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자루병
보이기



빗자루병 또는 총생병(叢生病)은 나무 같은 목본식물의 원래 구조가 변형되는 병이다. 한 부분에서 여러 개의 가지나 잎이 모여 자라며 그 형태가 흡사 중세 시대의 마녀들이 쓰던 빗자루 같다 하여 서양에서는 '마녀의 빗자루' (witch's broom 또는 witches' broom)라 부르기도 한다. 대부분이 병원균에 감염되면서 발생한다.
빗자루병의 병징은 피토플라스마 또는 담자균이 일으키며, 카카오와[1] 대추나무[2] 및 멀구슬나무를 비롯한 여러 경제 수목에서 중요하게 작용한다.[3]
원인
[편집]나무의 특정 모양이나 습성은 2차 분열조직의 생장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옥신 의 산물 중 일부이다. 옥신은 부모 가지에서 뻗어 나오는 측아의 생장을 억제시키는데, 빗자루병에 걸리게 되면 순의 순차별 생장이 멈추게 되고 분열조직이 무분별하게 생장한다. 이는 생장 조절을 방해하는 식물 호르몬인 시토키닌이 일으키는 것이다. 이 병징은 피토플라스마 및 세균류가 만들어내는 것이기도 하다.[4] 빗자루병의 생장은 보통 기주식물이 살아 있는 동안이라면 수 년 정도 갈 수 있다. 빗자루병의 나뭇가지를 정상 대목에 접목하면 괴상하게 생긴 나무로 뒤바뀌어버린다. 이는 공격성 유기체가 나뭇가지의 유전된 생장 패턴을 바꿔놓음을 보여준다.[4]
병징
[편집]
- 잎과 가지의 왜화 및 위축 증상
- 빗자루(총생) 증상
- 꽃잎의 엽화 증상(phyllody)
- 쇠락
- 잎의 황화 증상
생태적 역할
[편집]빗자루병은 새와 북부하늘다람쥐 등의 포유류에게 서식처를 제공해준다.[5][6]
종류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Purdy, L.H.; Schmidt, R.A. (1996). “Status Of Cacao Witches' Broom: Biology, Epidemiology, and Management”. 《Annual Review of Phytopathology》 34 (1): 573–594. doi:10.1146/annurev.phyto.34.1.573. PMID 15012557.
- ↑ Li Yun; Wang Yu; Tian Yanting; Sun Haoyuan (2001). “Advances in Tissue Culture and Eliminating of the Pathogeny of Witch Broom Disease(MLO) of Chinese Jujube”. 2021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4월 13일에 확인함.
- ↑ Gomez, G.G.; Conci, L.R.; Ducasse, D.A.; Nome, S.F. (1996). “Purification of the Phytoplasma Associated with China-tree (Melia azedarach L.) Decline and the Production of a Polyclonal Antiserum for its Detection”. 《Journal of Phytopathology》 144 (9–10): 473–477. doi:10.1111/j.1439-0434.1996.tb00327.x.
- ↑ 가 나 Book of the British Countryside. Pub. London : Drive Publications, (1973). p. 519.
- ↑ Mowry, Robert A. (2008). “Northern Flying Squirrel” (PDF). 《Alaska Department of Fish and Game》. 2020년 6월 2일에 확인함.
- ↑ Paragi, Thomas; Rodman, Sue (2020). “Maintaining wildlife habitat in the boreal forest of Alaska” (PDF). 《Alaska Department of Fish and Game》. 18–19쪽. 2020년 6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빗자루병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