속철도)에 굳이 "다른 뜻" 틀을 붙일 필요가 있을까요? -- ChongDae 2006년 11월 6일 (화) 19:15 (KST)
- 물론 광명역 (경부고속철도)나 광명역 (평양)에 들어갔다는 것은 광명역 문서에 들어갔거나 다른 문서에서 링크되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또다른 광명역에 대해 궁금해하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그냥 광명역 문서로 가게 다른 뜻 틀을 달아도 될 것 같습니다. 대답은 제 사용자 토론에 해주십시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파란악마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 "문서이름 (XXX)"가 이미 같은 이름의 다른 문서가 있다는 뜻입니다. -- ChongDae 2006년 11월 7일 (수) 17:34 (KST)
그림:Hungary 1957~1989.png
[편집]공용에 같은 그림이 있어 삭제합니다. 여지간한 국기는 commons:Category:Flags by country에 다 있습니다. -- ChongDae 2006년 11월 8일 (목) 19:58 (KST)
부베 섬은 무인도가 아닌가요? “부베 섬의 사람들이 부베 섬은 노르웨이의 영토라고 생각해”라는 문장이 성립될 수 있는 것인지요? :) --정안영민 2006년 11월 13일 (화) 18:08 (KST)
틀:이란
[편집]테헤란이 아니라 테헤란 주가 들어가야 하는 것 아닌가요? 그밖의 다른 주도 마찬가지고요. -- ChongDae 2006년 11월 17일 (토) 23:28 (KST)
독일연방공화국
[편집]서독의 공식 명칭일 뿐 아니라, 현재 독일의 공식 명칭이기도 합니다. -- ChongDae 2006년 11월 21일 (수) 16:53 (KST)
북조선 행정구역 편집
[편집]제가 님이 편집하신 의주군 문서를 다시 문화어로 바꿨는데, 표준어로 바꾸지는 마십시요. 그리고 여기는 한국어 위키백과이기 때문에 표준어나 문화어로 쓸 수 있습니다. 바꾸지는 마십시요. --루스 2006년 11월 23일 (금) 22:21 (KST)
'피난'과 '피란'
[편집]사랑방에서 '피난'이 '피란'으로 바뀌었다고 쓰셨는데, 이 둘은 뜻은 비슷해도 엄연히 다른 낱말입니다. '피난'은 재난을 피해 옮겨 가는 것이고, '피란'은 난리를 피해 옮겨 가는 것입니다. ―에멜무지로 (discusión · contribuciones · información · registro · e-mail) 2006년 12월 12일 (화) 12:53 (KST)
경인선에 자꾸 ‘(남영역부터 구로역까지 경부선과 동일)’을 붙이시는군요. 경인선의 기점은 구로역이고, 굳이 경부선과 동일구간이라는 것을 나타낼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정식으로 경인선은 경부선과 독립된 노선입니다(열차 운행은 전혀 안 그렇지만). 그리고, 틀토론:수도권 1호선도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I110 桂陽 / IRTC1015(議) 2006년 12월 17일 (일) 10:15 (KST)
미개통역과 기타 등등
[편집]미개통역에 일일히 역명판을 붙일 필요가 있을까요? 그렇다면 온수역과 부평구청도 2011년쯤(분당선 왕십리 방면 개통과 거의 동일) 개통할 7호선 연장구간 문서도 일일히 다 만들어야 합니다. 미개통역 문서는 안 만들거나 만들어졌더라도 역명판을 빼는게 좋지 않을까요? 그리고 미개통역의 경우 아직 안만들고 개통 임박했을 때쯤 만들어도 문제가 없을 것이라 봅니다. 그리고 삼릉역 만드셨던데 역번호가 K211 맞나요? 저도 미개통역 역번호 잘 모릅니다.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6년 12월 18일 (화) 18:05 (KST)
분당선 개통예정역
[편집]아직 개통이 멀었고, 개통하면서 역 이름이 바뀔 수도 있지 않을까요? -- ChongDae 2006년 12월 18일 (화) 18:53 (KST)
- 그러면 일단 7호선 연장구간까지만 미리 만들
겠습니다.고 나중에 역 이름이 바뀌면 고치겠습니다. --파란악마 (소개/토론/기여/정보/로그/메일) 2006년 12월 18일 (화) 19:01 (KST)
- 7호선 연장구간, 9호선, 인천공항철도 모두 마찬가지 아닌가요? 역 이름, 역 번호 등이 미정인 것은요. -- ChongDae 2006년 12월 18일 (화) 19:02 (KST)
- 그 노선도에도 이미 의정부북부역/동두천역/동두천중앙역과 같은 예가 있군요. 역 이름이 개통 전에 바뀐다는 좋은 예네요. -- ChongDae 2006년 12월 28일 (금) 18:32 (KST)
- 일반적으로 개통 전에 알려진 역명은 정식 역명이 아니며, 개통 전후 변경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역명이 확정되지 않았고 개통까지 시간이 남아있다면 미리 입력할 필요는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 I110 桂陽 / IRTC1015(議) 2006년 12월 28일 (금) 18:33 (KST)
지하철역 이동?
[편집]기준이 뭐죠? -- ChongDae 2006년 12월 28일 (금) 18:01 (KST)
- 위키백과:동음이의어 문서의 기준을 참고해주세요. 그리고 용산역은 대구 지하철의 역 이름이기도 합니다. -- ChongDae 2006년 12월 28일 (금) 18:17 (KST)
- 가깝지만 환승할 수 없는 역으로는 신촌역, 수색역 같은 경우도 있습니다. -- ChongDae 2006년 12월 28일 (금) 18:36 (KST)
네. 부산역은 서울역/용산역처럼 기차역을 대표역으로 삼는게 맞겠죠. (대전역, 동대구역, 대구역 등도 마찬가지겠죠?) 이런 경우는 기차역과 지하철역을 한 문서에서 다뤄도 될 듯 싶기도 하고요. (두 역사가 서로 붙어있는 경우니깐요.) -- ChongDae 2006년 12월 29일 (금) 10:41 (KST)
차두리 문서 번역
[편집]en:Cha Du-Ri를 번역해 주시면 안될까요? 부탁합니다. --루스 2006년 12월 30일 (일) 19:04 (KST)
레페르쿠젠?
[편집]Leverkusen의 표기로 레버쿠젠이나 레베르쿠젠은 좀 보이지만 레페르쿠젠은 처음 보네요. 확인 부탁합니다. -- ChongDae 2007년 1월 1일 (화) 18:44 (KST)
- 독일어이니까 레퍼쿠젠 혹은 레페르쿠젠이 맞습니다. 독일어가 아니라면 할말 없지만 말입니다. --파란악마 (소개/토론/기여/정보/로그/메일) 2007년 1월 1일 (화) 21:35 (KST)
- 독일어에서 v 발음은 어원에 따라 'ㅍ'과 'ㅂ' 두 발음이 모두 다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확인을 부탁드린겁니다. -- ChongDae 2007년 1월 1일 (화) 21:38 (KST)
- 레버쿠젠이 맞네요. [1] -- ChongDae 2007년 1월 1일 (화) 21:43 (KST)
- 독일어에서 v 발음은 어원에 따라 'ㅍ'과 'ㅂ' 두 발음이 모두 다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확인을 부탁드린겁니다. -- ChongDae 2007년 1월 1일 (화) 21:38 (KST)
파란악마님, 나중에 로표모에서 토론할 게 있습니다.
[편집]제가 나중에 로표모에서 토론을 할려고 합니다. 그래서 내일쯤 토론을 할려고 합니다. 시간이 있으시면, 잠시 와서 토론에 참여해 주세요. 제가 다지모에 건의할 게 있어서 그렇습니다. --루스 2007년 1월 31일 (수) 00:38 (KST)
- Большое спасибо^^. --루스 2007년 1월 31일 (수) 00:52 (KST)
왜 일본어로 이야기를 했어요?
[편집]저하고 토론할 때 왜 일본어로 이야기를 했어요? 한국어로 말할 수도 있었잖아요. --루스 2007년 2월 2일 (토) 21:14 (KST)
- 그냥 심심해서요-ㅅ-;; 그래도 알기 쉽게 한자를 많이 섞어서 썼습니다. --파란악마 (소개/토론/기여/정보/로그/메일) 2007년 2월 2일 (토) 21:20 (KST)
- 휴유, 전 님이 제 일본어 능력을 시험한 줄 알았잖아요. 그런데 그게 심심했다니... 저는 처음에 이것때문에 진땀을 뺐습니다. 그래도 다행이네요^^. 감사합니다^^. 나중에 시간나시면 제주도로 놀러오세요^^. --루스 2007년 2월 2일 (토) 21:22 (KST)
오늘 키릴판 토론을 할 예정입니다.
[편집]일단 오늘 로표모에서 키릴판 토론을 할 예정입니다. --루스 2007년 2월 7일 (목) 19:53 (KST)
제주도말을 좀 할 줄 아시나요?
[편집]제주도말을 좀 할 줄 아시나요? --루스 2007년 2월 20일 (수) 22:38 (KST)
- 그러면 나중에 제가 제주도말을 가르쳐 드릴게요. 전 제주도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도움이 됩니다. 그럼 다음에 또... --루스 2007년 2월 20일 (수) 22:44 (KST)
현재 준비중입니다. 관심이 있으시다면 준비에 동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S: {{주변역}}을 활용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대체가 아직 한참 남았거든요; -- I110 桂陽 / IRTC1015(議) 2007년 2월 20일 (수) 22:52 (KST)
이매역
[편집][2]은 지하 구간 신설 중 최초라는 뜻인가요? 지상구간이야 더 많은 예가 있어보입니다만.. -- ChongDae 2007년 7월 5일 (목) 22:48 (KST)
위키프로젝트 지하철
[편집]통합을 위해 위키프로젝트 지하철을 위키프로젝트 철도의 하부 문서로 이동시켰습니다. :) --정안영민 2007년 10월 24일 (수) 11:35 (KST)
어이 없는 소리 좀 그만하세요
[편집]토론:강희제문서에서
- 절 의심하고
- 출처를 직접 찾으라
고 하셨는데, 어이 없는 소리 좀 그만하십시오. 지적한 사람이 일일이 출처를 다 찾아야 하는 겁니까? 그럼 주기여자들은 문서를 만든 이후엔 수정 및 보완은 내팽겨쳐도 되는 겁니까? 게다가, 절 의심하지 마세요. 아무런 인과관계도 없는데 자꾸 의심하는 것은 협업에 명백히 반하는 행위입니다. --Shine for all (토론) 2011년 2월 17일 (목) 17:08 (KST)
- 위키백과의 특징은 '마음에 안 드는 문서를 직접 고칠 수 있다'라는 점이지요. 도서관에 있던 책들이 출처였다고 하던 것 같던데, 출처를 추적할 방법이 그리 어려운 것도 아니니 직접 찾으시면 되지 않겠습니까? // 그리고 아무래도 '동기'가 있는 사람이 용의선상에 가장 먼저 올라오지 않겠습니까? 다른 분들 의견까지는 모르겠지만, 제게는 상기 문서에서 제시한 것이 명백한 인과관계로 보입니다만. 저 말고 다른 한 분도 지적하셨지요. '협업'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파란악마 (소개/토론/기여/정보/로그/메일) 2011년 2월 17일 (목) 17:21 (KST)
- 백:선의를 보십시오. 두말 하지 않겠습니다.
- 자신의 편집했으면 그것에 대해 끝까지 책임져야 하는 것이 바로 기여자입니다. Shine for all님께서는 검토자로서 합당한 지적을 하고 있습니다.--Alto (토론) 2011년 2월 17일 (목) 18:29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